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태집

한국무속신앙사전
신태집
굿을 받기 위하여 청해진 망자의 혼이 임시적으로 거처하는 공간이라고 인식되는 무구. 전라남도 씻김굿, 남해안 오귀새남굿, 동해안 오구굿에 공통적으로 등장한다.
definition
굿을 받기 위하여 청해진 망자의 혼이 임시적으로 거처하는 공간이라고 인식되는 무구. 전라남도 씻김굿, 남해안 오귀새남굿, 동해안 오구굿에 공통적으로 등장한다.
mp3Cnt
0
wkorname
김형근
정의굿을 받기 위하여 청해진 망자의 혼이 임시적으로 거처하는 공간이라고 인식되는 무구. 전라남도 씻김굿, 남해안 오귀새남굿, 동해안 오구굿에 공통적으로 등장한다.
내용전라남도에서는 [넋당석](/topic/넋당석), 신[광주리](/topic/광주리), 용선이라 부르고, 남해안과 동해안에서 신광주리 또는 신태집이라 부른다. 한편 전라남도에서는 넋당석을 [반야용선](/topic/반야용선)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남해안과 동해안에서는 신태집과 용선을 구분한다. 신태집은 집 모양의 작은 상자라고 인식하고, 용선은 정말 배처럼 크고 용머리를 달아 만들어 엄격히 구분한다.

전라남도의 넋당석은 굿을 하는 동안 [망자상](/topic/망자상)의 앞에 놓인 채, 망자의 영혼이 머무는 곳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넋당석의 주요 쓰임은 넋올리기와 길닦기라는 제차에서 확인할 수 있다. 넋올리기에서 넋당석은 망자의 넋이 위치해야 할 공간으로, 길닦기에서는 망자가 저승으로 타고 이동하는 용선으로 그 의미가 이중적이다. 이 외에도 순천의 [박경자](/topic/박경자) 무녀는 혼맞이, 초가망석, 오구굿 등에 이를 이용하고, 진도 채정례는 손님굿에 이용한다.

남해안과 동해안 지역에서는 용선이라는 무구가 따로 만들어지고, 그것이 의례에 쓰이기 때문에 신태집은 공간으로서의 의미로만 쓰인다고 볼 수 있다. 남해안의 신태집은 넋을 청하는 단계에서부터 존재하여 굿을 하는 공간이 [마을](/topic/마을) 당산, 집의 방안, 집의 [마당](/topic/마당)으로 바뀔 때마다 항상 함께 이동한다. 신태집을 주되게 사용하는 의례는 전라남도 지역과 마찬[가지](/topic/가지)로 길닦음 때이다. 흰 [무명](/topic/무명)의 [길베](/topic/길베) 위에 신태집을 올려놓고 좌우로 쓸어준다. 영혼이 길을 떠나는 모습을 형상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마치 고르지 못한 땅을 신태집의 바닥을 이용하여 고르게 하는 행위로 보인다.

동해안의 신태집도 길닦기에서 주된 역할을 하는 이면에, 굿거리에서 거듭 무녀가 신태집을 들고 춤을 춘다. 이런 양상은 망자가 주체가 되는 초망자굿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신태집을 들고 춤을 춘다는 행위는 영혼을 위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 신태집을 들고 가족들의 머리 위에 흔들어주는 행위를 한다. 이런 행위는 망자와 가족과의 만남이라 고 해석될 수 있다.

전라남도, 남해안, 동해안 지역에서는 저승의 존재인 망자가 잠시 굿을 받기 위하여 이승에 왔을 때 머무르는 공간으로서 신태집이라는 무구를 사용한다. 전라남도는 이동수단에 해당하는 무구가 독자적으로 갖추어지지 않아 신태집은 공간이면서 이동수단으로도 기능한다.
참고문헌한국무속의 연구 (최길성, 아세아문화사, 1978)
진도 씻김굿의 물질문화 연구 (최진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석사학위논문, 1999)
동해안 오귀굿 구조의 현장론적 연구 (김형근,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전라남도·전라북도·제주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남해안굿 갈래 연구 (김형근,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호남의 [곽머리씻김굿](/topic/곽머리씻김굿) (나경수 외, 민속원, 2009)
형태신태집의 형태는 전라남도, 남해안, 동해안 지역에서 유사하게 나타난다. 기본적으로 [소쿠리](/topic/소쿠리) 양쪽에 댓[가지](/topic/가지)로 [기둥](/topic/기둥)을 세우고, [한지](/topic/한지)로 집의 모양처럼 감싼 뒤 종이를 이용해서 장식한다. 지역에 따라 장식의 차이가 있으나 전체적인 형태는 세 지역이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오늘날에는 소쿠리가 흔하지 않기 때문에 흔한 플라스틱 [바구니](/topic/바구니)를 이용한다. 전라남도에서는 1980년대 이후 차차 씻김굿에서 신태집을 만들지 않고 있다.

전라남도에서는 [넋당석](/topic/넋당석)의 기둥 부분에 국수발 또는 귀걸이 지전이라는 장식을 단다. 귀걸이 지전은 전라도 지전을 축소한 형태이다. 그리고 한지의 외벽에 불교의 보살을 의미하는 문양을 만들어 바탕이 되는 한지에 덧댄다. 순천과 남해안에서는 팔보살이라고 하여 앞뒤로 각 네 개의 보살 문양을 만들어단다. 진도 채정례의 넋당석은 외면적으로 두 개씩 총 네 개의 문양이 있고, 이를 필보살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동해안에서는 외벽에 보살을 오리지 않고 벽지처럼 문양으로 꾸민 색지를 덮는다. 기둥 양쪽으로는 남해안과 같은 종이장식물을 달고 지화로 장식한다.
문화재관리국관서지방무가장주근ㆍ임석재1966
문학사상사한국무가의 연구서대석1980
민족문화사한국민속대사전 2한국민속사전편찬위원회1991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제석굿의 풀이와 놀이 연구이명숙2001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한국무속신화에 나타난 저승의 양상최진봉2001
신태집
64663
신태집
신태집
64662
신태집
신태집
64661
신태집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