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서낭함

한국무속신앙사전
배를 새로 짓거나 구입했을 때 배의 안전, 뱃사람의 무사, 만선 풍어를 기원하기 위해 삼색 옷감, 가위, 바늘, 참빗, 삼색실(오색실), 명태 등 배서낭의 신체(神體)를 넣은 함.
definition
배를 새로 짓거나 구입했을 때 배의 안전, 뱃사람의 무사, 만선 풍어를 기원하기 위해 삼색 옷감, 가위, 바늘, 참빗, 삼색실(오색실), 명태 등 배서낭의 신체(神體)를 넣은 함.
mp3Cnt
0
wkorname
김준
정의배를 새로 짓거나 구입했을 때 배의 안전, 뱃사람의 무사, 만선 풍어를 기원하기 위해 삼색 옷감, 가위, 바늘, 참빗, 삼색실(오색실), 명태 등 배서낭의 신체(神體)를 넣은 함.
정의배를 새로 짓거나 구입했을 때 배의 안전, 뱃사람의 무사, 만선 풍어를 기원하기 위해 삼색 옷감, 가위, 바늘, 참빗, 삼색실(오색실), 명태 등 배서낭의 신체(神體)를 넣은 함.
내용배서낭은 여서낭, 남서낭, 조상서낭, 애기서낭, 성주서낭, 명태서낭, 밤서낭, 돌서낭, 개서낭, 소서낭, 용서낭, 뱀서낭, 쥐서낭, 징서낭, 부적서낭, 조리서낭 등 종류가 다양하다. 최근에는 불교와 기독교 등 종교 상징물인 불상이나 염주 또는 십자가를 배서낭의 신체로 모시기도 한다. 배서낭은 대부분 여신이다. 이는 바다를 관장하는 용왕이 여신인 것과 상통한다. 충남․전라․경상․제주 등 지역에서는 배서낭을 모시고 강원도지역에서는 배를 집과 같이 여겨 [배성주](/topic/배성주)를 모신다. 그러나 최근에는 대부분 배서낭을 모시지 않고 있다.

배서낭은 삼색 옷감, 삼색실, 빗, 삼색실로 묶은 [한지](/topic/한지), 여성용 화장도구, 명태, 한지 등을 신체로 모시는데 이를 함에 넣어 주로 기관실에 모신다. 여성들이 사용하는 도구는 여서낭을 의미하며, 신체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한지를 접어서 걸어 두는 것은 배서낭의 옷으로 모시는 것이다. 한지로 북어를 묶어 모시기도 한다. 서해안에서는 기폭에 ‘위 상(上)’자를 쓴 [서낭기](/topic/서낭기)로 신체를 대신하기도 한다. 신체는 [별신굿](/topic/별신굿)을 하거나 배고사를 모실 때마다 새것으로 바꾼다.

배서낭은 배의 사고를 막아 주고, 선원들의 생명을 지켜 주며, 만선 풍어를 가능하게 한다. 이뿐만 아니라 배 금기를 통해 선원들에게 규범을 알려 주고 바다 생물 포획을 허락하며, 선원들의 감사를 받는다. 이에 따라 귀한 생선을 잡으면 배서낭에게 먼저 바친다. 배서낭 우는 소리를 들으면 출어를 중단한다.

배서낭을 잘 모시지 않으면 고기가 잡히지 않는다. 그물이 꼬이거나 기계고장이 일어나고 배가 손상된다고 믿는다. 영험한 배서낭은 소리를 내어 태풍이나 길흉 등 전조를 알려 주어 대비하게 하기도 한다.

충청도지역에서는 해마다 처음 출항할 때 선장실의 잠자는 곳 윗부분에 지난 해 모신 묵은 배서낭을 떼어내고 새로 배서낭을 모신다. 배서낭의 신체는 나무함에 [치마](/topic/치마)저고리 한 벌, 크림, 분, 바늘, 빗을 넣어둔 것이다. 그 앞에 다섯 장의 [길지](/topic/길지)를 걸어 둔다. 배서낭은 ‘오당’에 모신 ‘각씨서낭’이라고 한다. 이처럼 서낭을 모시는 것은 ‘일 년 동안 고기가 잘 잡히고 불안한 일이 없게 서낭님이 보살펴 달라’는 의미이다. 묵은 길지는 그 자리에서 불태우고, 묵은 배서낭은 집으로 가져가서 시어머니 또는 며느리가 사용한다.
내용배서낭은 여서낭, 남서낭, 조상서낭, 애기서낭, 성주서낭, 명태서낭, 밤서낭, 돌서낭, 개서낭, 소서낭, 용서낭, 뱀서낭, 쥐서낭, 징서낭, 부적서낭, 조리서낭 등 종류가 다양하다. 최근에는 불교와 기독교 등 종교 상징물인 불상이나 염주 또는 십자가를 배서낭의 신체로 모시기도 한다. 배서낭은 대부분 여신이다. 이는 바다를 관장하는 용왕이 여신인 것과 상통한다. 충남․전라․경상․제주 등 지역에서는 배서낭을 모시고 강원도지역에서는 배를 집과 같이 여겨 [배성주](/topic/배성주)를 모신다. 그러나 최근에는 대부분 배서낭을 모시지 않고 있다.

