요왕차사상

한국무속신앙사전
영등굿이나 잠수굿 등에서 용왕차사(龍王差使)에게 올리는 [제물](/topic/제물) 음식을 차린 상.
definition
영등굿이나 잠수굿 등에서 용왕차사(龍王差使)에게 올리는 [제물](/topic/제물) 음식을 차린 상.
mp3Cnt
0
wkorname
강소전
정의영등굿이나 잠수굿 등에서 용왕차사(龍王差使)에게 올리는 [제물](/topic/제물) 음식을 차린 상.
내용요왕차사상(요왕처서상, 요왕체상)은 용왕차사에게 올리는 제물을 차린 상이다. 요왕차사(요왕처서, 요왕체)는 바다 속의 용왕에게 소속된 차사를 말한다. 시왕(十王)에 속한 차사만 있는 것이 아니라 바다 속에도 같은 역할을 하는 차사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엿볼 수 있다. 바다일을 하는 어부와 해녀들에게는 해상 안전이 그만큼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는 [생업](/topic/생업)의 공간이 육지뿐 아니라 바다 속에까지 걸쳐 있기에 나타나는 관념이다. 비슷한 예로 ‘요왕세경’을 들 수 있다. 농사일을 관장하는 세경신이 용왕에게도 속해 있어 ‘바다밭’을 담당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바다 속에는 요왕을 중심으로 요왕차사, 요왕세경 등이 각각 있어 육지의 세상과 닮은 모습으로 형상화된다.

제주에서도 어부와 해녀들은 영등굿과 잠수굿 등 무속의례를 통해 해상의 무사고와 생업의 풍요를 기원하여 왔다. 이때 요왕차사를 청하여 ‘요왕차사본풀이’를 하고, 이어서 액을 막는다. 해녀들은 물질 중에 생길 수 있는 뜻하지 않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요왕차사를 청해 잘 대접해야 한다고 여긴다. 그리고 애석하게도 바다에서 작업 중에 유명을 달리한 영혼들을 위해서라도 요왕차사에게 정성을 다해야 한다고 믿는다. 동김녕[마을](/topic/마을) 잠수굿의 경우 요왕차사상은 연약탁상([제상](/topic/제상))의 오른편에 요왕영게상, [선왕상](/topic/선왕상)과 함께 놓인다. 올리는 제물 음식은 사발시루떡, 돌래떡, 메, 고사리, 콩나물, [미나리](/topic/미나리), 계란, 구운 생선, 과일([사과](/topic/사과)·배·귤), 비자, [대추](/topic/대추), 곶감, 밤, 술, 제비쌀 등이다. 각각의 무속의례 현장에 따라 ‘요왕차사기’라는 [기메](/topic/기메)가 요왕차사상에 놓이기도 한다. 요왕차사기라는 기메는 종이를 오려 요왕차사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이를 푸른 잎이 달린 대나무 [가지](/topic/가지)에 달아맨 것이다.
참고문헌제주도 잠수굿 연구-북제주군 구좌읍 동김녕[마을](/topic/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강소전,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굿과 음식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東國李相國集
서울대학교 사범대내림무당의 쇠걸립이두현1987
미문출판사재수굿 진굿이선주1989
국립민속박물관한국무속에 나타난 신의 유형과 성격이용범2003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