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줄

한국무속신앙사전
금줄
부정(不淨)한 것을 금기(禁忌)한다는 뜻으로 [대문](/topic/대문)·길 어귀·신목(神木)·장독 등에 걸쳐놓은 주술적인 줄. 금줄은 검줄·검석·금색·금구줄·금계줄·금기줄·건구줄·금새기·동줄·송침·새내기·좌삭(座索)·문삭(門索) 등 다양한 이칭이 있다.
definition
부정(不淨)한 것을 금기(禁忌)한다는 뜻으로 [대문](/topic/대문)·길 어귀·신목(神木)·장독 등에 걸쳐놓은 주술적인 줄. 금줄은 검줄·검석·금색·금구줄·금계줄·금기줄·건구줄·금새기·동줄·송침·새내기·좌삭(座索)·문삭(門索) 등 다양한 이칭이 있다.
mp3Cnt
0
wkorname
류종목
정의부정(不淨)한 것을 금기(禁忌)한다는 뜻으로 [대문](/topic/대문)·길 어귀·신목(神木)·장독 등에 걸쳐놓은 주술적인 줄. 금줄은 검줄·검석·금색·금구줄·금계줄·금기줄·건구줄·금새기·동줄·송침·새내기·좌삭(座索)·문삭(門索) 등 다양한 이칭이 있다.
정의부정(不淨)한 것을 금기(禁忌)한다는 뜻으로 [대문](/topic/대문)·길 어귀·신목(神木)·장독 등에 걸쳐놓은 주술적인 줄. 금줄은 검줄·검석·금색·금구줄·금계줄·금기줄·건구줄·금새기·동줄·송침·새내기·좌삭(座索)·문삭(門索) 등 다양한 이칭이 있다.
为[禁忌](/topic/禁忌)[不净](/topic/不净)之物而挂在大门,路口,神木或酱缸上的绳子。

禁绳的形态是将稻草向左反搓成绳子,然后将多种象征性物体穿在绳子上。象征物根据用途而不同。在新生儿出生时,若为男孩儿,则会在绳子上穿生[松枝](/topic/松枝),[木炭](/topic/木炭)及红[辣椒](/topic/辣椒)等;若为女孩儿,则会在绳中间穿生松枝,木炭和纸张等,然后将绳子挂在大门两侧的柱子间。举行洞祭时,包括神堂和堂木在内的被视为神域的所有空间和[祭官](/topic/祭官)家大门都会拉起禁绳。此时,人们会将韩纸或生松枝系在禁绳的绳子上。

向左反搓的草绳并不常见,不被用于普通的场合。制作禁绳时之所以将草绳向左反搓,是由于具有阴界属性的杂鬼惧怕左侧,即具有阳界属性的左,因而会避开禁绳。

禁绳所使用的稻草为水稻缔结果实的茎干,象征着力量。而[白纸](/topic/白纸)则作为货币的象征,用来祈求财运。同时,白色即使在夜晚也较容易入眼,便于人识别禁域。松枝为常绿色,象征着不变;针状叶子则象征可击退邪运的咒力。当家中有男孩儿出生时,系在禁绳上的红色辣椒象征男性。红色为阳色,是恶鬼最惧怕的颜色。木炭为象征阴气的黑色,即使在土中也不会腐蚀,可[净化](/topic/净化)一切,因此被解释为具有吸收并阻挡邪运的意义。
내용금줄은 일반적으로 금승(禁繩)에서 나온 말 이라한다. 그러나 원래 ‘금(禁)줄’이 아니라 ‘검줄’이며, ‘검’은 신(神)의 고어인 ‘’에서 온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그래서 원래 ‘검질’로 단순히 금지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신성 공간임을 강조하는 줄이라는 주장도 있다. 이 때문에 성(聖)·속(俗)을 구분하는 경계 지점에 금줄을 친다는 것이다. 금줄은 신성 공간에 대한 출입을 금지한다는 주술적 의미를 갖는다. 이와 함께 신생아가 출생한 경우 새 생명의 탄생을 축하하고 면역력이 약한 신생아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설치한다.

