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신

한국무속신앙사전
문신
[대문](/topic/대문)에 존재하는 신. 대문으로 들락거릴 수 있는 잡귀나 부정 등 액살(厄煞)을 막아주거나 복을 들여오는 구실을 한다. 문간신, 문전신, 수문신, 문[장군](/topic/장군), 문간대감 등으로도 불린다.
definition
[대문](/topic/대문)에 존재하는 신. 대문으로 들락거릴 수 있는 잡귀나 부정 등 액살(厄煞)을 막아주거나 복을 들여오는 구실을 한다. 문간신, 문전신, 수문신, 문[장군](/topic/장군), 문간대감 등으로도 불린다.
mp3Cnt
0
wkorname
김명자
정의[대문](/topic/대문)에 존재하는 신. 대문으로 들락거릴 수 있는 잡귀나 부정 등 액살(厄煞)을 막아주거나 복을 들여오는 구실을 한다. 문간신, 문전신, 수문신, 문[장군](/topic/장군), 문간대감 등으로도 불린다.
정의[대문](/topic/대문)에 존재하는 신. 대문으로 들락거릴 수 있는 잡귀나 부정 등 액살(厄煞)을 막아주거나 복을 들여오는 구실을 한다. 문간신, 문전신, 수문신, 문[장군](/topic/장군), 문간대감 등으로도 불린다.
存在于大门上的神,阻挡随意进出大门的杂鬼和[不净](/topic/不净)之物并带来福气。

没有象征“门神”的神体。济州岛地区将门神称为“门前神”。在大路通往家门的狭窄的胡同“偶来小路”入口处,搭一棵粗壮的树,将其称为“正棂”或“正木”。同时,还有为横穿正棂搭在上面,而在两端穿孔而立的“正柱木”。相当于半岛陆地地区大门的正棂和正柱木,被视为有神附身,该神即为门前神。事实上,正棂与正柱木的实际功能是防止家畜的侵入,带着这种目的,在田中也设有正棂和正柱木。门前神掌管发生在家中的事情。尤其是在济州岛地区,甚至有具体的名字,将门前神称为“南书生”。巫俗信仰中将大门的门神称为“守门[大监](/topic/大监)”,全罗北道镇安地区将门神称为“门间大监”。

据说所有的门都有神。但通常没有特别的仪式,只是在家中举行[告祀](/topic/告祀)后,取少许甑糕放在大门栏杆处。相反,也有专门供奉门神的情况。济州岛地区对门尤为重视,并视门为神圣之物,在家中进行的[巫祭](/topic/巫祭)必有“门前[本解](/topic/本解)”,若搬新家还会举行“门前祭”。
내용사찰에는 절을 지키기 위하여 동서남북의 사천왕(四天王)을 만들어 좌우에 세운 문이 있다. 사천왕은 사찰의 문신인 셈이다. 사천왕이 사찰의 문을 지켜주듯 [가신](/topic/가신)(家神)으로서 문신은 집의 [대문](/topic/대문)을 통해 들고 나는 액살을 막아주고 때로는 복을 들여온다. 상징하는 신체(神體)는 없는 [건궁](/topic/건궁)이다.

중국에는 문신과 관련된 다양한 그림이 있고 글도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구전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문에 대한 이야기가 가장 풍부한 곳은 제주도이다.

제주도지역에서는 문신을 문전신이라고 한다. 큰길에서 집으로 들어가는 좁은 [골목](/topic/골목)인 ‘올레’ 입구에 굵은 나무를 걸쳐 놓고 이를 ‘정살’ 또는 ‘[정낭](/topic/정낭)’이라고 한다. 그리고 정살을 가로 꿰어 걸치게 양쪽에 구멍을 뚫어서 세운 ‘정주목’이 있다. 육지의 대문에 해당하는 정살과 정주목에 신이 깃들여 있다고 여긴다. 이 신이 문전신이다. 사실 정살과 정주목의 실질적인 기능은 [가축](/topic/가축)의 침입을 막기 위한 것이다. 이런 목적으로 밭에도 정살과 정주목이 있다.

집의 정살에 신이 깃들여 있다고 하여 문전신을 정살지신이라고도 한다. 이들 신을 ‘테세’ 또는 ‘[죽산이](/topic/죽산이)’라고 일컫는 [마을](/topic/마을)도 있다.

문전신은 집안에서 일어나는 일을 관장한다. 특히 제주도지역에서는 문전신을 ‘남선비’라 하여 구체적인 이름까지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제주도 [무속신화](/topic/무속신화)인 에 나온다.

