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풍해방지의례

한국무속신앙사전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도 부속도서에서 자연물을 대상으로 풍해 방지를 기원한 금기와 각종 신앙행위.
definition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도 부속도서에서 자연물을 대상으로 풍해 방지를 기원한 금기와 각종 신앙행위.
mp3Cnt
0
wkorname
고광민
정의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도 부속도서에서 자연물을 대상으로 풍해 방지를 기원한 금기와 각종 신앙행위.
정의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도 부속도서에서 자연물을 대상으로 풍해 방지를 기원한 금기와 각종 신앙행위.
내용제주도와 제주도의 부속도서에서는 어떠한 자연물을 대상으로 한 풍해 방지를 기원하는 금기와 신앙이 전승되었다. 실태는 지역에 따라 다소 다르다.


1.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의 ‘두럭산’ : 이 [마을](/topic/마을) 동쪽 바다에는 썰물 때 모습을 드러내는 자그마한 바위가 있다. 이 바위를 두고 ‘두럭산’이라고 한다. 두럭산은 바닷물에 떠 있는 셈이다. 마을 사람들은 두럭산을 금기의 대상으로 삼았다. 마을 사람들은 두럭산 위에서 고기를 낚는 일이나 해녀들이 그 주변에서 잠수하는 일을 꺼렸다. 그리고 두럭산에 대한 다음과 같은 전설도 전승하였다.

제주도에서는 산을 거의 ‘오름’이라 부른다. 그런데 그 가운데에는 ‘산’이라고 부르는 것이 다섯 개가 있다. 그것을 제주의 오대산(五大山)이라고 한다. 바로 한라산(漢拏山), 성산읍 성산리의 성산(城山), 표선면 성읍리의 영주산(瀛洲山), 안덕면 사계리의 [산방산](/topic/산방산)(山房山), 구좌읍 김녕리에 있는 두럭산이다. 그런데 두럭산은 산이라 할 만한 것이 못된다. 바다에 떠 있는 자그마한 바위이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이것을 산이라고 한다. 이 두럭산은 한라산과 서로 대(對)가 되는 산이라고 한다. 한라산은 영산이어서 운이 돌아오면 [장군](/topic/장군)이 난다고 한다. 한라산에서 장군이 나면 두럭산에서는 이 장군이 탈 용마가 난다고 한다. 그래서 두럭산을 신성한 산으로 여겨 그 가까이에서는 언동을 조심한다. 해녀들이 바다에 나갔다가 이 두럭산에서 큰소리를 지르면 바다에는 풍랑이 일어 곤경에 빠진다고 한다. 옛날 제주도에 ‘[설문대할망](/topic/설문대할망)’이라는 키가 매우 큰 할머니가 있었다. 이 할머니는 한라산과 성산일출봉에 두 발을 놓고 앉아 이 두럭산에 빨래를 놓고 빨았다고 한다.


2.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의 ‘셍이동산’ : ‘셍이동산’은 이 마을 ‘빌렛개’라는 포구 주변에 있는 자그마한 동산 이름이다. 마을 사람들은 이 동산에 오르는 것을 금기시하였다. 어느 누구나 이 동산에 오르기만 하면 바람이 불어닥쳤고, 이 때문에 포구로 배를 잘 들여 맬 수도 없게 되기 때문이었다. 이 금기를 모르는 사람이 이 동산에 올랐다가 이를 본 마을의 어부나 해녀로부터 욕설을 듣기도 하였다.


3.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의 ‘할망당’ : 이 마을에는 천연기념물 제19호로 지정된 문주란의 자생지인 ‘난도(蘭島)’라는 섬이 있다. 마을 사람들은 이 섬을 두고 ‘난리여’라고 한다. ‘당목’이라는 해변에서부터 ‘난리여’까지 폭 2.8m, 높이 1.4m 규모의 [돌담](/topic/돌담)이 100m 안팎으로 가로놓여 있다. 썰물 때에는 이 돌담을 따라 걸어서 섬에 들어갈 수 있다. 이 섬 남동쪽에 ‘할망당’이라고 이르는 커다란 바위가 있다. 이 바위에 오르면 신은 조화를 부려 바람을 일으켜서 거센 풍랑이 일어났다. 이 때문에 누구라도 ‘할망당’이라는 바위에 오르기를 꺼린다.


4. 서귀포시 하효동의 ‘신소’ : 이 마을 동쪽에는 ‘효돈천(孝敦川)’이 있으며, 그 하류 지역을 두고 ‘신소’라고 이른다. 이 마을 사람들은 이곳에 함부로 돌멩이 하나라도 던지는 일을 꺼린다. 돌멩이라도 던지면 이곳에 깃들어 있는 신이 놀라고, 놀란 신은 곧바로 바람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5. 가파도의 ‘까마귀돌’ : 제주도 부속도서 가운데 하나인 가파도의 남쪽에는 ‘황개’라는 포구가 있다. 그 바깥에 동서로 바윗돌이 길게 늘어서 있다. 가파도 사람들은 이곳을 ‘뒷성’이라고 한다. 가파도 사람들은 이 바윗돌을 의지하여 ‘황개’라는 포구를 만들 수 있었다. ‘뒷성’이라는 곳에는 커다란 바윗돌이 하나 서 있다. 이를 두고 ‘까마귀돌’이라고 한다.

