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우제

한국무속신앙사전
가뭄을 극복하기 위해 비가 내리도록 비는 일체의 방식. 좁은 의미로는 제사 형식을 담고 있는 각종 기우 의례들을 가리키지만 넓은 의미로는 비가 내리기를 비는 일체의 주술적행위를 모두 포함한다. 이칭으로는 지역에 따라 ‘무제’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기우제 방식을 중심으로 보면 주술적 차원과 종교적 차원, 기우제를 주관하는 주체들을 중심으로 보면 민간기우제와 국행기우제로 각각 구분할 수 있다. 또 지리적 차원의 기우권역 측면에서 보면 자연[마을](/topic/마을) 단위의 마을기우제와 몇 개의 마을이 공동으로 주관하는 광역기우제로 구분할 수 있다.
definition
가뭄을 극복하기 위해 비가 내리도록 비는 일체의 방식. 좁은 의미로는 제사 형식을 담고 있는 각종 기우 의례들을 가리키지만 넓은 의미로는 비가 내리기를 비는 일체의 주술적행위를 모두 포함한다. 이칭으로는 지역에 따라 ‘무제’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기우제 방식을 중심으로 보면 주술적 차원과 종교적 차원, 기우제를 주관하는 주체들을 중심으로 보면 민간기우제와 국행기우제로 각각 구분할 수 있다. 또 지리적 차원의 기우권역 측면에서 보면 자연[마을](/topic/마을) 단위의 마을기우제와 몇 개의 마을이 공동으로 주관하는 광역기우제로 구분할 수 있다.
mp3Cnt
0
wkorname
김재호
정의가뭄을 극복하기 위해 비가 내리도록 비는 일체의 방식. 좁은 의미로는 제사 형식을 담고 있는 각종 기우 의례들을 가리키지만 넓은 의미로는 비가 내리기를 비는 일체의 주술적행위를 모두 포함한다. 이칭으로는 지역에 따라 ‘무제’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기우제 방식을 중심으로 보면 주술적 차원과 종교적 차원, 기우제를 주관하는 주체들을 중심으로 보면 민간기우제와 국행기우제로 각각 구분할 수 있다. 또 지리적 차원의 기우권역 측면에서 보면 자연[마을](/topic/마을) 단위의 마을기우제와 몇 개의 마을이 공동으로 주관하는 광역기우제로 구분할 수 있다.
정의가뭄을 극복하기 위해 비가 내리도록 비는 일체의 방식. 좁은 의미로는 제사 형식을 담고 있는 각종 기우 의례들을 가리키지만 넓은 의미로는 비가 내리기를 비는 일체의 주술적행위를 모두 포함한다. 이칭으로는 지역에 따라 ‘무제’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기우제 방식을 중심으로 보면 주술적 차원과 종교적 차원, 기우제를 주관하는 주체들을 중심으로 보면 민간기우제와 국행기우제로 각각 구분할 수 있다. 또 지리적 차원의 기우권역 측면에서 보면 자연[마을](/topic/마을) 단위의 마을기우제와 몇 개의 마을이 공동으로 주관하는 광역기우제로 구분할 수 있다.
Giuje refers to all types of rainmaking practices carried out to overcome drought.

A narrower definition would include only those structured as worship rituals, but the term is used more broadly to refer to all types of rainmaking sorcery.

In traditional societies without sufficient irrigation systems, rain rites served as a means of overcoming drought, which was not considered merely a natural phenomenon but a grave problem caused by the lack of virtue in the ruler.

Giuje can be categorized into sorcery and religious rites; or into state-organized rites and civilian rites.

State-organized rain rites in Joseon (1392-1910) were recorded and sorted into twelve categories during King Sukjong’s reign, among which the eleventh category includes the type held at the royal ancestral shrine Jongmyo; that held by the pond at Chundangdae Pavilion in Changgyeong Palace; and the Seokcheokdongja (Lizard Boy) rain rite. The first type is a Confucian ritual for ancestral worship; the second is also a Confucian rite held at famous mountains or rivers, or venues where a dragon is believed to reside; and the third involves children catching and playing with lizards. The lizard is a symbolic substitute for the dragon and the practice is an act of sorcery based on the belief that torturing a lizard under the blazing sun will persuade the heavenly dragon to bring rain.

Civilian rain rites entail differentiated gender roles. In rites held atop a famous mountain, men stage rituals that involve the digging up of secretly-buried corpses, building a bonfire to create smoke, and prayer recitation, while the ritual procedures for women include taking off their undergarments in large groups and urinating, after which water from the village is poured on the ground. Women’s rites can also involve sprinkling water with a winnow basket (ki); mock plowing while wearing bamboo rain hats; or hanging a treadwheel upside down. It was believed that women’s participation in rain rites was more effective than men’s.
为了克服干旱,祈求降雨的所有行为。

狭义地来说,“祈雨祭”是指具有祭祀形式的各种祈雨仪礼,而广义地来说,它包括祈求降雨的所有咒术行为。

在缺乏水利设施的传统社会,人们试图通过多种方式的祈雨祭来战胜干旱。尽管干旱是自然气候现象,但传统上,人们把干旱归咎于统治者无德,为此,古代社会会献上祈雨祭。

以祈雨祭进行的方式划分,可分为咒术层面和宗教层面;以主办祈雨祭的主体来划分,可分为“国家祈雨祭”和“民间祈雨祭”。

首先是国家祈雨祭的情形。朝鲜时代肃宗时整理的十二祭程祈雨祭中的十一祭程中就记载有宗庙,春塘台池边,蜥蜴童子祈雨等内容。

“宗庙”祭祀是祭拜祖神的儒教式祭祀方式;“春塘台池边”中的祈雨祭是在名山大川或认为龙所在的地方,以儒教式方式来祈雨;“蜥蜴童子祈雨”是让小童耍弄蜥蜴的方式。

人们认为蜥蜴是主管[雨水](/topic/雨水)的龙的替身,把蜥蜴捉来,放在烈日下用木棍击打时,龙就会降下雨,“蜥蜴童子祈雨”中包含着这样的咒术理念。

民间祈雨祭的形式,根据性别有所差异。男性的情形,一般是在名山的山顶掘开暗葬的墓,燃放浓烟,并念[祝文](/topic/祝文)来进行[告祀](/topic/告祀)的形式;女性的情形则是在脱掉内衣的情况下同时撒尿,并把带去的水泼洒出去的方式。除此之外,女性主管的祈雨祭还有用[簸箕](/topic/簸箕)扬水,头戴斗笠用犁模拟耕地,倒捆碓杆等多种事例。

特别是有一种观念认为,比起男性而言,女性在祈雨祭中更能发挥积极有效的作用。
Giuje es un término que se refiere a todos los tipos de prácticas de petición de lluvias llevadas a cabo para superar la sequía.

Pese a que la definición restrictiva del giuje puede incluir solamente aquellos rituales de petición de lluvias, dicho término se utiliza de manera amplia para referirse a todos los tipos de acto de hechicería con miras a pedir la lluvia. En las sociedades tradicionales, debido a la falta del sistema de irrigación, el ritual de petición de lluvias servía como una manera importante para superar la sequía que se consideraba no solo un fenómeno natural, sino también un gran problema causado por la falta de virtud del rey.

El giuje puede ser categorizado en la hechicería y el ritual religioso según la manera de realización del ritual, este ritual puede ser clasificado en el ritual oficiado por funcionarios gubernamentales, llamado “gukhaenggiuje” y el ritual realizado por ciudadanos según los sujetos que ofician el ritual que se denomina “mingangiuje”.