는 제주도의 무당굿에서 심방(무당)이 노래하는 문신의 신화, 또는 그 신화를 노래하고 문신에게 기원하는 제차(祭次)를 일컫는다. 제주도의 집안에서 하는 굿에는 반드시 가 들어간다. 이는 문신의 내력담일 뿐만 아니라 조왕, 측간신, 주목지신, 오방토신 등의 내력담이기도 하다. 이들 신 중 문신이 으뜸 신이기 때문에 그 명칭이 라고 붙여진 것이다.

이능화(李能和)의 『[조선무속고](/topic/조선무속고)(朝鮮巫俗考)』에는 문신을 지칭하는 ‘가택신’으로 수문신을 들고 있다. 그러나 그 내용은 [민가](/topic/민가)에서 보편적으로 말하는 문신이 아니라 한국과 중국 문헌에 보이는 문신과 관련돼 있다. 조선시대 때 대궐 문의 좌우 문짝에 붙이는 [문배](/topic/문배)(門排)를 비롯하여 궁전 문에 붙이는 [세화](/topic/세화)(歲畫), 문설주에 귀신의 머리를 그려 붙이는 이야기 등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록하였다. 그림의 대상으로 우리나라의 처용상(處容像)도 나오지만 대부분 중국의 도교적인 성격을 지닌 [[장군](/topic/장군)상](/topic/장군상), [선녀](/topic/선녀)도, 신장(神將) 등 인물상에 대한 내용이 중심을 이룬다.

원래 세화는 조선시대 때 서화(書畫)를 관장한 [도화서](/topic/도화서)(圖畫署)에서 그림을 그려 임금에게 바치거나 서로 선물을 하는 것으로, 신년을 축하하는 길상(吉祥)의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그림의 주제는 수성선녀(壽星仙女)와 직일신장(直日神將) 등으로 나타난다.

문배는 사귀(邪鬼)나 전염병 등을 막기 위해 문에 붙이는 신상(神像)이다. 중국의 문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홍석모(洪錫謨)의 『[동국세시기](/topic/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이 신상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기록에서 신상은 때로 실존인물인 경우도 있다. 홍석모가 소개한 세화와 문배는 오늘날 중국의 대문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무장(武將)은 대부분 대문에 붙이고 문관(文官)이나 도교적 인물은 집 안의 문에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나라에서 최초의 문신은 처용(處容)이라 할 수 있다. 『[삼국유사](/topic/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기이(紀異) 제2의 처용랑과 망해사조에는 신라인들이 처용 그림을 벽사(辟邪)의 의미로 문에 붙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러한 기록이 성현(成俔)의 『[용재총화](/topic/용재총화)(傭齋叢話)』에도 있는 것을 보면 삼국시대의 풍속이 조선시대까지 이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러던 것이 도교의 유입과 시대적 변천에 따라 문신으로서의 위용보다 주술적 성향이 강조된 부적으로 간주되어 오늘날에 이른 것으로 보고 있다.

『용재총화』, 『동국세시기』, 『[열양세시기](/topic/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의 기록에 따르면 처용은 직일신장, 울지공(尉遲恭), 진숙보(秦叔寶), 귀두(鬼頭), 종규(鍾馗), 각귀(角鬼), 위정공(魏鄭公) 등과 함께 문신으로 묘사되어 있다. 그러나 처용을 제외하고 다른 신들은 중국에서 들어왔다. 이능화는 『조선무속고』에서 이들 중국의 문신 풍속이 고려시대 중엽 예종 때 도교와 함께 유입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중국의 도교적인 문신에 대한 기록은 조선시대 문집에도 있다. 최익현(崔益鉉)의 『면암집(勉菴集)』에는 제석날 대문 가운데에 ‘신도 울루[神茶 鬱壘]’의 네 글자를 크게 써서 대문에 붙이기도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밖에 당시 문신에 대해 시(詩)로 표현한 것도 있다.

조수삼(趙秀三)의 『세시기(歲時記)』에도 대문 안팎에 다른 문신의 그림을 붙였다고 적고 있다. 대문 밖에는 갑옷을 입은 무사가 마주 보게 붙인다. 한 명은 철로 만든 [복두](/topic/복두)(幞頭)를 쓰고 금비늘이 달린 갑옷 차림에 대쪽처럼 생긴 금간(金簡)을 든 당나라 장군 진숙보(秦叔寶)라고 설명한다. 다른 한 명은 구리로 만든 투구를 쓰고 금비늘이 달린 갑옷 차림에 도끼를 든 울지공이라고 묘사한다. 대문 안에는 마주 보고 있는 재상(宰相) 그림이 붙는다. 모두 검은색 복두를 쓰고 다홍색 포(袍)를 입고서 각각 꽃을 꽂은 이들 재상은 위징(魏徵)과 저수량(楮遂良)이라고 한다.