배서낭은 삼색 옷감, 삼색실, 빗, 삼색실로 묶은 [한지](/topic/한지), 여성용 화장도구, 명태, 한지 등을 신체로 모시는데 이를 함에 넣어 주로 기관실에 모신다. 여성들이 사용하는 도구는 여서낭을 의미하며, 신체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한지를 접어서 걸어 두는 것은 배서낭의 옷으로 모시는 것이다. 한지로 북어를 묶어 모시기도 한다. 서해안에서는 기폭에 ‘위 상(上)’자를 쓴 [서낭기](/topic/서낭기)로 신체를 대신하기도 한다. 신체는 [별신굿](/topic/별신굿)을 하거나 배고사를 모실 때마다 새것으로 바꾼다.

배서낭은 배의 사고를 막아 주고, 선원들의 생명을 지켜 주며, 만선 풍어를 가능하게 한다. 이뿐만 아니라 배 금기를 통해 선원들에게 규범을 알려 주고 바다 생물 포획을 허락하며, 선원들의 감사를 받는다. 이에 따라 귀한 생선을 잡으면 배서낭에게 먼저 바친다. 배서낭 우는 소리를 들으면 출어를 중단한다.

배서낭을 잘 모시지 않으면 고기가 잡히지 않는다. 그물이 꼬이거나 기계고장이 일어나고 배가 손상된다고 믿는다. 영험한 배서낭은 소리를 내어 태풍이나 길흉 등 전조를 알려 주어 대비하게 하기도 한다.

충청도지역에서는 해마다 처음 출항할 때 선장실의 잠자는 곳 윗부분에 지난 해 모신 묵은 배서낭을 떼어내고 새로 배서낭을 모신다. 배서낭의 신체는 나무함에 [치마](/topic/치마)저고리 한 벌, 크림, 분, 바늘, 빗을 넣어둔 것이다. 그 앞에 다섯 장의 [길지](/topic/길지)를 걸어 둔다. 배서낭은 ‘오당’에 모신 ‘각씨서낭’이라고 한다. 이처럼 서낭을 모시는 것은 ‘일 년 동안 고기가 잘 잡히고 불안한 일이 없게 서낭님이 보살펴 달라’는 의미이다. 묵은 길지는 그 자리에서 불태우고, 묵은 배서낭은 집으로 가져가서 시어머니 또는 며느리가 사용한다.
지역사례전북 부안군 위도면 진리 벌금[마을](/topic/마을)에서는 풍선(風船) 시절의 [칠산바다](/topic/칠산바다)에서 조기를 잡던 풍선(중선)의 선원실에 배서낭을 모셨다. 나무로 작은 [감실](/topic/감실)을 짜서 그 안에 삼색실을 담아 벽에 걸었다. 끼니때가 되면 먼저 서낭 앞에 음식을 차려 놓은 다음 그것을 내려서 먹었다. 서낭의 신격이나 관련 관념 등은 밝혀진 것이 없다. 서낭은 여자 서낭도 있고 남자 서낭도 있다.

전남 목포시의 안강망배 한일호는 선장실 출입구 오른쪽에 작은 배서낭함을 [기와집](/topic/기와집) 모양으로 만들었다. 그 안에 빨간색, 녹색, 노란색 [한지](/topic/한지)를 넣어 두었다. 선주 김씨는 이를 ‘각시서낭’이라고 불렀다. 약 10년 전에 지은 지 4년 된 중고 배를 구입하던 날 꿈속에서 여자를 보았기 때문에 각시서낭으로 모셨다. 매년 배서낭을 바꾸지는 않는다. 배고사를 지낼 때는 이물, 배서낭, 기관실에 음식을 차려 놓고 선주가 절을 한다.