El gukhaenggiuje que se practicaba en la dinastía Joseon se registró y se clasificó en doce categorías durante el reinado de Sukjong. De las doce categorías, la 11º categoría incluye tres tipos del ritual: el primero es un ritual realizado en el santuario real confucionista, Jongmyo, el segundo es un ritual llevado a cabo en el pozo del pabellón de Chundangdaejibyeon y el último es un ritual de petición de lluvias que se denomina Seokcheokdongjagiu. El primer tipo de estos rituales es un ritual confuciano para adorar a los antepasados mientras el segundo tipo del ritual que se celebra en el pabellon de chandangdaejibyeon tiene por objetivo de pedir la lluvia en los montes famosos, los ríos espléndidos o el lugar donde se cree que vive un dragón. Por otra parte, el tercer tipo del ritual está relacionado con un niño que juega con una lagartija. La lagartija es un sustituto simbólico del dragón y la realización del ritual puede considerarse como un acto de hechicería basado en la convicción de que torturar a una lagartija bajo el sol abrasador podrá convencer al Dragón Celestial de traer la lluvia.

El mingangiuje implica la diferencia en los roles de género. En el caso del ritual llevado a cabo en una montaña famosa, los hombres excavan las tumbas enterradas de manera secreta, hacen una fogata para crear humo y recitan oraciones mientras las mujeres, que se reúnen en grupos se quitan su ropa interior y orinan de manera colectiva. A veces ellas traen el agua del pueblo y salpican el agua preparada sobre suelo. A pesar de ellos, los ritos realizados por las mujeres incluyen el regado con una cesta aventadora, simulación de arado llevando un sombrero de bambú o colgado un molino de cereales al revés. Se cree que la participación femenina en el giuje es más efectiva que la masculina.
Giuje refers to all types of rainmaking practices carried out to overcome drought.

A narrower definition would include only those structured as worship rituals, but the term is used more broadly to refer to all types of rainmaking sorcery.

In traditional societies without sufficient irrigation systems, rain rites served as a means of overcoming drought, which was not considered merely a natural phenomenon but a grave problem caused by the lack of virtue in the ruler.

Giuje can be categorized into sorcery and religious rites; or into state-organized rites and civilian rites.

State-organized rain rites in Joseon (1392-1910) were recorded and sorted into twelve categories during King Sukjong’s reign, among which the eleventh category includes the type held at the royal ancestral shrine Jongmyo; that held by the pond at Chundangdae Pavilion in Changgyeong Palace; and the Seokcheokdongja (Lizard Boy) rain rite. The first type is a Confucian ritual for ancestral worship; the second is also a Confucian rite held at famous mountains or rivers, or venues where a dragon is believed to reside; and the third involves children catching and playing with lizards. The lizard is a symbolic substitute for the dragon and the practice is an act of sorcery based on the belief that torturing a lizard under the blazing sun will persuade the heavenly dragon to bring rain.

Civilian rain rites entail differentiated gender roles. In rites held atop a famous mountain, men stage rituals that involve the digging up of secretly-buried corpses, building a bonfire to create smoke, and prayer recitation, while the ritual procedures for women include taking off their undergarments in large groups and urinating, after which water from the village is poured on the ground. Women’s rites can also involve sprinkling water with a winnow basket (ki); mock plowing while wearing bamboo rain hats; or hanging a treadwheel upside down. It was believed that women’s participation in rain rites was more effective than men’s.
为了克服干旱,祈求降雨的所有行为。

狭义地来说,“祈雨祭”是指具有祭祀形式的各种祈雨仪礼,而广义地来说,它包括祈求降雨的所有咒术行为。

在缺乏水利设施的传统社会,人们试图通过多种方式的祈雨祭来战胜干旱。尽管干旱是自然气候现象,但传统上,人们把干旱归咎于统治者无德,为此,古代社会会献上祈雨祭。

以祈雨祭进行的方式划分,可分为咒术层面和宗教层面;以主办祈雨祭的主体来划分,可分为“国家祈雨祭”和“民间祈雨祭”。

首先是国家祈雨祭的情形。朝鲜时代肃宗时整理的十二祭程祈雨祭中的十一祭程中就记载有宗庙,春塘台池边,蜥蜴童子祈雨等内容。

“宗庙”祭祀是祭拜祖神的儒教式祭祀方式;“春塘台池边”中的祈雨祭是在名山大川或认为龙所在的地方,以儒教式方式来祈雨;“蜥蜴童子祈雨”是让小童耍弄蜥蜴的方式。

人们认为蜥蜴是主管[雨水](/topic/雨水)的龙的替身,把蜥蜴捉来,放在烈日下用木棍击打时,龙就会降下雨,“蜥蜴童子祈雨”中包含着这样的咒术理念。

民间祈雨祭的形式,根据性别有所差异。男性的情形,一般是在名山的山顶掘开暗葬的墓,燃放浓烟,并念[祝文](/topic/祝文)来进行[告祀](/topic/告祀)的形式;女性的情形则是在脱掉内衣的情况下同时撒尿,并把带去的水泼洒出去的方式。除此之外,女性主管的祈雨祭还有用[簸箕](/topic/簸箕)扬水,头戴斗笠用犁模拟耕地,倒捆碓杆等多种事例。

特别是有一种观念认为,比起男性而言,女性在祈雨祭中更能发挥积极有效的作用。
Giuje es un término que se refiere a todos los tipos de prácticas de petición de lluvias llevadas a cabo para superar la sequía.

Pese a que la definición restrictiva del giuje puede incluir solamente aquellos rituales de petición de lluvias, dicho término se utiliza de manera amplia para referirse a todos los tipos de acto de hechicería con miras a pedir la lluvia. En las sociedades tradicionales, debido a la falta del sistema de irrigación, el ritual de petición de lluvias servía como una manera importante para superar la sequía que se consideraba no solo un fenómeno natural, sino también un gran problema causado por la falta de virtud del rey.

El giuje puede ser categorizado en la hechicería y el ritual religioso según la manera de realización del ritual, este ritual puede ser clasificado en el ritual oficiado por funcionarios gubernamentales, llamado “gukhaenggiuje” y el ritual realizado por ciudadanos según los sujetos que ofician el ritual que se denomina “mingangiuje”.

El gukhaenggiuje que se practicaba en la dinastía Joseon se registró y se clasificó en doce categorías durante el reinado de Sukjong. De las doce categorías, la 11º categoría incluye tres tipos del ritual: el primero es un ritual realizado en el santuario real confucionista, Jongmyo, el segundo es un ritual llevado a cabo en el pozo del pabellón de Chundangdaejibyeon y el último es un ritual de petición de lluvias que se denomina Seokcheokdongjagiu. El primer tipo de estos rituales es un ritual confuciano para adorar a los antepasados mientras el segundo tipo del ritual que se celebra en el pabellon de chandangdaejibyeon tiene por objetivo de pedir la lluvia en los montes famosos, los ríos espléndidos o el lugar donde se cree que vive un dragón. Por otra parte, el tercer tipo del ritual está relacionado con un niño que juega con una lagartija. La lagartija es un sustituto simbólico del dragón y la realización del ritual puede considerarse como un acto de hechicería basado en la convicción de que torturar a una lagartija bajo el sol abrasador podrá convencer al Dragón Celestial de traer la lluvia.