금줄로 사용하는 왼새끼는 비일상적 또는 비정상적인 형태로 일상적 공간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왼새끼를 쳐 두는 곳은 일상적 공간으로서가 아니라 비일상적·비정상적인 공간인 신성 공간임을 상징한다. 이는 음계(陰界)의 속성을 지닌 잡귀가 왼쪽, 즉 [양계](/topic/양계)(陽界)의 속성을 지닌 좌(左)를 두려워하여 이를 피하므로 금줄을 왼새끼로 만든다는 해석과 닿아있다. 도깨비를 만났을 때 왼손이나 왼발로 넘어뜨려야 쫓을 수 있다든지, [뒷간](/topic/뒷간)에 들어갈 때 헛기침과 동시에 왼발부터 먼저 들여 넣어야 주당[뒷간에 있다는 신]을 피할 수 있다든지 하는 속신도 모두 이와 상통한다.

금줄로 사용하는 짚은 쌀을 열매 맺게 하는 줄기로 힘을 상징한다. 또 흰 종이는 화폐의 상징으로 재운(財運)을 기원하는 동시에 신에게 바치는 공물(供物)로서의 기능도 [가지](/topic/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흰색은 밤에도 눈에 잘 띄는 색깔로 금역(禁域)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능도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솔가지](/topic/솔가지)는 상록색으로 불변의 기운을 상징하고, 바늘 모양의 뾰족한 잎은 사악한 기운을 물리칠 수 있다는 주술력을 상징한다. 또 남자아이를 출산했을 때 꽂는 붉은색의 [고추](/topic/고추)는 남성을 상징하며, 붉은색은 이른바 양색(陽色)으로악귀가 가장 무서워하는 색깔이다. 동짓날 집안의 구석진 곳에다 뿌리고 먹는 동지팥죽이나 금줄과 함께 뿌리는 [황토](/topic/황토)도 악귀의 범접을 막는 구실을 한다. 숯은 음기(陰氣)의 상징인 검은색이며 땅 속에서도 썩지 않고 모든 것을 정화시키는 것이므로 사악한 기운을 미리 흡수하여 막아 달라는 뜻을 가진 것으로 해석된다. 또 숯은 붓의 상징으로 자녀들에게학운(學運)이 깃들기를 기원하는 뜻을 가진 것으로 해석하는 이도 있다. 그런데 장독에다 금줄을 치는 것은 장독을 단순한 옹기로서가 아니라 장맛을 달게 해 주는 철륭신이 깃든신전(神殿)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금줄 자체를 신성시하다 보니 금줄에 대한 여러 가지 속신과 금기가 생겼다. 금줄을 친 당산나무를 범접하면 몸이 상하거나 죽는다는 속신이 있다. 함경도에서는 쓰지 않는 물건을 버릴 경우 물건에 붙은 악귀를 떼어내기 위해 물건에다가 왼새끼를 매어서 던져 버리는 관습이 있었다. 금줄을 친 집을 출입할 때는 매우 신중해야 한다. 비록 가족이라 할지라도 부정(不淨)에 노출된 경우에는 출입을 삼가야 한다. 부정에 노출된 경우란 상(喪)을 당한 사람을 초상집에 갔다 온 사람, 상여를 본 사람, [동물](/topic/동물)을 죽였거나 사체를 본 사람, 병자·거지·[백정](/topic/백정) 등을 말한다. 만약 실수하여 출입하면 산신(産神)이 노하여 아이가 죽거나 중병에 걸리고 산모의 젖이 끊긴다고 한다. 그래서 이런 일에 노출되면 최소한 일주일을 바깥에서 지내다 들어와야 나쁜 피해를 입지 않는다고 한다. 경상도 지방에서는 출산한 집의 금줄을 무시하고 집 안으로 들어가면 손이 오그라든다고 하여 이를 절대 어기지 않는다. 서울 지방에서는 금줄을 치기 위해 문[기둥](/topic/기둥)에다 못을 박으면 갓난아기에게 눈병이 생긴다 하여 못을 함부로 박는 일을 매우 꺼린다.

한편 금줄의 신성력으로 소원을 이루고자 하는 속신도 생겼다. 다산(多産)한 집의 금줄을 훔쳐 방안에 걸어 놓거나 금줄로 불을 지펴 밥을 해 먹으면 임신할 수 있다는 속신이 있다. 그래서 경기도 양평 등지에서는 이런 일을 미리 방지하기 위하여 아들을 낳았을 경우 아예 금줄을 치지 않는 풍속이 생겼다고 한다. 이와는 반대로 다산한 집에서 다 사용한 금줄을 아이를 낳지 못하는 집에다 빌려 주어 [안방](/topic/안방)에다 걸어 두도록 배려하는 아름다운 습속을 지키는 곳도 있다.