이 밖에 배서낭을 모실 때 함에 넣지 않는 사례로서, 동해 쪽에 위치한 강원도 속초지역에서는 배서낭으로 [배성주](/topic/배성주)를 모신다. 배성주의 신체로는 한지를 건다. 이미 달아 놓은 신체는 불태운다. 배에는 배성주기와 만선기를 싣는다. 배성주기는 상단을 청색, 하단을 흰색 천으로 각각 만든다. 배성주의 신체는 남녀로 구분한다. 성별 구분은 선주의 생기를 맞추어 무당이 정한다. 무녀들은 배에서 굿을 하면 신의 모습이 선연하게 보이기 때문에 그때 신체의 성별을 정한다고 말한다. 또한 선주의 꿈에 배성주가 나타나면 알게 된다. 남자 성주는 한지만 매달고 여자 성주는 삼색천을 건다. 이 지역은 여자 성주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배성주제는 배를 만들어 처음 바다에 띄울 때나 초하룻날, 보름날에 따로 지낸다. 이때 고기와 메를 바치고 향과 초를 피워서 빈다. 배성주에게는 첫날 첫 낚시로 잡은 생선을 바치고, 배에서 밥하는 사람인 ‘화장([주방](/topic/주방)장)’이 밥 한 술을 떠서 “용왕님 잡수십시오.” 하고 빌면서 바다에 던진다.
참고문헌남도의 민속문화 (최덕원, 밀알, 1994)
한국의 풍어제 (하효길, 대원사, 1998)
한국의 해양문화 (해양수산부, 경인문화사, 2002)
지역사례전북 부안군 위도면 진리 벌금[마을](/topic/마을)에서는 풍선(風船) 시절의 [칠산바다](/topic/칠산바다)에서 조기를 잡던 풍선(중선)의 선원실에 배서낭을 모셨다. 나무로 작은 [감실](/topic/감실)을 짜서 그 안에 삼색실을 담아 벽에 걸었다. 끼니때가 되면 먼저 서낭 앞에 음식을 차려 놓은 다음 그것을 내려서 먹었다. 서낭의 신격이나 관련 관념 등은 밝혀진 것이 없다. 서낭은 여자 서낭도 있고 남자 서낭도 있다.

전남 목포시의 안강망배 한일호는 선장실 출입구 오른쪽에 작은 배서낭함을 [기와집](/topic/기와집) 모양으로 만들었다. 그 안에 빨간색, 녹색, 노란색 [한지](/topic/한지)를 넣어 두었다. 선주 김씨는 이를 ‘각시서낭’이라고 불렀다. 약 10년 전에 지은 지 4년 된 중고 배를 구입하던 날 꿈속에서 여자를 보았기 때문에 각시서낭으로 모셨다. 매년 배서낭을 바꾸지는 않는다. 배고사를 지낼 때는 이물, 배서낭, 기관실에 음식을 차려 놓고 선주가 절을 한다.

이 밖에 배서낭을 모실 때 함에 넣지 않는 사례로서, 동해 쪽에 위치한 강원도 속초지역에서는 배서낭으로 [배성주](/topic/배성주)를 모신다. 배성주의 신체로는 한지를 건다. 이미 달아 놓은 신체는 불태운다. 배에는 배성주기와 만선기를 싣는다. 배성주기는 상단을 청색, 하단을 흰색 천으로 각각 만든다. 배성주의 신체는 남녀로 구분한다. 성별 구분은 선주의 생기를 맞추어 무당이 정한다. 무녀들은 배에서 굿을 하면 신의 모습이 선연하게 보이기 때문에 그때 신체의 성별을 정한다고 말한다. 또한 선주의 꿈에 배성주가 나타나면 알게 된다. 남자 성주는 한지만 매달고 여자 성주는 삼색천을 건다. 이 지역은 여자 성주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배성주제는 배를 만들어 처음 바다에 띄울 때나 초하룻날, 보름날에 따로 지낸다. 이때 고기와 메를 바치고 향과 초를 피워서 빈다. 배성주에게는 첫날 첫 낚시로 잡은 생선을 바치고, 배에서 밥하는 사람인 ‘화장([주방](/topic/주방)장)’이 밥 한 술을 떠서 “용왕님 잡수십시오.” 하고 빌면서 바다에 던진다.
참고문헌남도의 민속문화 (최덕원, 밀알, 1994)
한국의 풍어제 (하효길, 대원사, 1998)
한국의 해양문화 (해양수산부, 경인문화사, 2002)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