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신밥

한국무속신앙사전
아기가 태어나면 [삼신상](/topic/삼신상) 위에 차려 놓던 밥. 백미로 밥을 짓고 해산미역으로 국을 끓여서 먼저 삼신할미 앞에 차린다. 이때 삼신상 위에 올린 밥을 ‘삼신밥’이라고 한다.
definition
아기가 태어나면 [삼신상](/topic/삼신상) 위에 차려 놓던 밥. 백미로 밥을 짓고 해산미역으로 국을 끓여서 먼저 삼신할미 앞에 차린다. 이때 삼신상 위에 올린 밥을 ‘삼신밥’이라고 한다.
mp3Cnt
0
wkorname
박성석
정의아기가 태어나면 [삼신상](/topic/삼신상) 위에 차려 놓던 밥. 백미로 밥을 짓고 해산미역으로 국을 끓여서 먼저 삼신할미 앞에 차린다. 이때 삼신상 위에 올린 밥을 ‘삼신밥’이라고 한다.
정의아기가 태어나면 [삼신상](/topic/삼신상) 위에 차려 놓던 밥. 백미로 밥을 짓고 해산미역으로 국을 끓여서 먼저 삼신할미 앞에 차린다. 이때 삼신상 위에 올린 밥을 ‘삼신밥’이라고 한다.
내용민속에서 성주신과 더불어 중요한 [가신](/topic/가신)(家神)으로 모셔지는 삼신(三神)은 아이의 잉태와 해산, 일정 나이(대개 7세 이전)까지의 성장을 돌봐주는 아동보호신(兒童保護神)의 기능을 한다. 지역에 따라서 삼승할미, 삼신지왕, 지왕할매, 제왕할’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때문에 삼신밥도 신체(神體)의 명칭에 따라 삼승밥, 지왕밥, 제왕밥 등으로 불린다. 민간신앙에서는 한 가정에 자손이 태어나고, 그 아이가 건강하게 어린 시절을 무사히 넘기는 것은 오로지 삼신할미의 도움에 의한 것이라고 믿었다. 따라서 삼신의 노여움을 받지 않기 위해 집안의 주부들이 삼신을 경외하는 풍습은 비교적 오랫동안 엄격하게 지켜져 왔다.

산속(産俗)에서는 아기가 들면 [산실](/topic/산실) 바닥에 짚을 깔거나 산실(産室) 모퉁이에 짚단을 세워서 생산신인 곡령(穀靈)의 도움으로 순산을 기원하는 한편 산실의 [윗목](/topic/윗목)에 해산미역, 백미, [정화수](/topic/정화수), [실타래](/topic/실타래) 등으로 [삼신상](/topic/삼신상)을 차린다. 산모는 삼신밥을 삼신상에 차린 미역국에다 말아서 먹는다. 이를 ‘[첫국밥](/topic/첫국밥)’이라고 한다. 산모는 첫국밥을 먹어야만 젖이 많이 나오고 산후의 기력회복도 빠르다고 믿었기 때문에 첫국밥을 반드시 남김없이 먹었다.

삼신밥은 잡곡이 섞이지 않은 하얀 멥쌀밥이다. 대개는 산후에 한번 지어서 삼신할미에게 차리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세이레](/topic/세이레)까지 이레마다 지어 올리는 경우도 있다. 또 딸을 낳으면 [삼칠일](/topic/삼칠일) 동안, 아들을 낳으면 칠칠일 동안 매 이레 지어 올리는 등 다양한 모습으로 발견된다. 이처럼 삼신신앙이 각각인 까닭은 삼신신앙 자체가 집안의 주부에 의해 개인적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여러 [가지](/topic/가지) 모습으로 전승되었다고 할 수 있다. 삼신상은 산모가 직접 차리지 않고 시어머니나 시할머니가 차렸다. 요즘은 친정어머니가 와서 차리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시속(時俗)의 변화에 따라 산후 수발을 친정어머니가 담당하는 일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첫국밥은 산모만 먹었고, 삼신밥은 가족이 먹기도 하였다. 가족 외에 다른 사람이 삼신밥을 먹으면 집안의 자손복(子孫福)이 나간다고 생각해 식구끼리만 먹었다.

삼신밥을 차리는 삼신신앙은 해산신앙의 형태였다. 그러나 점점 그 뜻이 확대되어 생일과 명절에도 삼신할미에게 올리는 의례로 발전하였다. 생일 아침이 되면 생일상을 차려서 먼저 삼신 앞에 올리고, 집안의 원로주부가 삼신에게 생일을 맞이한 사람의 명(命)과 복(福)을 축원하였다. 이때 삼신상에 차리는 밥은 해산할 때와 같은 멥쌀밥이 아니라 붉은 팥을 넣은 [찰밥](/topic/찰밥)이다. 이때 미역국, 생선, 나물 등 간단한 제물과 함께 상을 차린다. 삼신 앞에 차린 생일상은 그대로 물려서 생일 당사자의 생일상이 되고, 그 음식들을 그대로 먹어야만 수명장수와 복록(福祿)을 누린다고 믿었다.