El mingangiuje implica la diferencia en los roles de género. En el caso del ritual llevado a cabo en una montaña famosa, los hombres excavan las tumbas enterradas de manera secreta, hacen una fogata para crear humo y recitan oraciones mientras las mujeres, que se reúnen en grupos se quitan su ropa interior y orinan de manera colectiva. A veces ellas traen el agua del pueblo y salpican el agua preparada sobre suelo. A pesar de ellos, los ritos realizados por las mujeres incluyen el regado con una cesta aventadora, simulación de arado llevando un sombrero de bambú o colgado un molino de cereales al revés. Se cree que la participación femenina en el giuje es más efectiva que la masculina.
내용기우제는 단순한 주술행위에서부터 복잡한 종교의례까지 동원되는 것으로 유형화하기조차 어려울 정도로 다양하고 비를 내리게 하는 원리는 대단히 복잡하다. 그것은 비를 기대할수 있으리라 판단되는 모든 수단과 방법이 기우제에 동원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기우제는 사소한 [유감주술](/topic/유감주술) 원리를 이용하는 것에서부터 전통적 종교 관념이나 사상까지 동원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리고 1회의 기우제에서 한 [가지](/topic/가지) 유형의 기우제만 설행하는 것이 아니라 강우의 가능성이 있는 여러 방법이 다발적으로 행해졌다. 국행기우제나 민간기우제로 구분하여 제의 내용과 방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국행기우제의 경우 조선시대 숙종 때 정리된 12제차의 기우제 중 11차를 보면 종묘(宗廟), 춘당대지변(春塘臺池邊), 석척동자기우(蜥蜴童子祈雨), 폐남문개북문(閉南門開北門), 천시(遷市) 등이 제시되어 있다. ‘종묘’ 제사는 [조상신](/topic/조상신)에 대한 유교식 제사 방식이고, ‘춘당대지변’에서 행하는 기우제는 명산대천 또는 용이 거처한다고 생각하는 곳에서 유교식으로 비가 내리기를 비는 것이다. ‘석척동자기우’는 어린아이로 하여금 도마뱀을 잡아다가 놀게 하는 것이다. 도마뱀은 비를 주관하는 용을 대신한 것으로, 이 방식에는 도마뱀을 잡아다가 작열하는 햇볕 아래서 작대기로 때리거나 괴롭히면 하늘의 용이 비를 내리게 한다는 주술적 관념이 담겨 있다. ‘폐남문개북문’은 도성의 남문은 닫고 북문은 열어 두는 방식이다. 이는 삼국시대부터 행하던 ‘4성문제’와 맥락이 통하며, [음양오행](/topic/음양오행)의 원리에 기반한 기우 방식이다. ‘천시’는 소통의 상징성이 특별히 강한 곳으로 시장을옮겨 여는 방식이다. 이는 가뭄의 원인이 소통의 부재에 있다고 보고 시장을 강변이나 [골목](/topic/골목) 안 등지로 옮기는 것이었다. 이러한 12제차의 국행기우제는 제사마다 정해진 품계의 [제관](/topic/제관)이 따로 정해져 있었다. 대체로 제차가 거듭될수록, 유교 제사 방식에 가까울수록 고위관리가 담당하였다.

민간기우제는 국행기우제보다 더 복잡다단하다. 시대 차이도 있지만 지역별 차이도 많다. 기우제 터만 보더라도 폭포가 있는 산간지역은 용소(龍沼)를 중심으로, 명산이 있는 곳은 산정(山頂)에서, 바위가 많은 곳은 바위 아래에서, 강이 있는 곳은 강변에서, 마르지 않은 샘이 있는 곳은 샘가에서 각각 지내는 등 차이를 보인다. 여기에 제의방식이 덧붙여지면 더욱 복잡한 양상을 띤다. 용소에서 기우제를 지내는 것은 대개 수신인 용을 자극하는 것이 기본적인 주술원리라고 할 수 있다. 국행기우제에서는 ‘[침호두](/topic/침호두)(沈虎頭)’라고 하여 호랑이 머리를 용소에 빠뜨려 물 속에 산다는 용을 자극함으로써 비가 올 수 있도록 하지만, 민간기우제에서는 개나 돼지 등 [동물](/topic/동물)을 잡아 그 피를 주변에 뿌려 기우제 터를 부정하게 함으로써 용을 자극하는 경우가 많다. 곧 동일한 유형의 기우제 터라고 하더라도 기우제 방식은 천차만별로 다르며, 주술원리 또한 다를 수 있다. 유교식 기우제가 온갖정성을 들이는 순응적 제사 방식이라고 할 수 있는 반면에 동물의 피를 용소에 바르는 것은 용을 자극하는 대항적 제사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기우제 방식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모습을 취한다. 그 방식은 대체로 지역의 문화 전통과 관련된다. 즉 어디에서 어떤 방식으로 기우제를 지내는 것이 가장 효험이 있는지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경험적 지식에 기반하여 민간기우제가 설행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민간기우제 역시 국행기우제와 흡사하게 여러 가지 기우주술을 겹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자연[마을](/topic/마을) 단위별로 그 마을에서 가장 효험이 있으리라 기대되는 방식의 기우제가 설행됨과 동시에 몇 개의 자연마을이 합동으로 특정 지역에서 거듭 지내는 경우도 많다. 이때 동참하는 자연마을들은 같은 기우권역에 속하는 것이 되며, 이런 경우 해당 관청의 장이 제관으로 참여하기도 한다. 민간기우제의 양상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기도 하다. 명산의 산정에서 지내는 경우 남성들이 암장한 묘를 파헤치고, 연기를 심하게 내면서 불을 피우고, [독축](/topic/독축)[고사](/topic/고사) 형태의 제를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라면 여성들은 [속옷](/topic/속옷)을 벗은 상태에서 일제히 방뇨를 하며 준비해 간 물을 끼얹는 등의 방식을 주로 채택하고 있다. 이 밖에도 여성이 주관하는 기우제에는 키로 물 까불기, [삿갓](/topic/삿갓) 쓰고 [쟁기](/topic/쟁기)로 모의 [마당](/topic/마당) 갈기, [디딜방아](/topic/디딜방아) 거꾸로 매기 등 매우 다양한 사례들이 있다. 특히 남성보다는 여성이 기우제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이 효험을 크게 한다는 관념이 있다.
내용기우제는 단순한 주술행위에서부터 복잡한 종교의례까지 동원되는 것으로 유형화하기조차 어려울 정도로 다양하고 비를 내리게 하는 원리는 대단히 복잡하다. 그것은 비를 기대할수 있으리라 판단되는 모든 수단과 방법이 기우제에 동원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기우제는 사소한 [유감주술](/topic/유감주술) 원리를 이용하는 것에서부터 전통적 종교 관념이나 사상까지 동원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리고 1회의 기우제에서 한 [가지](/topic/가지) 유형의 기우제만 설행하는 것이 아니라 강우의 가능성이 있는 여러 방법이 다발적으로 행해졌다. 국행기우제나 민간기우제로 구분하여 제의 내용과 방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국행기우제의 경우 조선시대 숙종 때 정리된 12제차의 기우제 중 11차를 보면 종묘(宗廟), 춘당대지변(春塘臺池邊), 석척동자기우(蜥蜴童子祈雨), 폐남문개북문(閉南門開北門), 천시(遷市) 등이 제시되어 있다. ‘종묘’ 제사는 [조상신](/topic/조상신)에 대한 유교식 제사 방식이고, ‘춘당대지변’에서 행하는 기우제는 명산대천 또는 용이 거처한다고 생각하는 곳에서 유교식으로 비가 내리기를 비는 것이다. ‘석척동자기우’는 어린아이로 하여금 도마뱀을 잡아다가 놀게 하는 것이다. 도마뱀은 비를 주관하는 용을 대신한 것으로, 이 방식에는 도마뱀을 잡아다가 작열하는 햇볕 아래서 작대기로 때리거나 괴롭히면 하늘의 용이 비를 내리게 한다는 주술적 관념이 담겨 있다. ‘폐남문개북문’은 도성의 남문은 닫고 북문은 열어 두는 방식이다. 이는 삼국시대부터 행하던 ‘4성문제’와 맥락이 통하며, [음양오행](/topic/음양오행)의 원리에 기반한 기우 방식이다. ‘천시’는 소통의 상징성이 특별히 강한 곳으로 시장을옮겨 여는 방식이다. 이는 가뭄의 원인이 소통의 부재에 있다고 보고 시장을 강변이나 [골목](/topic/골목) 안 등지로 옮기는 것이었다. 이러한 12제차의 국행기우제는 제사마다 정해진 품계의 [제관](/topic/제관)이 따로 정해져 있었다. 대체로 제차가 거듭될수록, 유교 제사 방식에 가까울수록 고위관리가 담당하였다.