그러나 오늘날 민가에는 문신의 특별한 명칭이나 형상에 대한 언술이 흔하지 않다. 그냥 문에는 신이 깃들여 있어서 그 집안의 액을 막고 복을 지켜준다고 말하는 정도이다.

경기도와 충청도지역에서는 대문을 지키는 신을 ‘남해대장군’이라고 일컫는다. 이는 대문이 흔히 남쪽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고, 장군이라는 호칭에서 문신이 무관(武官)이라는 점을 보여준다고 한다. 문신을 무관으로 상정한 것은 중국의 영향에다 사찰의 수문신격인 사천왕과 관련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무속신앙에서는 출입문의 신을 수문(守門)대감이라 하고 전북 진안지역에서는 문신을 문간대감이라고 한다. 이처럼 가신에게 대감이나 장군이라는 호칭을 붙이는 경우가 종종 있다. 예를 들면 터주신을 터줏대감 또는 텃대감, 업신을 업대감, 방앗간에 있는 신을 방앗간대감, 집의 [굴뚝](/topic/굴뚝)에 있는 신을 [굴대장군](/topic/굴대장군)이라고 한다.

모든 문에는 신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대개 특별한 의례 없이 집안 [고사](/topic/고사)를 지내고 나서 떡을 조금 떼어내 대문 [난간](/topic/난간)에 놓아두는 정도로 위한다. 또한 동짓날 팥죽을 쑤면 대문에 조금 뿌려둔다. 팥죽은 벽사의 의미도 있어 액을 막기 위해 대문에 뿌리는 것이다. 이는 모든 액이 문을 통해 들고 나간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문신은 신체가 없어 건궁으로 위한다. 그 대신 [입춘축](/topic/입춘축)이나 세화 등 글씨 또는 그림 형태로 대문에 붙여져 액을 막고 복을 불러들인다. 입춘축에는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을 가장 보편적으로 쓴다. 그러나 ‘소문만복래(笑門萬福來)’, ‘개문만복래(開門萬福來)’와 같이 복을 부르는 내용도 있다. 또는 ‘용(龍)’자나 ‘호(虎)’자를 써 붙여 위용을 과시하는 한편 집 안에 사귀(邪鬼)가 함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한다.

조선시대에는 정초를 전후하여 도교적인 장군 그림을 그리거나 장군 이름을 써서 붙이기도 했지만 점차 축소되어 오늘에 이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밖에도 잡귀의 집안 침입을 막기 위해 엄나무를 걸어두는 모습은 요즘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엑스(X)자로 엮어 대문 위쪽, [지붕](/topic/지붕) [처마](/topic/처마), [문지방](/topic/문지방) 위 등지에 매단다. 엄나무를 액막이로 쓰는 까닭은 예리한 가시로 잡귀를 퇴치한다는 의미이다. 이를테면 잡귀가 들어오다가 엄나무에 찔려서 들어오지 못한다는 것이다. 엄나무는 껍질을 약재로도 쓰는 약용식물이어서 농촌에서는 엄나무를 집에서 직접 기르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문호(門戶)에 닭의 그림을 그려 붙이기도 했다. 처음에는 그림이 아니라 닭을 잡아 직접 문에 매달았다고 한다. 닭피에 벽사의 힘이 있다고 믿고 닭피를 문에 바르다가 나중에는 죽은 닭을 매달았다는 설도 있다. 닭은 새벽을 알리는 존재로, 닭 울음소리로 아침과 저녁으로 문이 개폐(開閉)되어 재난을 막는 것과 관련이 된다. 또한 닭은 만물 질서의 원천인 동방(東方)의 [동물](/topic/동물)이며 만물이 문으로 출입하기 때문에 문에 닭을 제사하는 의미가 있다고 한다. 문의 벽사를 막는 것은 닭뿐만 아니라 개도 해당되어 개를 잡아 매달기도 하였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후대에 이르러 [삼재막이](/topic/삼재막이)로 매 그림을 문 안쪽에 붙이고, 길상을 위해 닭 그림도 문 안쪽에 붙였다. 나무로 조각한 닭을 문 안쪽에 걸어두기도 했다.