금줄을 매는 습속은 동아시아권 전체에 널리 전파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시베리아·몽골·중국은 물론 일본과 대만에서도 발견된다. 다만 유목을 [생업](/topic/생업) 수단으로 해서 살아가는 시베리아에서는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이를 말총으로 만들고 [오색천](/topic/오색천)을 매달아 놓았다는 점에서 여타 지역과 약간의 차이가 있다. 도작권(稻作圈)인 오키나와 같은 남방 지역에서는 우리와 같이 짚으로 만든 왼새끼 금줄을 사용하고 있다. 물론 그 기능도 [마을](/topic/마을)의 경계, 신역의 정화 등 우리와 같다.

금줄은 사회적 규약이며 약속이다. 사회 스스로가 창출해 낸 자율적 공공질서이다. 지켜야 할 것, 침범하지 말아야 할 것들에 대한 사회 구성원 스스로의 약속이므로 강제에 의한법과 윤리 이데올로기에 앞선다. 그래서 전승의 힘이 더욱 강하다.
내용한국의 민속 (김성배, 집문당, 1980)
조선 땅의 [마을](/topic/마을)지킴이 (주강현·장정룡, 열화당, 1993)
마을신앙의 사회사 (이필영, 웅진출판사, 1994)
양양군서면 서낭제 연구 (이한길, 시학과 언어학 11, 2006)
Geumjul es el término que hace referencia a una cuerda de paja trenzada que se extiende sobre la entrada de una casa, la entrada de una callejuela, alrededor de un árbol divino llamado sinmok, o sobre la terraza donde se guardan las vasijas para salsas con el fin de eliminar impurezas.

El geumjul es un tipo de guirnalda hecha con un cuerda de paja trenzada a la izquierda, atada con unos objetos simbólicos que varían según sus funciones y ocasiones: cuando ha nacido un hijo varón, una cuerda se extiende de un pilar al otro de la entrada de la casa con unas ramas frescas de pino llamadas solgaji, pedazos de carbón vegetal llamado sut y pimientos rojos llamados gochu; cuando ha nacido una hija, con ramas de pino, carbones vegetales y papeles plegados. Para celebrar los festivales llamados dongje, las cuerdas de tabú con papeles plegados o ramas de pino se cuelgan no solo en el santuario comunitario y en el árbol tutelar del pueblo, sino también en todos los espacios que se consideran sagrados, incluyendo la entrada de hogar de casa oficiante del ritual.

La cuerda trenzada a la izquierda no se utiliza comúnmente en la vida cotidiana. Esta práctica se relaciona con la creencia de que los espíritus malignos que poseen el yin tienen miedo a estar en el lado izquierdo donde se encuentra el yang.

La paja utilizada para hacer la cuerda es el tallo cargado granos de arroz, lo que simboliza la fortaleza. En el ritual, el papal blanco se considera el símbolo del dinero y refleja una oración para tener posesiones materiales, y su color blanco contribuye a la función de marcar claramente los territorios prohibidos. Las ramas de pino permanecen siempre verdes, representando la fuerza inalterable, y las afiladas agujas de pino simbolizan el poder de la hechicería que pueda ahuyentar las fuerzas del mal. Los pimientos rojos simbolizan el falo y el rojo es un color del yang que es el más temido por los malos espíritus. Los carbones vegetales son negros, el color del yin, se cree que su capacidad depuradora puede evitar las fuerzas del mal absorbiéndolas.
Geumjul, or taboo rope, is a straw garland hung over a gate, in the entrance of an alley, around a divine tree (sinmok) or on the sauce jar terrace to keep out impurities.

The garland is made of left-hand lay straw rope, tied with a number of symbolic items, which vary by function and occasion: When a son is born, a rope is hung over the two pillars of the gate of the house, with fresh pine branches (solgaji), pieces of wooden charcoal (sut), and red peppers (gochu); when a daughter is born, with pine branches, charcoal and folded paper. For village tutelary festivals (dongje), taboo ropes with folded paper or pine branches are hung not only at the village shrine and on the village guardian tree but all other venues considered as sacred, including the gates of the houses of the ritual officials.

Left-hand lay rope is not a regular type of rope and is not used in venues for everyday routines. This practice is related to the belief that evil spirits that possess yin elements fear the left, which is of yang elements.