민간기우제는 국행기우제보다 더 복잡다단하다. 시대 차이도 있지만 지역별 차이도 많다. 기우제 터만 보더라도 폭포가 있는 산간지역은 용소(龍沼)를 중심으로, 명산이 있는 곳은 산정(山頂)에서, 바위가 많은 곳은 바위 아래에서, 강이 있는 곳은 강변에서, 마르지 않은 샘이 있는 곳은 샘가에서 각각 지내는 등 차이를 보인다. 여기에 제의방식이 덧붙여지면 더욱 복잡한 양상을 띤다. 용소에서 기우제를 지내는 것은 대개 수신인 용을 자극하는 것이 기본적인 주술원리라고 할 수 있다. 국행기우제에서는 ‘[침호두](/topic/침호두)(沈虎頭)’라고 하여 호랑이 머리를 용소에 빠뜨려 물 속에 산다는 용을 자극함으로써 비가 올 수 있도록 하지만, 민간기우제에서는 개나 돼지 등 [동물](/topic/동물)을 잡아 그 피를 주변에 뿌려 기우제 터를 부정하게 함으로써 용을 자극하는 경우가 많다. 곧 동일한 유형의 기우제 터라고 하더라도 기우제 방식은 천차만별로 다르며, 주술원리 또한 다를 수 있다. 유교식 기우제가 온갖정성을 들이는 순응적 제사 방식이라고 할 수 있는 반면에 동물의 피를 용소에 바르는 것은 용을 자극하는 대항적 제사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기우제 방식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모습을 취한다. 그 방식은 대체로 지역의 문화 전통과 관련된다. 즉 어디에서 어떤 방식으로 기우제를 지내는 것이 가장 효험이 있는지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경험적 지식에 기반하여 민간기우제가 설행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민간기우제 역시 국행기우제와 흡사하게 여러 가지 기우주술을 겹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자연[마을](/topic/마을) 단위별로 그 마을에서 가장 효험이 있으리라 기대되는 방식의 기우제가 설행됨과 동시에 몇 개의 자연마을이 합동으로 특정 지역에서 거듭 지내는 경우도 많다. 이때 동참하는 자연마을들은 같은 기우권역에 속하는 것이 되며, 이런 경우 해당 관청의 장이 제관으로 참여하기도 한다. 민간기우제의 양상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기도 하다. 명산의 산정에서 지내는 경우 남성들이 암장한 묘를 파헤치고, 연기를 심하게 내면서 불을 피우고, [독축](/topic/독축)[고사](/topic/고사) 형태의 제를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라면 여성들은 [속옷](/topic/속옷)을 벗은 상태에서 일제히 방뇨를 하며 준비해 간 물을 끼얹는 등의 방식을 주로 채택하고 있다. 이 밖에도 여성이 주관하는 기우제에는 키로 물 까불기, [삿갓](/topic/삿갓) 쓰고 [쟁기](/topic/쟁기)로 모의 [마당](/topic/마당) 갈기, [디딜방아](/topic/디딜방아) 거꾸로 매기 등 매우 다양한 사례들이 있다. 특히 남성보다는 여성이 기우제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이 효험을 크게 한다는 관념이 있다.
역사수리시설이 부족한 전통사회에서는 다양한 방식의 기우제를 통해 가뭄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비에 대한 관심은 에서 이미 확인된다. 환웅(桓雄)이 풍백(風伯), 우사(雨師), 운사(雲師)를 거느리고 인간세계에 하강했다는 것은 이런 점을 잘 드러내고 있다.

전통적으로 가뭄은 자연기후 현상임에도 치자(治者)의 부덕(不德)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여겼다. 고대 부족국가인 부여의 경우 가뭄이나 장마가 계속되어 [오곡](/topic/오곡)이 영글지 않으면 그 허물을 왕에게 돌려 ‘왕을 마땅히 바꾸어야 한다’고 하거나 ‘죽여야 한다’는 풍속이 있었다. 마여(麻余)가 죽자 그의 아들인 여섯 살짜리 의려(依慮)를 세워 왕으로 삼았다는 기록이『 삼국지(三國志)』「 위서 동이전」에 전한다. 이런 관념은 조선시대에까지 강하게 지속된다. 비록 왕을 죽이거나 바꾸는 등 극단적인 방법은 동원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왕 스스로 부덕과 실정으로 인해 한발이 있는 것으로 여겨 다양한 속죄 의례를 통해 비를 기원하였다. 정전(正殿) 옮기기, 일산(日傘) 쓰지 않기, 감선(減膳)하기, 형옥(刑獄) 풀기 등은 모두 이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지(志) 제사조에는 4성문제(四城門祭), 4[천상제](/topic/천상제)(四川上祭), 일월제(日月祭), 오성제(五星祭), 4대도제(四大道祭), 압구제(壓丘祭), 벽기제(辟氣祭) 등이언급되어 있다. 그리고「 본기(本紀)」에서는 삼국에서 각각 시조묘(始祖廟)나 명산대천 등에 기우제를 올리는 것은 물론 백성들에게 다양한 선정(善政)베풀기를 한 사실이 두루확인된다. 명산대천에 기우제를 올린 예는 조선시대와 비교할 때 그렇게 다양하지 않다. 또 선정 베풀기로는 백성들을 동원하는 역사(役事) 중지, 재조사를 통한 죄수 사면, 백성구휼, 조세감면, 덕 있고 능력 있는 인재 등용 등 사례가 다양하다. 그리고 한발의 책임을 왕 자신의 부덕과 실정에서 기인한 것으로 여겨서 정전을 피해 앉으며, 음식을 평상시보다 줄이는 등 근신을 행한 사실도 확인된다. 용 그림을 그려 빌거나 시장을 옮긴 경우도 있었다.

고려시대에는 더욱 다양한 기우제의 양상이 드러난다.『 고려사』를 통해 볼 때 선정 베풀기, 근신, [조상신](/topic/조상신)에 대한 제사, 궁전 및 내전에서 제사, 불교식 제사, 영성(靈星)에 대한 제사, 무속 제사, 명산대천을 비롯한 자연신에 대한 제사, 시장 옮기기, 토룡을 만들거나 용을 그려 놓고 빌기 등 매우 다양한 유형의 기우제가 있었다. 왕의 근신도 삼국시대보다 더욱 다양해졌을 뿐만 아니라 엄격해졌다. 부채 사용 금지, 음악 금지, [삿갓](/topic/삿갓) 등 [모자](/topic/모자) 착용 금지, 금주, [가축](/topic/가축) 도살 금지 등이 추가로 실시되었다.