이 돌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얽혀 있다. 1974년 8월 초순, 제주해운국(濟州海運局)에서 가파도 해안의 한 지점을 표시할 필요가 있어 가파도 사방 몇 군데에 하얀 페인트를 칠한 일이 있었다. 그때 제주해운국의 한 직원이 이 바윗돌에 올라갔다. 그로부터 사흘 뒤에 태풍이 불었다. 그들은 그날 무사히 이 섬을 떠날 수 있었지만 그때 이 섬에 있던 어선이 몇 척 뒤집히고 농작물이 말라죽는 등 많은 피해를 보았다.


6. 마라도의 ‘장군바위’ : 제주도 부속도서 가운데 하나인 마라도의 동남쪽에 ‘장군바위’가 있다. 섬사람들은 이 바위를 신령스럽게 여겨 왔다. 어느 누구라도 이 바위 중간쯤에 오르면 중간 크기의 너울이 치고, 끝까지 오르면 큰 너울이 친다고 믿었다. 이 때문에 섬사람들은 장군바위를 신성하게 여기고 그 가까이에서도 언동을 조심하였다. 그리고 마라도에서 포제(酺祭)와 기우제(祈雨祭)를 올리고 나서 다시 이곳에서 유교식으로 의례를 치렀다. 마라도 사람들은 이 의례를 두고 ‘신선하르[방제](/topic/방제)’라고 하였다. ‘신선하르방제’는 [제관](/topic/제관)과 집사 두 사람만으로 이루어졌다. 의례를 올리는 동안 제관은 “신선하르바님, 큰바람 막아 주옵소서”라고 구송(口誦)하였다.

함부로 거석에 올라가거나 신성한 물에 돌멩이를 던지는 등 금기를 어기면 자연물에 깃들어 있는 신이 조화를 부려 풍해를 일으켰다. 제주도와 가파도의 자연물이 풍해 방지를 기원하는 금기의 대상물이라면 마라도의 ‘장군바위’라는 자연물은 금기는 물론 의례의 대상이었다.
참고문헌제주도전설지 (제주도, 1985)
제주도부락지 3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1990)
마라도의 역사와 문화 (고광민, 미간행)
내용제주도와 제주도의 부속도서에서는 어떠한 자연물을 대상으로 한 풍해 방지를 기원하는 금기와 신앙이 전승되었다. 실태는 지역에 따라 다소 다르다.


1.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의 ‘두럭산’ : 이 [마을](/topic/마을) 동쪽 바다에는 썰물 때 모습을 드러내는 자그마한 바위가 있다. 이 바위를 두고 ‘두럭산’이라고 한다. 두럭산은 바닷물에 떠 있는 셈이다. 마을 사람들은 두럭산을 금기의 대상으로 삼았다. 마을 사람들은 두럭산 위에서 고기를 낚는 일이나 해녀들이 그 주변에서 잠수하는 일을 꺼렸다. 그리고 두럭산에 대한 다음과 같은 전설도 전승하였다.

제주도에서는 산을 거의 ‘오름’이라 부른다. 그런데 그 가운데에는 ‘산’이라고 부르는 것이 다섯 개가 있다. 그것을 제주의 오대산(五大山)이라고 한다. 바로 한라산(漢拏山), 성산읍 성산리의 성산(城山), 표선면 성읍리의 영주산(瀛洲山), 안덕면 사계리의 [산방산](/topic/산방산)(山房山), 구좌읍 김녕리에 있는 두럭산이다. 그런데 두럭산은 산이라 할 만한 것이 못된다. 바다에 떠 있는 자그마한 바위이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이것을 산이라고 한다. 이 두럭산은 한라산과 서로 대(對)가 되는 산이라고 한다. 한라산은 영산이어서 운이 돌아오면 [장군](/topic/장군)이 난다고 한다. 한라산에서 장군이 나면 두럭산에서는 이 장군이 탈 용마가 난다고 한다. 그래서 두럭산을 신성한 산으로 여겨 그 가까이에서는 언동을 조심한다. 해녀들이 바다에 나갔다가 이 두럭산에서 큰소리를 지르면 바다에는 풍랑이 일어 곤경에 빠진다고 한다. 옛날 제주도에 ‘[설문대할망](/topic/설문대할망)’이라는 키가 매우 큰 할머니가 있었다. 이 할머니는 한라산과 성산일출봉에 두 발을 놓고 앉아 이 두럭산에 빨래를 놓고 빨았다고 한다.