The straws used to make the rope are stalks that bear rice grains and this symbolizes strength. [White ritual paper](/topic/Whiteritualpaper) is the symbol for money and reflects a prayer for material fortune, and its color contributes to the function of clearly marking forbidden territory.

Pine branches are evergreen, representing unchanging energy, and the sharp pine needles symbolize sorcery powers for driving away evil forces. Red peppers symbolize the phallus, and red is a yang color that is most feared by evil spirits. Charcoal is black, a yin color, and its purifying capacities are believed to prevent evil forces by absorbing them.
为[禁忌](/topic/禁忌)[不净](/topic/不净)之物而挂在大门,路口,神木或酱缸上的绳子。

禁绳的形态是将稻草向左反搓成绳子,然后将多种象征性物体穿在绳子上。象征物根据用途而不同。在新生儿出生时,若为男孩儿,则会在绳子上穿生[松枝](/topic/松枝),[木炭](/topic/木炭)及红[辣椒](/topic/辣椒)等;若为女孩儿,则会在绳中间穿生松枝,木炭和纸张等,然后将绳子挂在大门两侧的柱子间。举行洞祭时,包括神堂和堂木在内的被视为神域的所有空间和[祭官](/topic/祭官)家大门都会拉起禁绳。此时,人们会将韩纸或生松枝系在禁绳的绳子上。

向左反搓的草绳并不常见,不被用于普通的场合。制作禁绳时之所以将草绳向左反搓,是由于具有阴界属性的杂鬼惧怕左侧,即具有阳界属性的左,因而会避开禁绳。

禁绳所使用的稻草为水稻缔结果实的茎干,象征着力量。而[白纸](/topic/白纸)则作为货币的象征,用来祈求财运。同时,白色即使在夜晚也较容易入眼,便于人识别禁域。松枝为常绿色,象征着不变;针状叶子则象征可击退邪运的咒力。当家中有男孩儿出生时,系在禁绳上的红色辣椒象征男性。红色为阳色,是恶鬼最惧怕的颜色。木炭为象征阴气的黑色,即使在土中也不会腐蚀,可[净化](/topic/净化)一切,因此被解释为具有吸收并阻挡邪运的意义。
내용금줄은 일반적으로 금승(禁繩)에서 나온 말 이라한다. 그러나 원래 ‘금(禁)줄’이 아니라 ‘검줄’이며, ‘검’은 신(神)의 고어인 ‘’에서 온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그래서 원래 ‘검질’로 단순히 금지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신성 공간임을 강조하는 줄이라는 주장도 있다. 이 때문에 성(聖)·속(俗)을 구분하는 경계 지점에 금줄을 친다는 것이다. 금줄은 신성 공간에 대한 출입을 금지한다는 주술적 의미를 갖는다. 이와 함께 신생아가 출생한 경우 새 생명의 탄생을 축하하고 면역력이 약한 신생아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설치한다.

금줄로 사용하는 왼새끼는 비일상적 또는 비정상적인 형태로 일상적 공간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왼새끼를 쳐 두는 곳은 일상적 공간으로서가 아니라 비일상적·비정상적인 공간인 신성 공간임을 상징한다. 이는 음계(陰界)의 속성을 지닌 잡귀가 왼쪽, 즉 [양계](/topic/양계)(陽界)의 속성을 지닌 좌(左)를 두려워하여 이를 피하므로 금줄을 왼새끼로 만든다는 해석과 닿아있다. 도깨비를 만났을 때 왼손이나 왼발로 넘어뜨려야 쫓을 수 있다든지, [뒷간](/topic/뒷간)에 들어갈 때 헛기침과 동시에 왼발부터 먼저 들여 넣어야 주당[뒷간에 있다는 신]을 피할 수 있다든지 하는 속신도 모두 이와 상통한다.