고려시대의 특징으로는 국교가 불교인만큼 밀교(密敎) 성격이 강한 다양한 도량(道場)과 법회의 개설, 도교의 성격이 짙은 구요당(九曜堂) 제사나 태일(太一)에 대한 초제(醮祭),무당을 모아서 비가 내리기를 빌게 하는 취무도우(聚巫禱雨) 등을 들 수 있다. 취무도우의 경우 많은 때에는 300명, 길게는 엿새 동안 무당들을 도성에 모은 사례들도 있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기우제 양식이 더욱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을 띤다. 크게는 폭로(暴露)의례, 기우제룡(祈雨祭龍), 유교식의 기고(祈告)의례 방식으로 정리할 수 있다. 폭로의례는 [기후](/topic/기후)재변의 원인 제공자라고 할 수 있는 왕이나 무당 등을 뜨거운 햇볕에 폭로시켜 고통을 줌으로써 비가 내리기를 비는 방식이다. 기우제룡은 물의 신인 용에게 비가 내리기를 비는 방식이다. 이는 용의 모습을 본떠 형상화한 상룡(像龍), 용을 대신할 유사 [동물](/topic/동물)을 이용하는 대룡(代龍), 용이 거처하는 곳으로 여겨지는 장소에서 행하는 잠룡(潛龍)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교식의 기고의례는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기우제 양식을 말한다. 그 제의 절차나 양식은 1704년(숙종 30)에 12제차로 정식화되었다. 당시의 『[기우[제등](/topic/제등)록](/topic/기우제등록)(祈雨祭謄錄)』을 참고하면 다음과 같다. 1차: [삼각산](/topic/삼각산)ㆍ목멱산ㆍ한강, 2차: 용산강ㆍ저자도, 3차: 풍운뇌우산천ㆍ우사(雩祀), 4차: 북교ㆍ사직, 5차: 종묘,6차: 삼각산ㆍ목멱산ㆍ한강의 [침호두](/topic/침호두)(沈虎頭), 7차: 용산강ㆍ저자도, 8차: 풍운뇌우산천ㆍ우사, 9차: 북교ㆍ모화관지변ㆍ석척동자기우, 10차: 사직ㆍ경회루지변ㆍ석척동자기우, 11차: 종묘ㆍ춘당대지변ㆍ석척동자기우ㆍ폐남문개북문ㆍ천시(遷市), 12차: 오방토룡제(五方土龍祭) 등이다. 이러한 조선 후기 국행기우제는 고려시대나 조선 초기와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무엇보다 승려나 무당·맹인이 배제되었으며, 오직 [유자](/topic/유자)(儒者)로 [제관](/topic/제관)이 일원화된 것이 특징이다.

이상의 기술은 모두 국가가 주관한 국행기우제에 해당한다. 민간에서 행한 민간기우제는 문헌[사료](/topic/사료)가 거의 부재하기 때문에 역사적 변천 과정을 정리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민간기우제 역시 국행기우제와 흡사하였을 것으로 여겨지며, 제의 양상은 더욱 다양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민간기우제는 [생업](/topic/생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직접 행하는 것으로, 그 절박함으로 인해 굳이 제사 형식을 띠지 않은 것도 많았다. 경남 합천 지역의 [디딜방아](/topic/디딜방아)기우제, 경북 남부지역과 경남지역의 꽝철이 쫓기, 충남 금산의 ‘농바우끄시기’, 경북 고령의 미숭산 천제당 기우제 등은 대표적인 사례로 여겨진다.
역사수리시설이 부족한 전통사회에서는 다양한 방식의 기우제를 통해 가뭄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비에 대한 관심은 에서 이미 확인된다. 환웅(桓雄)이 풍백(風伯), 우사(雨師), 운사(雲師)를 거느리고 인간세계에 하강했다는 것은 이런 점을 잘 드러내고 있다.

전통적으로 가뭄은 자연기후 현상임에도 치자(治者)의 부덕(不德)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여겼다. 고대 부족국가인 부여의 경우 가뭄이나 장마가 계속되어 [오곡](/topic/오곡)이 영글지 않으면 그 허물을 왕에게 돌려 ‘왕을 마땅히 바꾸어야 한다’고 하거나 ‘죽여야 한다’는 풍속이 있었다. 마여(麻余)가 죽자 그의 아들인 여섯 살짜리 의려(依慮)를 세워 왕으로 삼았다는 기록이『 삼국지(三國志)』「 위서 동이전」에 전한다. 이런 관념은 조선시대에까지 강하게 지속된다. 비록 왕을 죽이거나 바꾸는 등 극단적인 방법은 동원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왕 스스로 부덕과 실정으로 인해 한발이 있는 것으로 여겨 다양한 속죄 의례를 통해 비를 기원하였다. 정전(正殿) 옮기기, 일산(日傘) 쓰지 않기, 감선(減膳)하기, 형옥(刑獄) 풀기 등은 모두 이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지(志) 제사조에는 4성문제(四城門祭), 4[천상제](/topic/천상제)(四川上祭), 일월제(日月祭), 오성제(五星祭), 4대도제(四大道祭), 압구제(壓丘祭), 벽기제(辟氣祭) 등이언급되어 있다. 그리고「 본기(本紀)」에서는 삼국에서 각각 시조묘(始祖廟)나 명산대천 등에 기우제를 올리는 것은 물론 백성들에게 다양한 선정(善政)베풀기를 한 사실이 두루확인된다. 명산대천에 기우제를 올린 예는 조선시대와 비교할 때 그렇게 다양하지 않다. 또 선정 베풀기로는 백성들을 동원하는 역사(役事) 중지, 재조사를 통한 죄수 사면, 백성구휼, 조세감면, 덕 있고 능력 있는 인재 등용 등 사례가 다양하다. 그리고 한발의 책임을 왕 자신의 부덕과 실정에서 기인한 것으로 여겨서 정전을 피해 앉으며, 음식을 평상시보다 줄이는 등 근신을 행한 사실도 확인된다. 용 그림을 그려 빌거나 시장을 옮긴 경우도 있었다.

고려시대에는 더욱 다양한 기우제의 양상이 드러난다.『 고려사』를 통해 볼 때 선정 베풀기, 근신, [조상신](/topic/조상신)에 대한 제사, 궁전 및 내전에서 제사, 불교식 제사, 영성(靈星)에 대한 제사, 무속 제사, 명산대천을 비롯한 자연신에 대한 제사, 시장 옮기기, 토룡을 만들거나 용을 그려 놓고 빌기 등 매우 다양한 유형의 기우제가 있었다. 왕의 근신도 삼국시대보다 더욱 다양해졌을 뿐만 아니라 엄격해졌다. 부채 사용 금지, 음악 금지, [삿갓](/topic/삿갓) 등 [모자](/topic/모자) 착용 금지, 금주, [가축](/topic/가축) 도살 금지 등이 추가로 실시되었다.

