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부리장단

한국무속신앙사전
처올리기의 무무(巫舞) 반주나 굿의 시작을 알리기 위해 [마을](/topic/마을)을 돌며 연주하는 [진도씻김굿](/topic/진도씻김굿)의 [장단](/topic/장단). 3소박 12박으로 3소박 중모리형이지만 강세의 위치는 중모리와 다르다.
definition
처올리기의 무무(巫舞) 반주나 굿의 시작을 알리기 위해 [마을](/topic/마을)을 돌며 연주하는 [진도씻김굿](/topic/진도씻김굿)의 [장단](/topic/장단). 3소박 12박으로 3소박 중모리형이지만 강세의 위치는 중모리와 다르다.
mp3Cnt
0
wkorname
김혜정
정의처올리기의 무무(巫舞) 반주나 굿의 시작을 알리기 위해 [마을](/topic/마을)을 돌며 연주하는 [진도씻김굿](/topic/진도씻김굿)의 [장단](/topic/장단). 3소박 12박으로 3소박 중모리형이지만 강세의 위치는 중모리와 다르다.
내용선부리장단은 문화재로 지정된 [진도씻김굿](/topic/진도씻김굿)(문화재팀)에서만 사용하는 장단이다. [중모리장단](/topic/중모리장단)의 연주 형태에 변화를 주어 새롭게 만들어낸 장단으로 해석된다. 선부리장단의 용례에 대해서는 두 [가지](/topic/가지) 설이 있다. 처올리기의 무무(巫舞) 반주 음악이라는 설과 굿하는 것을 알리는 [길굿](/topic/길굿) 장단이라는 설이다. 하지만 두 가지 이야기에 관련성이 전혀 없어 신뢰하기가 어렵다. 각각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씻김굿에서 선부리는 초가망석을 가리키며, [조상신](/topic/조상신)인 [가망](/topic/가망)을 모시는 거리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런데 문화재로 지정된 진도씻김굿의 선부리장단은 이와 별로 관계가 없다. 초가망석에서 불러들인 영혼들을 즐겁게 해주고 [흠향](/topic/흠향)하게 하는 처올리기 부분에서 무당의 무무(巫舞) 반주음악으로 잠깐 사용되는 점에서 관련성을 엿볼 수 있을 뿐이다.

![무속신앙 선부리장단](/upload/img/20170106/20170106161515_t_.jpg)

선부리장단의 길굿 기능에 대한 설도 확실하지 않다. 선부리장단은 굿의 시작을 알리기 위해 [마을](/topic/마을)을 돌며 치는 장단으로 활용되었다고 한다. 이때의 굿은 무당굿이 아닌 마을굿, 즉 당굿이나 유랑집단인 협률사들의 공연을 의미한다. 당굿을 할 때 길굿 장단 대신에 선부리를 쳤고, 협률 단체들이 공연의 막을 올릴 때도 홍보용 길굿으로 선부리장단을 사용했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선부리는 ‘시작한다’는 의미의 신호 장단이라고 한다. 협률 단체의 공연이나 굿에서 선부리를 치면 마을의 아낙네들이 “선부리한다. 강아지 밥 차려 드리고 시아버지 밥 퍼줘라”고 말할 정도로 정신없이 일을 마치자마자 구경을 갔다고 한다. 그러나 전라남도 전역에서는 당굿의 길굿으로 오채길굿 계열의 옛질굿(구식질굿)을 연주하고, 협률사들의 홍보용 길굿은 굿거리용 길굿인 협률굿(신식질굿)을 연주한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여러 지역을 유랑하는 협률사가 진도에서만 선부리장단이라는 특이한 장단을 연주하였을 것으로 보기 어렵다. 또한 선부리의 의미를 전혀 다르게 해석하고 있는 점으로 보아 선부리장단의 길굿 기능은 오래된 전통으로 보기 어렵다.

선부리장단은 대체로 12박 중모리 장단과 유사한 박자 구조로 되어 있다. 선부리장단을 2소박 12박으로 보기도 하고 3소박 12박으로 보기도 하지만 악기의 가락이 세분되지 않기 때문에 악보로 그렸을 때 큰 차이가 없다. 아홉 번째 박에서는 징만 연주하고 열한 번째 박에서는 장구, [꽹과리](/topic/꽹과리), 북만 연주한다. 이에 대해 “철악기와 [가죽](/topic/가죽)악기가 [품앗이](/topic/품앗이)로 주고받으면서 친다”고 설명한다. 매 박을 한 번씩 짚어 나가듯이 연주하다가 아홉 번째 박부터 변화를 주는 모습은 [취타](/topic/취타)나 길군악 장단과 유사하다. 아홉 번째 박의 징 연주에 맞추어 인사를 올리기도 한다. 이를 두고 징이 기도ㆍ기원하는 [성음](/topic/성음)을 만들어 낸다고 설명한다.
참고문헌씻김굿의 음악 (이보형, 진도의 문화예술, 진도군, 1992)
한국의 무속장단 (임수정, 민속원, 1999)
도서출판 각제주민속극문무병2003
한국무속학회제주도 굿의 무구 ‘기메’에 대한 고찰강소전2006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동해안 탈굿의 변화양상과 축제성김신효2006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