생일상은 주로 [안방](/topic/안방)구석에 차렸다. 먼저 깨끗하게 손질한 짚을 방바닥에 가지런히 놓고(3개 또는 5개) 그 위에다 상을 차려 놓는다. 이 풍습은 해산 풍속에서 방바닥에 짚을 까는 것과 같은 이치로 곡신의 도움을 바라는 유감사고(類感思考)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경남 남해지역에서는 명절 때면 흰쌀밥과 국을 성주와 ‘지왕(삼신할미의 지역어)’에게 올린다. 성주에게는 성주독 뚜껑 위나 성주독 앞의 [대청](/topic/대청)[마루](/topic/마루)에 차린다. 지왕밥(삼신밥)은 안방구석에 차린다. 지왕 앞에는 주로 미역국을 차리지만 명절 때는 탕국을 차린다. 떡을 더 차리는 경우에는 떡 접시를 따로 마련하지 않고 밥 위에다 그냥 얹어 놓는 경우가 많다.
참고문헌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문화공보부, 1978)
한국민속대관 (고려대민족문화연구소, 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topic/사전) (동방미디어, 2002)
한국의 가정신앙-경남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한국민속의 이해 (박성석, 경상대학교출판부, 2008)
내용민속에서 성주신과 더불어 중요한 [가신](/topic/가신)(家神)으로 모셔지는 삼신(三神)은 아이의 잉태와 해산, 일정 나이(대개 7세 이전)까지의 성장을 돌봐주는 아동보호신(兒童保護神)의 기능을 한다. 지역에 따라서 삼승할미, 삼신지왕, 지왕할매, 제왕할’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때문에 삼신밥도 신체(神體)의 명칭에 따라 삼승밥, 지왕밥, 제왕밥 등으로 불린다. 민간신앙에서는 한 가정에 자손이 태어나고, 그 아이가 건강하게 어린 시절을 무사히 넘기는 것은 오로지 삼신할미의 도움에 의한 것이라고 믿었다. 따라서 삼신의 노여움을 받지 않기 위해 집안의 주부들이 삼신을 경외하는 풍습은 비교적 오랫동안 엄격하게 지켜져 왔다.

산속(産俗)에서는 아기가 들면 [산실](/topic/산실) 바닥에 짚을 깔거나 산실(産室) 모퉁이에 짚단을 세워서 생산신인 곡령(穀靈)의 도움으로 순산을 기원하는 한편 산실의 [윗목](/topic/윗목)에 해산미역, 백미, [정화수](/topic/정화수), [실타래](/topic/실타래) 등으로 [삼신상](/topic/삼신상)을 차린다. 산모는 삼신밥을 삼신상에 차린 미역국에다 말아서 먹는다. 이를 ‘[첫국밥](/topic/첫국밥)’이라고 한다. 산모는 첫국밥을 먹어야만 젖이 많이 나오고 산후의 기력회복도 빠르다고 믿었기 때문에 첫국밥을 반드시 남김없이 먹었다.

삼신밥은 잡곡이 섞이지 않은 하얀 멥쌀밥이다. 대개는 산후에 한번 지어서 삼신할미에게 차리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세이레](/topic/세이레)까지 이레마다 지어 올리는 경우도 있다. 또 딸을 낳으면 [삼칠일](/topic/삼칠일) 동안, 아들을 낳으면 칠칠일 동안 매 이레 지어 올리는 등 다양한 모습으로 발견된다. 이처럼 삼신신앙이 각각인 까닭은 삼신신앙 자체가 집안의 주부에 의해 개인적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여러 [가지](/topic/가지) 모습으로 전승되었다고 할 수 있다. 삼신상은 산모가 직접 차리지 않고 시어머니나 시할머니가 차렸다. 요즘은 친정어머니가 와서 차리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시속(時俗)의 변화에 따라 산후 수발을 친정어머니가 담당하는 일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첫국밥은 산모만 먹었고, 삼신밥은 가족이 먹기도 하였다. 가족 외에 다른 사람이 삼신밥을 먹으면 집안의 자손복(子孫福)이 나간다고 생각해 식구끼리만 먹었다.

삼신밥을 차리는 삼신신앙은 해산신앙의 형태였다. 그러나 점점 그 뜻이 확대되어 생일과 명절에도 삼신할미에게 올리는 의례로 발전하였다. 생일 아침이 되면 생일상을 차려서 먼저 삼신 앞에 올리고, 집안의 원로주부가 삼신에게 생일을 맞이한 사람의 명(命)과 복(福)을 축원하였다. 이때 삼신상에 차리는 밥은 해산할 때와 같은 멥쌀밥이 아니라 붉은 팥을 넣은 [찰밥](/topic/찰밥)이다. 이때 미역국, 생선, 나물 등 간단한 제물과 함께 상을 차린다. 삼신 앞에 차린 생일상은 그대로 물려서 생일 당사자의 생일상이 되고, 그 음식들을 그대로 먹어야만 수명장수와 복록(福祿)을 누린다고 믿었다.

생일상은 주로 [안방](/topic/안방)구석에 차렸다. 먼저 깨끗하게 손질한 짚을 방바닥에 가지런히 놓고(3개 또는 5개) 그 위에다 상을 차려 놓는다. 이 풍습은 해산 풍속에서 방바닥에 짚을 까는 것과 같은 이치로 곡신의 도움을 바라는 유감사고(類感思考)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경남 남해지역에서는 명절 때면 흰쌀밥과 국을 성주와 ‘지왕(삼신할미의 지역어)’에게 올린다. 성주에게는 성주독 뚜껑 위나 성주독 앞의 [대청](/topic/대청)[마루](/topic/마루)에 차린다. 지왕밥(삼신밥)은 안방구석에 차린다. 지왕 앞에는 주로 미역국을 차리지만 명절 때는 탕국을 차린다. 떡을 더 차리는 경우에는 떡 접시를 따로 마련하지 않고 밥 위에다 그냥 얹어 놓는 경우가 많다.
참고문헌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문화공보부, 1978)
한국민속대관 (고려대민족문화연구소, 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topic/사전) (동방미디어, 2002)
한국의 가정신앙-경남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한국민속의 이해 (박성석, 경상대학교출판부, 2008)
아세아문화사새로 쓴 한국무속최길성1999
동남어문학회동해안 오구굿의 무·불 습합 양상김창일2006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