고려시대의 특징으로는 국교가 불교인만큼 밀교(密敎) 성격이 강한 다양한 도량(道場)과 법회의 개설, 도교의 성격이 짙은 구요당(九曜堂) 제사나 태일(太一)에 대한 초제(醮祭),무당을 모아서 비가 내리기를 빌게 하는 취무도우(聚巫禱雨) 등을 들 수 있다. 취무도우의 경우 많은 때에는 300명, 길게는 엿새 동안 무당들을 도성에 모은 사례들도 있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기우제 양식이 더욱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을 띤다. 크게는 폭로(暴露)의례, 기우제룡(祈雨祭龍), 유교식의 기고(祈告)의례 방식으로 정리할 수 있다. 폭로의례는 [기후](/topic/기후)재변의 원인 제공자라고 할 수 있는 왕이나 무당 등을 뜨거운 햇볕에 폭로시켜 고통을 줌으로써 비가 내리기를 비는 방식이다. 기우제룡은 물의 신인 용에게 비가 내리기를 비는 방식이다. 이는 용의 모습을 본떠 형상화한 상룡(像龍), 용을 대신할 유사 [동물](/topic/동물)을 이용하는 대룡(代龍), 용이 거처하는 곳으로 여겨지는 장소에서 행하는 잠룡(潛龍)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교식의 기고의례는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기우제 양식을 말한다. 그 제의 절차나 양식은 1704년(숙종 30)에 12제차로 정식화되었다. 당시의 『[기우[제등](/topic/제등)록](/topic/기우제등록)(祈雨祭謄錄)』을 참고하면 다음과 같다. 1차: [삼각산](/topic/삼각산)ㆍ목멱산ㆍ한강, 2차: 용산강ㆍ저자도, 3차: 풍운뇌우산천ㆍ우사(雩祀), 4차: 북교ㆍ사직, 5차: 종묘,6차: 삼각산ㆍ목멱산ㆍ한강의 [침호두](/topic/침호두)(沈虎頭), 7차: 용산강ㆍ저자도, 8차: 풍운뇌우산천ㆍ우사, 9차: 북교ㆍ모화관지변ㆍ석척동자기우, 10차: 사직ㆍ경회루지변ㆍ석척동자기우, 11차: 종묘ㆍ춘당대지변ㆍ석척동자기우ㆍ폐남문개북문ㆍ천시(遷市), 12차: 오방토룡제(五方土龍祭) 등이다. 이러한 조선 후기 국행기우제는 고려시대나 조선 초기와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무엇보다 승려나 무당·맹인이 배제되었으며, 오직 [유자](/topic/유자)(儒者)로 [제관](/topic/제관)이 일원화된 것이 특징이다.

이상의 기술은 모두 국가가 주관한 국행기우제에 해당한다. 민간에서 행한 민간기우제는 문헌[사료](/topic/사료)가 거의 부재하기 때문에 역사적 변천 과정을 정리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민간기우제 역시 국행기우제와 흡사하였을 것으로 여겨지며, 제의 양상은 더욱 다양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민간기우제는 [생업](/topic/생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직접 행하는 것으로, 그 절박함으로 인해 굳이 제사 형식을 띠지 않은 것도 많았다. 경남 합천 지역의 [디딜방아](/topic/디딜방아)기우제, 경북 남부지역과 경남지역의 꽝철이 쫓기, 충남 금산의 ‘농바우끄시기’, 경북 고령의 미숭산 천제당 기우제 등은 대표적인 사례로 여겨진다.
지역사례기우제의 지역사례 역시 매우 다양하며, 거의 동일한 것이 없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이제까지 많은 연구에서 기우제의 유형화를 시도하였지만 모든 기우제를 포괄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행기우제는 문헌자료로 일정 부분 정리가 가능한 반면에 민간기우제는 일일이 현지조사를 하지 않을 경우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민간기우제를 중심으로 대표적인 몇 [가지](/topic/가지) 지역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충남 금산군의 ‘농바우끄시기’이다. 이는 2000년 9월 20일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32호’로 지정된 기우제이며, ‘농바우끄시기’는 ‘농(籠)바위 끌기’라는 뜻이다.‘농바위’는 시루봉 중턱에 있으며, 생긴 모습이 [반닫이](/topic/반닫이) 농을 뒤집어 놓은 것과 같다는 데서 유래한 명칭이다. 사람이 죽을 정도로 날씨가 가물면 [마을](/topic/마을) 여성들이 나서서 이 농바위를 끄는 시늉을 한다. 이에 앞서 집집마다 물병에 소나무 가지를 꽂아 거꾸로 매다는 물병매기, 추렴한 짚으로 동아줄을 꼬아 농바우에 거는 용줄매기, 마을 아낙들이 농바우에도착하여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는 산제, 농바우 아래 계[곡물](/topic/곡물)에 아낙들이 옷을 벗고 떼지어 들어가 키로 물을 까부는 날궂이 등을 행한다. 그런 뒤 농바우를 끌면 농바우가 아래로굴러 떨어지기 전에 비가 내린다고 한다. 이는 결국 용을 자극하는 유형의 기우제라 할 수 있다.

둘째, 사시(徙市)기우제이다. ‘사시’는 달리 천시(遷市), 이시(移市)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는 주로 강변에 임시로 장을 서게 하는 것으로, ‘강변장 내보이기’라고 불린다. 경북 예천군의 경우 한발이 심할 경우 여러 조처를 취하다가 마지막으로 읍내 중앙을 흐르는 한천(漢川)의 모래밭에 시장을 내어다 보인 적이 꽤 많았다. 이런 예들은 면 단위에서도 있었으며, 정기시장이 서는 곳에서 가능했다. 이때 가정에서는 집집마다 [처마](/topic/처마) 끝에 버드나무 가지를 꽂았다. 이와는 달리 충남 서천에서는 강이 아닌 남산으로 시장을 옮겼다. 서천의 남산은 백제 멸망 이후 당나라에 끌려간 사람들의 안녕을 비는 장소이며, 혼인한 부녀자들이 친정 식구나 친지·친구들을 만나는 [반보기](/topic/반보기)의 장소이기도 하고, 정상적인 혼인이 어려운 처지의 사람들이 만나 혼인의 기회를 얻는 장소로 활용된 곳이기도 하다. 이런 맥락 속에서 서천의 남산은 가뭄이 심할 때 임시 장을 열어 비가 내리기를 비는사시기우제 터로 이용됐다.

셋째, 용소(龍沼)기우제이다. 경북 문경시 가은읍 완장리에서는 백두대간에 속하는 대야산 아래에 있는 용초(龍湫)에서 무제를 지냈다. 예전에는 용초에 흘러드는 물을 막아 돌리고 무제를 지냈다. 최근에는 용초에 흘러드는 물을 막고 그 안에 있는 물을 모두 퍼낸다. 용초 안 바닥이 드러나면, 그곳에 젖은 나무나 마른 나무를 가리지 않고 잔뜩 채워서 불을 지른다. 그러면 연기와 불이 하늘로 치솟는데, 그때 사람들은 “용꼬리 탄다!”라고 외친다. 그런 뒤 산 돼지를 잡아 목을 따서 피를 사방에 뿌리고 제사를 지낸다. 2001년 음력 [윤사월](/topic/윤사월) 열엿새에 지낸 기우제의 실황이 지역 유선방송에 방영되기도 하였다. 이와 흡사하게 안동시 임동면 지례동에서는 도연폭포와 영검산에서 동시에 기우제를 지낸 사례가있다. 영검산에서는 불을 피우고 도연폭포에서는 개를 잡아 피를 용초 주변에 뿌렸다. 문경시의 사례가 용이 사는 곳의 물을 퍼내서 말리고, 용꼬리에 불을 지피며, 돼지 피를 용초 주변에 뿌려서 용을 자극한 것이라고 한다면, 안동시의 사례는 개의 피를 이용해 용을 자극한 것이라 할수 있다.