문신을 각별히 모시는 경우도 있다. 집안에서 하는 굿에 반드시 가 들어갈 만큼 유달리 문을 중요하게 여기고 신성시하는 제주도지역에서는 새집으로 [이사](/topic/이사)하면 [문전제](/topic/문전제)를 지내기도 한다. 심방에 따르면 문전제는 제사와 같아서 제사 형식으로 지낸다고 한다. 또 예전에는 이사할 때 남편은 도끼를 들고 가고 아내는 솥과 [요강](/topic/요강) 새것에 쌀을 넣어서 갔다고 한다. 이 쌀로 밥을 지어 가장 먼저 문전에 올렸다. “오늘부터 제가 이 집 주인이 되었으니까 문[전지](/topic/전지)신님 제가 살아있는 동안에는 축복을 저에게 주십시오.” 하고 빈다. 남편이 도끼를 들고 간 것은 혹시나 가는 길에 사악한 것이 방해하면 치겠다는 위협의 의미이다. 새집에 들어갈 때에는 반드시 남자가 먼저 들어가고 여자가 그 뒤를 따른다.

제주도와 전북을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모든 문에는 신이 깃들여 있다고 생각한다. 특별히 의례를 행하지 않더라도 신의 존재를 믿는다. 전북 부안군의 한 법사에 따르면 가끔 사람들이 아프다고 불러서 가 보면 그 집에 들어서기 전에 문간에 귀신이 들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고 한다. 문에 귀신이 들려있으면 문의 공이가 귀신의 눈으로 보이는데 그것을 풀어주면 병이 낫게 된다는 것이다.
내용사찰에는 절을 지키기 위하여 동서남북의 사천왕(四天王)을 만들어 좌우에 세운 문이 있다. 사천왕은 사찰의 문신인 셈이다. 사천왕이 사찰의 문을 지켜주듯 [가신](/topic/가신)(家神)으로서 문신은 집의 [대문](/topic/대문)을 통해 들고 나는 액살을 막아주고 때로는 복을 들여온다. 상징하는 신체(神體)는 없는 [건궁](/topic/건궁)이다.

중국에는 문신과 관련된 다양한 그림이 있고 글도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구전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문에 대한 이야기가 가장 풍부한 곳은 제주도이다.

제주도지역에서는 문신을 문전신이라고 한다. 큰길에서 집으로 들어가는 좁은 [골목](/topic/골목)인 ‘올레’ 입구에 굵은 나무를 걸쳐 놓고 이를 ‘정살’ 또는 ‘[정낭](/topic/정낭)’이라고 한다. 그리고 정살을 가로 꿰어 걸치게 양쪽에 구멍을 뚫어서 세운 ‘정주목’이 있다. 육지의 대문에 해당하는 정살과 정주목에 신이 깃들여 있다고 여긴다. 이 신이 문전신이다. 사실 정살과 정주목의 실질적인 기능은 [가축](/topic/가축)의 침입을 막기 위한 것이다. 이런 목적으로 밭에도 정살과 정주목이 있다.

집의 정살에 신이 깃들여 있다고 하여 문전신을 정살지신이라고도 한다. 이들 신을 ‘테세’ 또는 ‘[죽산이](/topic/죽산이)’라고 일컫는 [마을](/topic/마을)도 있다.

문전신은 집안에서 일어나는 일을 관장한다. 특히 제주도지역에서는 문전신을 ‘남선비’라 하여 구체적인 이름까지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제주도 [무속신화](/topic/무속신화)인 에 나온다.

는 제주도의 무당굿에서 심방(무당)이 노래하는 문신의 신화, 또는 그 신화를 노래하고 문신에게 기원하는 제차(祭次)를 일컫는다. 제주도의 집안에서 하는 굿에는 반드시 가 들어간다. 이는 문신의 내력담일 뿐만 아니라 조왕, 측간신, 주목지신, 오방토신 등의 내력담이기도 하다. 이들 신 중 문신이 으뜸 신이기 때문에 그 명칭이 라고 붙여진 것이다.

이능화(李能和)의 『[조선무속고](/topic/조선무속고)(朝鮮巫俗考)』에는 문신을 지칭하는 ‘가택신’으로 수문신을 들고 있다. 그러나 그 내용은 [민가](/topic/민가)에서 보편적으로 말하는 문신이 아니라 한국과 중국 문헌에 보이는 문신과 관련돼 있다. 조선시대 때 대궐 문의 좌우 문짝에 붙이는 [문배](/topic/문배)(門排)를 비롯하여 궁전 문에 붙이는 [세화](/topic/세화)(歲畫), 문설주에 귀신의 머리를 그려 붙이는 이야기 등에 대하여 상세하게 기록하였다. 그림의 대상으로 우리나라의 처용상(處容像)도 나오지만 대부분 중국의 도교적인 성격을 지닌 [[장군](/topic/장군)상](/topic/장군상), [선녀](/topic/선녀)도, 신장(神將) 등 인물상에 대한 내용이 중심을 이룬다.

원래 세화는 조선시대 때 서화(書畫)를 관장한 [도화서](/topic/도화서)(圖畫署)에서 그림을 그려 임금에게 바치거나 서로 선물을 하는 것으로, 신년을 축하하는 길상(吉祥)의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그림의 주제는 수성선녀(壽星仙女)와 직일신장(直日神將) 등으로 나타난다.