2.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의 ‘셍이동산’ : ‘셍이동산’은 이 마을 ‘빌렛개’라는 포구 주변에 있는 자그마한 동산 이름이다. 마을 사람들은 이 동산에 오르는 것을 금기시하였다. 어느 누구나 이 동산에 오르기만 하면 바람이 불어닥쳤고, 이 때문에 포구로 배를 잘 들여 맬 수도 없게 되기 때문이었다. 이 금기를 모르는 사람이 이 동산에 올랐다가 이를 본 마을의 어부나 해녀로부터 욕설을 듣기도 하였다.


3.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의 ‘할망당’ : 이 마을에는 천연기념물 제19호로 지정된 문주란의 자생지인 ‘난도(蘭島)’라는 섬이 있다. 마을 사람들은 이 섬을 두고 ‘난리여’라고 한다. ‘당목’이라는 해변에서부터 ‘난리여’까지 폭 2.8m, 높이 1.4m 규모의 [돌담](/topic/돌담)이 100m 안팎으로 가로놓여 있다. 썰물 때에는 이 돌담을 따라 걸어서 섬에 들어갈 수 있다. 이 섬 남동쪽에 ‘할망당’이라고 이르는 커다란 바위가 있다. 이 바위에 오르면 신은 조화를 부려 바람을 일으켜서 거센 풍랑이 일어났다. 이 때문에 누구라도 ‘할망당’이라는 바위에 오르기를 꺼린다.


4. 서귀포시 하효동의 ‘신소’ : 이 마을 동쪽에는 ‘효돈천(孝敦川)’이 있으며, 그 하류 지역을 두고 ‘신소’라고 이른다. 이 마을 사람들은 이곳에 함부로 돌멩이 하나라도 던지는 일을 꺼린다. 돌멩이라도 던지면 이곳에 깃들어 있는 신이 놀라고, 놀란 신은 곧바로 바람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5. 가파도의 ‘까마귀돌’ : 제주도 부속도서 가운데 하나인 가파도의 남쪽에는 ‘황개’라는 포구가 있다. 그 바깥에 동서로 바윗돌이 길게 늘어서 있다. 가파도 사람들은 이곳을 ‘뒷성’이라고 한다. 가파도 사람들은 이 바윗돌을 의지하여 ‘황개’라는 포구를 만들 수 있었다. ‘뒷성’이라는 곳에는 커다란 바윗돌이 하나 서 있다. 이를 두고 ‘까마귀돌’이라고 한다.

이 돌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얽혀 있다. 1974년 8월 초순, 제주해운국(濟州海運局)에서 가파도 해안의 한 지점을 표시할 필요가 있어 가파도 사방 몇 군데에 하얀 페인트를 칠한 일이 있었다. 그때 제주해운국의 한 직원이 이 바윗돌에 올라갔다. 그로부터 사흘 뒤에 태풍이 불었다. 그들은 그날 무사히 이 섬을 떠날 수 있었지만 그때 이 섬에 있던 어선이 몇 척 뒤집히고 농작물이 말라죽는 등 많은 피해를 보았다.


6. 마라도의 ‘장군바위’ : 제주도 부속도서 가운데 하나인 마라도의 동남쪽에 ‘장군바위’가 있다. 섬사람들은 이 바위를 신령스럽게 여겨 왔다. 어느 누구라도 이 바위 중간쯤에 오르면 중간 크기의 너울이 치고, 끝까지 오르면 큰 너울이 친다고 믿었다. 이 때문에 섬사람들은 장군바위를 신성하게 여기고 그 가까이에서도 언동을 조심하였다. 그리고 마라도에서 포제(酺祭)와 기우제(祈雨祭)를 올리고 나서 다시 이곳에서 유교식으로 의례를 치렀다. 마라도 사람들은 이 의례를 두고 ‘신선하르[방제](/topic/방제)’라고 하였다. ‘신선하르방제’는 [제관](/topic/제관)과 집사 두 사람만으로 이루어졌다. 의례를 올리는 동안 제관은 “신선하르바님, 큰바람 막아 주옵소서”라고 구송(口誦)하였다.

함부로 거석에 올라가거나 신성한 물에 돌멩이를 던지는 등 금기를 어기면 자연물에 깃들어 있는 신이 조화를 부려 풍해를 일으켰다. 제주도와 가파도의 자연물이 풍해 방지를 기원하는 금기의 대상물이라면 마라도의 ‘장군바위’라는 자연물은 금기는 물론 의례의 대상이었다.
참고문헌제주도전설지 (제주도, 1985)
제주도부락지 3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1990)
마라도의 역사와 문화 (고광민, 미간행)
한국무속학회서울굿의 다양성과 구조김헌선2006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