넷째, 명산(名山)기우제이다. 대표적인 사례는 경북 고령군 쌍림면 월막리 일대의 미숭산(美崇山) 기우제이다. 미숭산은 고령 지역에서는 가장 높은 산으로, 정상에는 천제당(天祭堂)이 있다. 산의 이름은 고려 말의 충신인 이미숭(李美崇) [장군](/topic/장군)의 이름을 딴 것으로, 역성혁명을 일으킨 [이성계](/topic/이성계)(李成桂)에 항거하여 산성을 쌓고 결사항전을 벌인 곳으로 유명하다. 산 정상은 인근에서 [명당](/topic/명당)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곳에 묘를 쓰면 사방에 가뭄이 들고 인근지역 청장년들이 죽는 등 온갖 재앙이 발생한다는 속설이 있어 아무도 묘를 쓰지 않는다. 미숭산은 월막리 현풍 곽씨들의 소유이지만 [문중](/topic/문중) 마음대로 할 수가 없다. 일전에 조상 묘를 이곳으로 이장한 적이 있으나 동네 주민들의 원성이 자자하여 결국묘를 정상이 아닌 아래쪽으로 옮겼다.특히 미숭산 기우제의 영험은 주민들이 1988년에 직접 겪기도 하였다.

1988년의 가뭄은 수십 년 만의 가뭄으로, 주민들은 이야기로만 전해 내려오던 미숭산 천제당에 기우제를 지내기로 하고 인근 마을 주민 수백 명이 낫과 곡[괭이](/topic/괭이)를 들고 산에 올라갔다. 아니나 다를까, 누군가 몰래 묘를 쓴 흔적이 있었다. 암장의 흔적을 보고 주민들은 분노했고, 검은 연기를 산봉우리에서 피우면서 제를 지냈다. 제를 지낸 뒤 곡괭이로 묘를 파헤치기 시작할 무렵에 갑자기 검은 구름이 몰려들기 시작하였다. 소나기가 세차게 퍼부었으며, [농민](/topic/농민)들은 환희의 함성을 터트렸다. 암장한 묘를 파헤치기 전에 비가 내린 것이었다. 암장한 사람은 밀양 사람으로 밝혀졌으며, 그는 즉시 이장하겠다고 약속했다. 미숭산 천제당 기우제에는 남성만 참여할 수 있으며, 이때 동네 여성들은 동네 보(洑)에서기도하고 있다가 천제당에서 내려오는 [농악](/topic/농악)소리가 가까이 들리면 바가지로 봇물을 퍼 뿌리면서 “비가 온다! 비가 온다!”라고 고함을 질렀다.

이와 유사한 사례는 예천군 용문면과 유천면 일대 국사봉 기우제에서도 볼 수 있다. 예천군 국사봉 역시 명당으로 소문이 나 있으며, 묘로 쓴 경우 그 후손은 명당의 지기(地氣)를 받아 복록을 누리지만 인근에는 가뭄이 든다고 한다. 이 때문에 가뭄이 심하면 국사봉 인근의 주민들은 마을마다 나름대로의 기우제를 지낸 다음 다시 합동하여 국사봉에 오른다. 산 정상에 암장한 묘를 찾아 파헤치고 연기를 크게 피운 뒤 제사를 지낸다. 이때에는 면장과 지역 기관장들이 참석한다.

다섯째, 꽝철이 쫓기이다. 이 기우제는 경북 남부지역이나 경남지방에서 주로 확인되는 유형이다. 꽝철이는 용이 되지 못해 하늘로 올라가지 못하고 땅에 떨어진 상상의 [동물](/topic/동물)이다. 꽝철이는 비를 매우 싫어해 꽝철이가 내려앉은 지역은 가뭄이 극심하다고 한다. 꽝철이는 주로 산 능선에 앉기 때문에 가뭄이 심하면 주민들은 산 능선을 다니면서 [꽹과리](/topic/꽹과리)나 징을 쳐서 꽝철이를 쫓았다. 꽝철이는 코에 물이 들어가면 사라진다고 하며, 날아갈 때는 불덩이가 보인다고 한다.
참고문헌중세사회의 기우의식에 대한 고찰 (박계홍, 한국민속연구, 형설출판사, 1973)
합천기우지 (박문목, 합천군, 1987)
高麗史, 祈雨祭謄錄, 三國遺事, 三國志, 三國史記, 금산의 민간 기우와 민중들의 사고 (김미순, 금산의 [마을](/topic/마을)공동체신앙, 한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1990)
도연기우제의 민속지와 주술적 장치 (임재해, 한국민속과 전통의 세계, 지식산업사, 1994)
서천 남산장의 공간적 기능 변화 고찰-집단 [반보기](/topic/반보기) 사시(徙市) 공간의 의미를 중심으로 (정형호, 민속학연구 3, 국립민속박물관, 1996)
기우제와 지역사회 (임장혁, 민속원, 1999)
산골사람들의 물 이용과 민속적 분류체계 (김재호, 안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기우[제등](/topic/제등)록](/topic/기우제등록)』과 [기후](/topic/기후)의례 (최종성,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기우제의 지역 간 비교와 기우문화의 지역성 (김재호, 비교민속학 33, 비교민속학회, 2007)
사시기우제의 기우원리와 시장의 소통성 (김재호, 한국민속학 50, 한국민속학회, 2009)
지역사례기우제의 지역사례 역시 매우 다양하며, 거의 동일한 것이 없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이제까지 많은 연구에서 기우제의 유형화를 시도하였지만 모든 기우제를 포괄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행기우제는 문헌자료로 일정 부분 정리가 가능한 반면에 민간기우제는 일일이 현지조사를 하지 않을 경우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민간기우제를 중심으로 대표적인 몇 [가지](/topic/가지) 지역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충남 금산군의 ‘농바우끄시기’이다. 이는 2000년 9월 20일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32호’로 지정된 기우제이며, ‘농바우끄시기’는 ‘농(籠)바위 끌기’라는 뜻이다.‘농바위’는 시루봉 중턱에 있으며, 생긴 모습이 [반닫이](/topic/반닫이) 농을 뒤집어 놓은 것과 같다는 데서 유래한 명칭이다. 사람이 죽을 정도로 날씨가 가물면 [마을](/topic/마을) 여성들이 나서서 이 농바위를 끄는 시늉을 한다. 이에 앞서 집집마다 물병에 소나무 가지를 꽂아 거꾸로 매다는 물병매기, 추렴한 짚으로 동아줄을 꼬아 농바우에 거는 용줄매기, 마을 아낙들이 농바우에도착하여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는 산제, 농바우 아래 계[곡물](/topic/곡물)에 아낙들이 옷을 벗고 떼지어 들어가 키로 물을 까부는 날궂이 등을 행한다. 그런 뒤 농바우를 끌면 농바우가 아래로굴러 떨어지기 전에 비가 내린다고 한다. 이는 결국 용을 자극하는 유형의 기우제라 할 수 있다.