금줄로 사용하는 짚은 쌀을 열매 맺게 하는 줄기로 힘을 상징한다. 또 흰 종이는 화폐의 상징으로 재운(財運)을 기원하는 동시에 신에게 바치는 공물(供物)로서의 기능도 [가지](/topic/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흰색은 밤에도 눈에 잘 띄는 색깔로 금역(禁域)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능도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솔가지](/topic/솔가지)는 상록색으로 불변의 기운을 상징하고, 바늘 모양의 뾰족한 잎은 사악한 기운을 물리칠 수 있다는 주술력을 상징한다. 또 남자아이를 출산했을 때 꽂는 붉은색의 [고추](/topic/고추)는 남성을 상징하며, 붉은색은 이른바 양색(陽色)으로악귀가 가장 무서워하는 색깔이다. 동짓날 집안의 구석진 곳에다 뿌리고 먹는 동지팥죽이나 금줄과 함께 뿌리는 [황토](/topic/황토)도 악귀의 범접을 막는 구실을 한다. 숯은 음기(陰氣)의 상징인 검은색이며 땅 속에서도 썩지 않고 모든 것을 정화시키는 것이므로 사악한 기운을 미리 흡수하여 막아 달라는 뜻을 가진 것으로 해석된다. 또 숯은 붓의 상징으로 자녀들에게학운(學運)이 깃들기를 기원하는 뜻을 가진 것으로 해석하는 이도 있다. 그런데 장독에다 금줄을 치는 것은 장독을 단순한 옹기로서가 아니라 장맛을 달게 해 주는 철륭신이 깃든신전(神殿)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금줄 자체를 신성시하다 보니 금줄에 대한 여러 가지 속신과 금기가 생겼다. 금줄을 친 당산나무를 범접하면 몸이 상하거나 죽는다는 속신이 있다. 함경도에서는 쓰지 않는 물건을 버릴 경우 물건에 붙은 악귀를 떼어내기 위해 물건에다가 왼새끼를 매어서 던져 버리는 관습이 있었다. 금줄을 친 집을 출입할 때는 매우 신중해야 한다. 비록 가족이라 할지라도 부정(不淨)에 노출된 경우에는 출입을 삼가야 한다. 부정에 노출된 경우란 상(喪)을 당한 사람을 초상집에 갔다 온 사람, 상여를 본 사람, [동물](/topic/동물)을 죽였거나 사체를 본 사람, 병자·거지·[백정](/topic/백정) 등을 말한다. 만약 실수하여 출입하면 산신(産神)이 노하여 아이가 죽거나 중병에 걸리고 산모의 젖이 끊긴다고 한다. 그래서 이런 일에 노출되면 최소한 일주일을 바깥에서 지내다 들어와야 나쁜 피해를 입지 않는다고 한다. 경상도 지방에서는 출산한 집의 금줄을 무시하고 집 안으로 들어가면 손이 오그라든다고 하여 이를 절대 어기지 않는다. 서울 지방에서는 금줄을 치기 위해 문[기둥](/topic/기둥)에다 못을 박으면 갓난아기에게 눈병이 생긴다 하여 못을 함부로 박는 일을 매우 꺼린다.

한편 금줄의 신성력으로 소원을 이루고자 하는 속신도 생겼다. 다산(多産)한 집의 금줄을 훔쳐 방안에 걸어 놓거나 금줄로 불을 지펴 밥을 해 먹으면 임신할 수 있다는 속신이 있다. 그래서 경기도 양평 등지에서는 이런 일을 미리 방지하기 위하여 아들을 낳았을 경우 아예 금줄을 치지 않는 풍속이 생겼다고 한다. 이와는 반대로 다산한 집에서 다 사용한 금줄을 아이를 낳지 못하는 집에다 빌려 주어 [안방](/topic/안방)에다 걸어 두도록 배려하는 아름다운 습속을 지키는 곳도 있다.

금줄을 매는 습속은 동아시아권 전체에 널리 전파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시베리아·몽골·중국은 물론 일본과 대만에서도 발견된다. 다만 유목을 [생업](/topic/생업) 수단으로 해서 살아가는 시베리아에서는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이를 말총으로 만들고 [오색천](/topic/오색천)을 매달아 놓았다는 점에서 여타 지역과 약간의 차이가 있다. 도작권(稻作圈)인 오키나와 같은 남방 지역에서는 우리와 같이 짚으로 만든 왼새끼 금줄을 사용하고 있다. 물론 그 기능도 [마을](/topic/마을)의 경계, 신역의 정화 등 우리와 같다.

금줄은 사회적 규약이며 약속이다. 사회 스스로가 창출해 낸 자율적 공공질서이다. 지켜야 할 것, 침범하지 말아야 할 것들에 대한 사회 구성원 스스로의 약속이므로 강제에 의한법과 윤리 이데올로기에 앞선다. 그래서 전승의 힘이 더욱 강하다.
내용한국의 민속 (김성배, 집문당, 1980)
조선 땅의 [마을](/topic/마을)지킴이 (주강현·장정룡, 열화당, 1993)
마을신앙의 사회사 (이필영, 웅진출판사, 1994)
양양군서면 서낭제 연구 (이한길, 시학과 언어학 11, 2006)
Geumjul es el término que hace referencia a una cuerda de paja trenzada que se extiende sobre la entrada de una casa, la entrada de una callejuela, alrededor de un árbol divino llamado sinmok, o sobre la terraza donde se guardan las vasijas para salsas con el fin de eliminar impurezas.