문배는 사귀(邪鬼)나 전염병 등을 막기 위해 문에 붙이는 신상(神像)이다. 중국의 문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홍석모(洪錫謨)의 『[동국세시기](/topic/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이 신상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기록에서 신상은 때로 실존인물인 경우도 있다. 홍석모가 소개한 세화와 문배는 오늘날 중국의 대문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무장(武將)은 대부분 대문에 붙이고 문관(文官)이나 도교적 인물은 집 안의 문에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나라에서 최초의 문신은 처용(處容)이라 할 수 있다. 『[삼국유사](/topic/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기이(紀異) 제2의 처용랑과 망해사조에는 신라인들이 처용 그림을 벽사(辟邪)의 의미로 문에 붙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러한 기록이 성현(成俔)의 『[용재총화](/topic/용재총화)(傭齋叢話)』에도 있는 것을 보면 삼국시대의 풍속이 조선시대까지 이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러던 것이 도교의 유입과 시대적 변천에 따라 문신으로서의 위용보다 주술적 성향이 강조된 부적으로 간주되어 오늘날에 이른 것으로 보고 있다.

『용재총화』, 『동국세시기』, 『[열양세시기](/topic/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의 기록에 따르면 처용은 직일신장, 울지공(尉遲恭), 진숙보(秦叔寶), 귀두(鬼頭), 종규(鍾馗), 각귀(角鬼), 위정공(魏鄭公) 등과 함께 문신으로 묘사되어 있다. 그러나 처용을 제외하고 다른 신들은 중국에서 들어왔다. 이능화는 『조선무속고』에서 이들 중국의 문신 풍속이 고려시대 중엽 예종 때 도교와 함께 유입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중국의 도교적인 문신에 대한 기록은 조선시대 문집에도 있다. 최익현(崔益鉉)의 『면암집(勉菴集)』에는 제석날 대문 가운데에 ‘신도 울루[神茶 鬱壘]’의 네 글자를 크게 써서 대문에 붙이기도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밖에 당시 문신에 대해 시(詩)로 표현한 것도 있다.

조수삼(趙秀三)의 『세시기(歲時記)』에도 대문 안팎에 다른 문신의 그림을 붙였다고 적고 있다. 대문 밖에는 갑옷을 입은 무사가 마주 보게 붙인다. 한 명은 철로 만든 [복두](/topic/복두)(幞頭)를 쓰고 금비늘이 달린 갑옷 차림에 대쪽처럼 생긴 금간(金簡)을 든 당나라 장군 진숙보(秦叔寶)라고 설명한다. 다른 한 명은 구리로 만든 투구를 쓰고 금비늘이 달린 갑옷 차림에 도끼를 든 울지공이라고 묘사한다. 대문 안에는 마주 보고 있는 재상(宰相) 그림이 붙는다. 모두 검은색 복두를 쓰고 다홍색 포(袍)를 입고서 각각 꽃을 꽂은 이들 재상은 위징(魏徵)과 저수량(楮遂良)이라고 한다.

그러나 오늘날 민가에는 문신의 특별한 명칭이나 형상에 대한 언술이 흔하지 않다. 그냥 문에는 신이 깃들여 있어서 그 집안의 액을 막고 복을 지켜준다고 말하는 정도이다.

경기도와 충청도지역에서는 대문을 지키는 신을 ‘남해대장군’이라고 일컫는다. 이는 대문이 흔히 남쪽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고, 장군이라는 호칭에서 문신이 무관(武官)이라는 점을 보여준다고 한다. 문신을 무관으로 상정한 것은 중국의 영향에다 사찰의 수문신격인 사천왕과 관련시킨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무속신앙에서는 출입문의 신을 수문(守門)대감이라 하고 전북 진안지역에서는 문신을 문간대감이라고 한다. 이처럼 가신에게 대감이나 장군이라는 호칭을 붙이는 경우가 종종 있다. 예를 들면 터주신을 터줏대감 또는 텃대감, 업신을 업대감, 방앗간에 있는 신을 방앗간대감, 집의 [굴뚝](/topic/굴뚝)에 있는 신을 [굴대장군](/topic/굴대장군)이라고 한다.