둘째, 사시(徙市)기우제이다. ‘사시’는 달리 천시(遷市), 이시(移市)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는 주로 강변에 임시로 장을 서게 하는 것으로, ‘강변장 내보이기’라고 불린다. 경북 예천군의 경우 한발이 심할 경우 여러 조처를 취하다가 마지막으로 읍내 중앙을 흐르는 한천(漢川)의 모래밭에 시장을 내어다 보인 적이 꽤 많았다. 이런 예들은 면 단위에서도 있었으며, 정기시장이 서는 곳에서 가능했다. 이때 가정에서는 집집마다 [처마](/topic/처마) 끝에 버드나무 가지를 꽂았다. 이와는 달리 충남 서천에서는 강이 아닌 남산으로 시장을 옮겼다. 서천의 남산은 백제 멸망 이후 당나라에 끌려간 사람들의 안녕을 비는 장소이며, 혼인한 부녀자들이 친정 식구나 친지·친구들을 만나는 [반보기](/topic/반보기)의 장소이기도 하고, 정상적인 혼인이 어려운 처지의 사람들이 만나 혼인의 기회를 얻는 장소로 활용된 곳이기도 하다. 이런 맥락 속에서 서천의 남산은 가뭄이 심할 때 임시 장을 열어 비가 내리기를 비는사시기우제 터로 이용됐다.

셋째, 용소(龍沼)기우제이다. 경북 문경시 가은읍 완장리에서는 백두대간에 속하는 대야산 아래에 있는 용초(龍湫)에서 무제를 지냈다. 예전에는 용초에 흘러드는 물을 막아 돌리고 무제를 지냈다. 최근에는 용초에 흘러드는 물을 막고 그 안에 있는 물을 모두 퍼낸다. 용초 안 바닥이 드러나면, 그곳에 젖은 나무나 마른 나무를 가리지 않고 잔뜩 채워서 불을 지른다. 그러면 연기와 불이 하늘로 치솟는데, 그때 사람들은 “용꼬리 탄다!”라고 외친다. 그런 뒤 산 돼지를 잡아 목을 따서 피를 사방에 뿌리고 제사를 지낸다. 2001년 음력 [윤사월](/topic/윤사월) 열엿새에 지낸 기우제의 실황이 지역 유선방송에 방영되기도 하였다. 이와 흡사하게 안동시 임동면 지례동에서는 도연폭포와 영검산에서 동시에 기우제를 지낸 사례가있다. 영검산에서는 불을 피우고 도연폭포에서는 개를 잡아 피를 용초 주변에 뿌렸다. 문경시의 사례가 용이 사는 곳의 물을 퍼내서 말리고, 용꼬리에 불을 지피며, 돼지 피를 용초 주변에 뿌려서 용을 자극한 것이라고 한다면, 안동시의 사례는 개의 피를 이용해 용을 자극한 것이라 할수 있다.

넷째, 명산(名山)기우제이다. 대표적인 사례는 경북 고령군 쌍림면 월막리 일대의 미숭산(美崇山) 기우제이다. 미숭산은 고령 지역에서는 가장 높은 산으로, 정상에는 천제당(天祭堂)이 있다. 산의 이름은 고려 말의 충신인 이미숭(李美崇) [장군](/topic/장군)의 이름을 딴 것으로, 역성혁명을 일으킨 [이성계](/topic/이성계)(李成桂)에 항거하여 산성을 쌓고 결사항전을 벌인 곳으로 유명하다. 산 정상은 인근에서 [명당](/topic/명당)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곳에 묘를 쓰면 사방에 가뭄이 들고 인근지역 청장년들이 죽는 등 온갖 재앙이 발생한다는 속설이 있어 아무도 묘를 쓰지 않는다. 미숭산은 월막리 현풍 곽씨들의 소유이지만 [문중](/topic/문중) 마음대로 할 수가 없다. 일전에 조상 묘를 이곳으로 이장한 적이 있으나 동네 주민들의 원성이 자자하여 결국묘를 정상이 아닌 아래쪽으로 옮겼다.특히 미숭산 기우제의 영험은 주민들이 1988년에 직접 겪기도 하였다.

1988년의 가뭄은 수십 년 만의 가뭄으로, 주민들은 이야기로만 전해 내려오던 미숭산 천제당에 기우제를 지내기로 하고 인근 마을 주민 수백 명이 낫과 곡[괭이](/topic/괭이)를 들고 산에 올라갔다. 아니나 다를까, 누군가 몰래 묘를 쓴 흔적이 있었다. 암장의 흔적을 보고 주민들은 분노했고, 검은 연기를 산봉우리에서 피우면서 제를 지냈다. 제를 지낸 뒤 곡괭이로 묘를 파헤치기 시작할 무렵에 갑자기 검은 구름이 몰려들기 시작하였다. 소나기가 세차게 퍼부었으며, [농민](/topic/농민)들은 환희의 함성을 터트렸다. 암장한 묘를 파헤치기 전에 비가 내린 것이었다. 암장한 사람은 밀양 사람으로 밝혀졌으며, 그는 즉시 이장하겠다고 약속했다. 미숭산 천제당 기우제에는 남성만 참여할 수 있으며, 이때 동네 여성들은 동네 보(洑)에서기도하고 있다가 천제당에서 내려오는 [농악](/topic/농악)소리가 가까이 들리면 바가지로 봇물을 퍼 뿌리면서 “비가 온다! 비가 온다!”라고 고함을 질렀다.

이와 유사한 사례는 예천군 용문면과 유천면 일대 국사봉 기우제에서도 볼 수 있다. 예천군 국사봉 역시 명당으로 소문이 나 있으며, 묘로 쓴 경우 그 후손은 명당의 지기(地氣)를 받아 복록을 누리지만 인근에는 가뭄이 든다고 한다. 이 때문에 가뭄이 심하면 국사봉 인근의 주민들은 마을마다 나름대로의 기우제를 지낸 다음 다시 합동하여 국사봉에 오른다. 산 정상에 암장한 묘를 찾아 파헤치고 연기를 크게 피운 뒤 제사를 지낸다. 이때에는 면장과 지역 기관장들이 참석한다.

다섯째, 꽝철이 쫓기이다. 이 기우제는 경북 남부지역이나 경남지방에서 주로 확인되는 유형이다. 꽝철이는 용이 되지 못해 하늘로 올라가지 못하고 땅에 떨어진 상상의 [동물](/topic/동물)이다. 꽝철이는 비를 매우 싫어해 꽝철이가 내려앉은 지역은 가뭄이 극심하다고 한다. 꽝철이는 주로 산 능선에 앉기 때문에 가뭄이 심하면 주민들은 산 능선을 다니면서 [꽹과리](/topic/꽹과리)나 징을 쳐서 꽝철이를 쫓았다. 꽝철이는 코에 물이 들어가면 사라진다고 하며, 날아갈 때는 불덩이가 보인다고 한다.
참고문헌중세사회의 기우의식에 대한 고찰 (박계홍, 한국민속연구, 형설출판사, 1973)
합천기우지 (박문목, 합천군, 1987)
高麗史, 祈雨祭謄錄, 三國遺事, 三國志, 三國史記, 금산의 민간 기우와 민중들의 사고 (김미순, 금산의 [마을](/topic/마을)공동체신앙, 한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1990)
도연기우제의 민속지와 주술적 장치 (임재해, 한국민속과 전통의 세계, 지식산업사, 1994)
서천 남산장의 공간적 기능 변화 고찰-집단 [반보기](/topic/반보기) 사시(徙市) 공간의 의미를 중심으로 (정형호, 민속학연구 3, 국립민속박물관, 1996)
기우제와 지역사회 (임장혁, 민속원, 1999)
산골사람들의 물 이용과 민속적 분류체계 (김재호, 안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기우[제등](/topic/제등)록](/topic/기우제등록)』과 [기후](/topic/기후)의례 (최종성,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기우제의 지역 간 비교와 기우문화의 지역성 (김재호, 비교민속학 33, 비교민속학회, 2007)
사시기우제의 기우원리와 시장의 소통성 (김재호, 한국민속학 50, 한국민속학회, 2009)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