El geumjul es un tipo de guirnalda hecha con un cuerda de paja trenzada a la izquierda, atada con unos objetos simbólicos que varían según sus funciones y ocasiones: cuando ha nacido un hijo varón, una cuerda se extiende de un pilar al otro de la entrada de la casa con unas ramas frescas de pino llamadas solgaji, pedazos de carbón vegetal llamado sut y pimientos rojos llamados gochu; cuando ha nacido una hija, con ramas de pino, carbones vegetales y papeles plegados. Para celebrar los festivales llamados dongje, las cuerdas de tabú con papeles plegados o ramas de pino se cuelgan no solo en el santuario comunitario y en el árbol tutelar del pueblo, sino también en todos los espacios que se consideran sagrados, incluyendo la entrada de hogar de casa oficiante del ritual.

La cuerda trenzada a la izquierda no se utiliza comúnmente en la vida cotidiana. Esta práctica se relaciona con la creencia de que los espíritus malignos que poseen el yin tienen miedo a estar en el lado izquierdo donde se encuentra el yang.

La paja utilizada para hacer la cuerda es el tallo cargado granos de arroz, lo que simboliza la fortaleza. En el ritual, el papal blanco se considera el símbolo del dinero y refleja una oración para tener posesiones materiales, y su color blanco contribuye a la función de marcar claramente los territorios prohibidos. Las ramas de pino permanecen siempre verdes, representando la fuerza inalterable, y las afiladas agujas de pino simbolizan el poder de la hechicería que pueda ahuyentar las fuerzas del mal. Los pimientos rojos simbolizan el falo y el rojo es un color del yang que es el más temido por los malos espíritus. Los carbones vegetales son negros, el color del yin, se cree que su capacidad depuradora puede evitar las fuerzas del mal absorbiéndolas.
Geumjul, or taboo rope, is a straw garland hung over a gate, in the entrance of an alley, around a divine tree (sinmok) or on the sauce jar terrace to keep out impurities.

The garland is made of left-hand lay straw rope, tied with a number of symbolic items, which vary by function and occasion: When a son is born, a rope is hung over the two pillars of the gate of the house, with fresh pine branches (solgaji), pieces of wooden charcoal (sut), and red peppers (gochu); when a daughter is born, with pine branches, charcoal and folded paper. For village tutelary festivals (dongje), taboo ropes with folded paper or pine branches are hung not only at the village shrine and on the village guardian tree but all other venues considered as sacred, including the gates of the houses of the ritual officials.

Left-hand lay rope is not a regular type of rope and is not used in venues for everyday routines. This practice is related to the belief that evil spirits that possess yin elements fear the left, which is of yang elements.

The straws used to make the rope are stalks that bear rice grains and this symbolizes strength. [White ritual paper](/topic/Whiteritualpaper) is the symbol for money and reflects a prayer for material fortune, and its color contributes to the function of clearly marking forbidden territory.