모든 문에는 신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대개 특별한 의례 없이 집안 [고사](/topic/고사)를 지내고 나서 떡을 조금 떼어내 대문 [난간](/topic/난간)에 놓아두는 정도로 위한다. 또한 동짓날 팥죽을 쑤면 대문에 조금 뿌려둔다. 팥죽은 벽사의 의미도 있어 액을 막기 위해 대문에 뿌리는 것이다. 이는 모든 액이 문을 통해 들고 나간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문신은 신체가 없어 건궁으로 위한다. 그 대신 [입춘축](/topic/입춘축)이나 세화 등 글씨 또는 그림 형태로 대문에 붙여져 액을 막고 복을 불러들인다. 입춘축에는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을 가장 보편적으로 쓴다. 그러나 ‘소문만복래(笑門萬福來)’, ‘개문만복래(開門萬福來)’와 같이 복을 부르는 내용도 있다. 또는 ‘용(龍)’자나 ‘호(虎)’자를 써 붙여 위용을 과시하는 한편 집 안에 사귀(邪鬼)가 함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한다.

조선시대에는 정초를 전후하여 도교적인 장군 그림을 그리거나 장군 이름을 써서 붙이기도 했지만 점차 축소되어 오늘에 이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밖에도 잡귀의 집안 침입을 막기 위해 엄나무를 걸어두는 모습은 요즘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엑스(X)자로 엮어 대문 위쪽, [지붕](/topic/지붕) [처마](/topic/처마), [문지방](/topic/문지방) 위 등지에 매단다. 엄나무를 액막이로 쓰는 까닭은 예리한 가시로 잡귀를 퇴치한다는 의미이다. 이를테면 잡귀가 들어오다가 엄나무에 찔려서 들어오지 못한다는 것이다. 엄나무는 껍질을 약재로도 쓰는 약용식물이어서 농촌에서는 엄나무를 집에서 직접 기르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문호(門戶)에 닭의 그림을 그려 붙이기도 했다. 처음에는 그림이 아니라 닭을 잡아 직접 문에 매달았다고 한다. 닭피에 벽사의 힘이 있다고 믿고 닭피를 문에 바르다가 나중에는 죽은 닭을 매달았다는 설도 있다. 닭은 새벽을 알리는 존재로, 닭 울음소리로 아침과 저녁으로 문이 개폐(開閉)되어 재난을 막는 것과 관련이 된다. 또한 닭은 만물 질서의 원천인 동방(東方)의 [동물](/topic/동물)이며 만물이 문으로 출입하기 때문에 문에 닭을 제사하는 의미가 있다고 한다. 문의 벽사를 막는 것은 닭뿐만 아니라 개도 해당되어 개를 잡아 매달기도 하였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후대에 이르러 [삼재막이](/topic/삼재막이)로 매 그림을 문 안쪽에 붙이고, 길상을 위해 닭 그림도 문 안쪽에 붙였다. 나무로 조각한 닭을 문 안쪽에 걸어두기도 했다.

문신을 각별히 모시는 경우도 있다. 집안에서 하는 굿에 반드시 가 들어갈 만큼 유달리 문을 중요하게 여기고 신성시하는 제주도지역에서는 새집으로 [이사](/topic/이사)하면 [문전제](/topic/문전제)를 지내기도 한다. 심방에 따르면 문전제는 제사와 같아서 제사 형식으로 지낸다고 한다. 또 예전에는 이사할 때 남편은 도끼를 들고 가고 아내는 솥과 [요강](/topic/요강) 새것에 쌀을 넣어서 갔다고 한다. 이 쌀로 밥을 지어 가장 먼저 문전에 올렸다. “오늘부터 제가 이 집 주인이 되었으니까 문[전지](/topic/전지)신님 제가 살아있는 동안에는 축복을 저에게 주십시오.” 하고 빈다. 남편이 도끼를 들고 간 것은 혹시나 가는 길에 사악한 것이 방해하면 치겠다는 위협의 의미이다. 새집에 들어갈 때에는 반드시 남자가 먼저 들어가고 여자가 그 뒤를 따른다.

제주도와 전북을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모든 문에는 신이 깃들여 있다고 생각한다. 특별히 의례를 행하지 않더라도 신의 존재를 믿는다. 전북 부안군의 한 법사에 따르면 가끔 사람들이 아프다고 불러서 가 보면 그 집에 들어서기 전에 문간에 귀신이 들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고 한다. 문에 귀신이 들려있으면 문의 공이가 귀신의 눈으로 보이는데 그것을 풀어주면 병이 낫게 된다는 것이다.
지역사례제주도 제주시 용담2동 어영[마을](/topic/마을)에서는 [기제사](/topic/기제사)를 지낼 때 [문전제](/topic/문전제)와 [할망상](/topic/할망상)을 차려 모시기도 한다. 문전제를 먼저 지내고 본제를 지내며, 어린아이들이 잘 크게 해 달라고 방에 할망상을 모신다. 기제사는 제물을 준비하고 상을 차려 초저녁에 진설해 놓고 나서 친척들이 오면 음식을 대접하다가 자시(子時)가 되면 지낸다.

