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전지

한국무속신앙사전
살전지
[백지](/topic/백지)를 신체 형상으로 오리고 여기에 첵지를 덧붙여 댓잎이 있는 댓[가지](/topic/가지)에 달아맨 종이 장식. 흔히 ‘[전지](/topic/전지)’라고 한다. ‘살전지’는 백지를 가늘고 길게 여러 다발로 오려낸 데서 비롯된 명칭으로 보인다.
definition
[백지](/topic/백지)를 신체 형상으로 오리고 여기에 첵지를 덧붙여 댓잎이 있는 댓[가지](/topic/가지)에 달아맨 종이 장식. 흔히 ‘[전지](/topic/전지)’라고 한다. ‘살전지’는 백지를 가늘고 길게 여러 다발로 오려낸 데서 비롯된 명칭으로 보인다.
mp3Cnt
0
wkorname
강정식
정의[백지](/topic/백지)를 신체 형상으로 오리고 여기에 첵지를 덧붙여 댓잎이 있는 댓[가지](/topic/가지)에 달아맨 종이 장식. 흔히 ‘[전지](/topic/전지)’라고 한다. ‘살전지’는 백지를 가늘고 길게 여러 다발로 오려낸 데서 비롯된 명칭으로 보인다.
내용살[전지](/topic/전지)는 신체, 첵지, 댓[가지](/topic/가지)로 이루어진다. 신체는 [백지](/topic/백지)를 오려 만든다. 얼굴과 몸통 부분을 남기고 위에서 아래 끝부분을 조금 남겨 자르면 전체적으로 본래 백지 길이의 두 배 가까이 길어진다. 가운데 부분은 얼굴과 몸통이 되고 양쪽 끝부분은 늘어뜨려져 다리를 이루게 된다. 얼굴은 눈, 코, 입을 구멍 내어 모양을 낸다. 다리는 가늘고 길게 여러 갈래로 오려낸다. 다리는 발지전처럼 지전을 의미하는 둥근 모양이 연속되게 오려내기도 한다. 발은 [버선](/topic/버선)처럼 만들어 모양을 내었다. ‘첵지’는 백지의 위쪽 끝을 왼쪽 변에 맞닿게 접은 것이다. 댓가지는 댓잎이 있는 것으로 비교적 길게 잘라낸다. 살전지와 첵지의 위쪽 끝을 가지런히 하여 댓가지의 댓잎이 시작되는 부분에 묶어 맨다.

살전지는 굿을 할 때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기메](/topic/기메) 가운데 하나이다. 살전지는 [당클](/topic/당클)의 양쪽에 하나씩 세워 둔다. 심방집에서 굿을 할 때는 당클이 네 개가 되어 4벌 8매가 필요한 셈이다. 당클은 큰굿을 할 때나 매다는 것이다. 따라서 당클에만 살전지를 세운다고 하면 살전지가 일반적으로 쓰인다고 말하기 어렵다. 살전지가 일반적으로 쓰이게 되는 까닭은 당클에만 세우는 것이 아니라 당클 형태로 우알상(바닥에 차린 상의 [병풍](/topic/병풍) 위에 널빤지를 두고 그 위에 다시 제물을 진설함)을 차릴 때 그 웃상에도 살전지를 세우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우알상을 차리는 경우는 [성주풀이](/topic/성주풀이), 요왕맞이 등에서이다. 이처럼 살전지는 큰굿을 할 때만 쓰이는 것은 아니다.

살전지는 굿을 준비할 때 가장 먼저 만들어 세우고 굿이 끝날 때쯤 해서 기메를 걷어낼 때까지 그 자리에 둔다. 의례의 내용에 따라 자리를 옮기거나 심방이 들고 어떠한 행위를 하지도 않는다. 그 자리가 고정적이고 쓰임새도 한정적이다. 장식적인 의미가 강한 듯하지만 대개 그 앞에 다시 [살장](/topic/살장)으로 가리기 때문에 장식적인 효과도 많지 않다. 결국 살전지는신상을 대신하는 것으로 신전의 자리를 표시하기도 한다.
참고문헌제주도무속연구 (현용준, 집문당, 1986)
제주도 무속과 그 주변 (현용준, 집문당, 2002)
형태[백지](/topic/백지)를 가늘고 길게 여러 다발로 오려낸 신체 형상에 백지의 한쪽 끝을 접은 ‘첵지’를 덧붙여 댓잎이 있는 댓[가지](/topic/가지)에 달아맨 것이다.
문화재청 홈페이지
동문선조선무속의 연구 하赤松智城, 秋葉隆 共著, 심우성 옮김1991
보고사서울지역 안안팎굿 무가자료집김헌선2006
살전지
64689
살전지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