Pine branches are evergreen, representing unchanging energy, and the sharp pine needles symbolize sorcery powers for driving away evil forces. Red peppers symbolize the phallus, and red is a yang color that is most feared by evil spirits. Charcoal is black, a yin color, and its purifying capacities are believed to prevent evil forces by absorbing them.
형태금줄은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1.5~2㎝ 굵기의 왼새끼를 거친 모습으로 꼬아 거기에다가 여러 [가지](/topic/가지) 상징적인 물건을 꽂은 모습이다. 상징적인 물건들은 용도에 따라 다르다. 출산의 경우 아들을 낳았을 때는 생솔가지·숯·빨간 [고추](/topic/고추) 등을, 딸을 낳았을 때는 생솔가지·숯·종이 등을 중간중간에 끼워 [대문](/topic/대문)의 양 [기둥](/topic/기둥) 사이에 매단다.이 금줄은 출산 후 [삼칠일](/topic/삼칠일), 즉 21일간 매달아 두었다가 거두어 대문의 한 쪽 기둥 쪽에 감아 둔다. 동제를 지낼 때는 당집·당나무 등에는 물론 신역으로 인정되는 모든 공간과 [제관](/topic/제관)의 집 대문에도 금줄을 친다. 이때의 금줄은 새끼줄에 [한지](/topic/한지) 혹은 생솔가지를 매단다. 금줄과 함께 벽사(辟邪, 사악한 귀신을 물리침)의 힘을 강화하기 위해 붉은 [황토](/topic/황토)를 뿌리는 경우도 있다. 또 장을 담근 후 장독 안에다 숯덩이와 붉은 고추를 넣고 뚜껑을 덮은 후 뚜껑 주변에다가 금줄을 친다. 이때의 금줄은 고추·한지·숯 등을 끼운 형태이다. 때로는 한지를 오려서 [버선](/topic/버선)본을 만들어 거꾸로 붙이기도 한다. 그 밖에도 술을 담근 후의 술독, 깨끗하게 청소한 뒤의 [우물](/topic/우물)에도 금줄을 친다. 지방에 따라서는 소가 송아지를 낳았을 때 [외양간](/topic/외양간)에다 금줄을 치기도 한다.
형태금줄은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1.5~2㎝ 굵기의 왼새끼를 거친 모습으로 꼬아 거기에다가 여러 [가지](/topic/가지) 상징적인 물건을 꽂은 모습이다. 상징적인 물건들은 용도에 따라 다르다. 출산의 경우 아들을 낳았을 때는 생솔가지·숯·빨간 [고추](/topic/고추) 등을, 딸을 낳았을 때는 생솔가지·숯·종이 등을 중간중간에 끼워 [대문](/topic/대문)의 양 [기둥](/topic/기둥) 사이에 매단다.이 금줄은 출산 후 [삼칠일](/topic/삼칠일), 즉 21일간 매달아 두었다가 거두어 대문의 한 쪽 기둥 쪽에 감아 둔다. 동제를 지낼 때는 당집·당나무 등에는 물론 신역으로 인정되는 모든 공간과 [제관](/topic/제관)의 집 대문에도 금줄을 친다. 이때의 금줄은 새끼줄에 [한지](/topic/한지) 혹은 생솔가지를 매단다. 금줄과 함께 벽사(辟邪, 사악한 귀신을 물리침)의 힘을 강화하기 위해 붉은 [황토](/topic/황토)를 뿌리는 경우도 있다. 또 장을 담근 후 장독 안에다 숯덩이와 붉은 고추를 넣고 뚜껑을 덮은 후 뚜껑 주변에다가 금줄을 친다. 이때의 금줄은 고추·한지·숯 등을 끼운 형태이다. 때로는 한지를 오려서 [버선](/topic/버선)본을 만들어 거꾸로 붙이기도 한다. 그 밖에도 술을 담근 후의 술독, 깨끗하게 청소한 뒤의 [우물](/topic/우물)에도 금줄을 친다. 지방에 따라서는 소가 송아지를 낳았을 때 [외양간](/topic/외양간)에다 금줄을 치기도 한다.
옹암마을 입구 금줄
20218
옹암마을 입구 금줄
금줄 친 당산
23687
금줄 친 당산
금줄을 푸는 유사
24486
금줄을 푸는 유사
금줄을 푸는 유사
24485
금줄을 푸는 유사
금줄을 푸는 유사
24484
금줄을 푸는 유사
금줄을 푸는 유사
24483
금줄을 푸는 유사
금줄을 푸는 유사
24482
금줄을 푸는 유사
옹성당산제 금줄치기
24289
옹성당산제 금줄치기
옹성당산제 금줄치기
24288
옹성당산제 금줄치기
옹성당산제 금줄치기
24287
옹성당산제 금줄치기
옹암마을 입구 금줄
20218
옹암마을 입구 금줄
금줄 친 당산
23687
금줄 친 당산
금줄을 푸는 유사
24486
금줄을 푸는 유사
금줄을 푸는 유사
24485
금줄을 푸는 유사
금줄을 푸는 유사
24484
금줄을 푸는 유사
금줄을 푸는 유사
24483
금줄을 푸는 유사
금줄을 푸는 유사
24482
금줄을 푸는 유사
옹성당산제 금줄치기
24289
옹성당산제 금줄치기
옹성당산제 금줄치기
24288
옹성당산제 금줄치기
옹성당산제 금줄치기
24287
옹성당산제 금줄치기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