여러 형제가 본제의 [제관](/topic/제관)으로 참석하더라도 문전제만은 제의를 준비하는 사람인 집주인이 맡아 한다. 제주도지역에서는 장손에게만 제사를 맡겨 큰 부담을 지워주지 않기 위해 자손들이 골고루 기제사와 문전제를 맡는다.

본제를 다 지내면 안사람이 중심이 되어 할망상을 차리고, 제사에 온 여러 혼령을 대접하기 위해 잡식을 행한다. 제사가 끝나면 음식물을 나누어 먹고 대[바구니](/topic/바구니)에 담아 나누어 주기도 한다.

또한 문전제는 신랑이 혼례를 치를 때 신부 집으로 가기 전에 자신의 조상과 문전에 혼인 사실을 알리기 위해 지내기도 한다. 형식은 명절 제사의 절차와 같다. 혼인을 위해 택일을 하면 신랑이 나가는 시간을 보고서 차례 지낼 준비를 하면서 문전제부터 먼저 지낸다. 차례를 지낼 때는 문전제에 올린 음식을 차린다.

옛날에는 혼례를 ‘7일 잔치’라고 하여 사흘 전에 그릇과 천막 등 물자를 준비하고 가옥을 청소하며, 이틀 전에 두부를 준비하고, 하루 전날에 돼지를 잡아서 ‘가문잔치’를 치른다. 그리고 잔칫날에는 신랑과 상객(上客)이 모두 신부 집으로 가서 신부를 데려와 신랑 집에서 잔치를 치른다. 혼례를 치른 다음날은 사돈 10명이 신랑, 신부, 신랑 부친과 함께 신부 집으로 간다. 이틀 뒤에는 신부 부친이 신랑 집 안사돈과 인사하기 위해 신랑 집을 방문한다. 그리고 마지막 날에는 설거지와 청소, 빌린 것을 돌려주는 등 바쁜 일을 마[무리](/topic/무리)하고 일상으로 돌아온다.

전북 익산시 왕궁면 왕금마을에서는 정월 초순 안으로 날을 받아 문간[고사](/topic/고사)를 지낸다. 문간고사를 지내기 전에 집 앞에 [금줄](/topic/금줄)을 치며, [손 없는 날](/topic/손없는날) [황토](/topic/황토)를 뿌려 부정을 가린다. 고사일 저녁에 문을 열어놓고 밥, 나물, 과일, 떡시루를 문간에 올린다. 밥은 큰 그릇에 담아서 놓는다. 여기에 식구들의 숟가락을 빙 둘러서 꽂아놓는다. 또 쌀 한 말 정도를 퍼서 촛불을 밝힌 다음 식구들이 모두 나와서 절을 한다. 궂은 사람은 사흘 동안 기도를 하기도 한다.

문간에서 절이 끝나면 올린 제물은 그대로 방 안의 성주에게 다시 차려 올린다. 그리고 상에 막걸리 한 사발을 놓고, 그 밑에는 막걸리 서너 말을 큰 대접에 담는다. 문간 성주에게도 똑같이 차린다. 그리고 다시 한 번 절을 한다. 전하는 말에 따르면 “방 안의 뒷문에는 성주가 있고 한가운데에는 조상이 있다.”고 한다. 이렇게 하여 절을 마치면 문간신에게 소지를 올린다. 이때 소지가 잘 오르면 좋지만 안 오르고 방바닥에 떨어지면 좋지 않다고 한다.

이 밖에도 김제시 죽산면 죽산리 죽동마을에서는 문신을 문간신이라고 하면서 굿을 할 때 제를 지낸다. 문간에 쌀[가마니](/topic/가마니)를 가져다 놓고 촛불을 밝혀서 집안에 재물을 불려 달라고 기원한다.

남원시 주생면 상동리에서는 문신이 있는 문에 상을 차려서 공을 들이지는 않지만 제사가 끝나면 문 밖에 물밥과 말래밥을 차려놓는다. 이때 상을 놓지는 않고 바닥에 깨끗한 짚을 깔아서 그 위에 장만한 음식을 조금씩 부어 놓는다. 어떤 집에서는 짚 위가 아니라 바[가지](/topic/가지)에 담아서 놓기도 한다. 제사를 지낼 때 이외에 정월에 문 앞에 물밥을 차려놓는 사람도 있다. 장수지역에서는 ‘무샘물’이라 하여 명절 때와 마찬가지로 제사 때 조상, 성주에게 올린 음식을 조금씩 떼어내 [대문](/topic/대문) 앞에 짚을 깔고 그 위에 놓아두기도 한다.
참고문헌東國歲時記
洌陽歲時記
한국의 산촌민속 Ⅰ (김태곤․김명자 외, 교문사, 1995)
경기도 민속지 Ⅱ (경기도박물관, 1999)
한국의 가정신앙-경북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한국의 가정신앙-제주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조선무속고](/topic/조선무속고) (이능화, 서영대 역, 창비, 2008)
한국의 가정신앙-전북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문과 상징 (정연학, 시월, 2009)
강화의 가정신앙-1․2 (강화도문화원 가정신앙조사단, 민속원, 2010)
Munsin que significa literalmente “dios de la puerta” es una deidad que atrae la buena suerte y ahuyenta a los espíritus malignos o impurezas que podrían entrar por la entrada del hogar.

Munsin no se representa por una específica entidad sagrada. En la isla de Jeju-do, no obstante, los pilares de madera llamados jeongjumok y las costillas de madera llamadas jeongsal o jeongnang están instalados en la entrada de una calle estrecha. Esta estructura de madera cumple la función que la entrada de la casa en las regiones interiores. Los isleños creen que en los jeongjumok y jeongsal residen una deidad llamada Munseonsin, que significa “dios de la puerta afuera”. La principal función de esta entrada es mantener los ganados fuera del hogar, así que no solo las instalan en las casas, sino también en las huertas para tal fin. Generalmente Munjeonsin toma las riendas de los asuntos domésticos. Él tiene varios nombres según regiones o gente: se llama Namseonbi en la isla de Jeju-do y se denomina Mungandaegam en la provinica de Jeollabuk-do. Además los chamanes lo llaman como Sumundaegam.

En la religión popular coreana, se cree que el dios reside en casa puerta, pero no se lleva a cabo un ritual especial separado solamente para Munsin, sino se efectúa un acto de dejar pedacitos de pastel de arroz en frente de la puerta después de hacer tenido lugar un ritual para venerar a los dioses domésticos. Sin embargo, en la isla de Jeju-do donde las puertas se consideran muy importantes, cada ritual doméstico incluye el canto narrativo “[[Munjeonbonpuri](/topic/OrigenDelDiosDeLaPuerta)](/topic/Munjeonbonpuri)” que significa “origen del dios de la puerta”. Asimismo, los isleños realizan el ritual llamado munjeonje para adorar al dios de la puerta al mudarse a una casa nueva.
Munsin, or Gate God, is a deity that invites in good fortune or keeps away evil spirits or impurities that can enter through the gate of a home.

Munsin is not embodied by a specific sacred entity. On Jeju Island, however, the wooden pillars (jeongjumok) and ribs (jeongsal) that comprise the island’ s distinctive makeshift gates are believed to embody the god that is called Munjeonsin (God Outside the Gate). The practical function of this gate is to keep out cattle, and they are installed not only at houses but in the fields as well. In Jeju, Munjeonsin oversees all domestic affairs and is also referred to as the personified name Namseonbi. Shamans call door gods Sumundaegam (State Official God of the Gates) and in Jinan, North Jeolla Province, the gate god is called Mungandaegam.

In Korean folk religion, it is believed that a god resides in every door, but the door god is generally not worshipped in a separate ritual but with a simple acknowledgement of leaving a small piece of rice cake at the gate after a household gods ritual (gosa). On Jeju Island, however, where gates are viewed as highly important, every household ritual includes the narrative song “[[Munjeonbonpuri](/topic/OriginofGateGod)](/topic/Munjeonbonpuri) (Origin of the Gate God)” and a ritual for the gate god (munjeongosa) is held upon moving into a new house.
存在于大门上的神,阻挡随意进出大门的杂鬼和[不净](/topic/不净)之物并带来福气。

没有象征“门神”的神体。济州岛地区将门神称为“门前神”。在大路通往家门的狭窄的胡同“偶来小路”入口处,搭一棵粗壮的树,将其称为“正棂”或“正木”。同时,还有为横穿正棂搭在上面,而在两端穿孔而立的“正柱木”。相当于半岛陆地地区大门的正棂和正柱木,被视为有神附身,该神即为门前神。事实上,正棂与正柱木的实际功能是防止家畜的侵入,带着这种目的,在田中也设有正棂和正柱木。门前神掌管发生在家中的事情。尤其是在济州岛地区,甚至有具体的名字,将门前神称为“南书生”。巫俗信仰中将大门的门神称为“守门[大监](/topic/大监)”,全罗北道镇安地区将门神称为“门间大监”。

据说所有的门都有神。但通常没有特别的仪式,只是在家中举行[告祀](/topic/告祀)后,取少许甑糕放在大门栏杆处。相反,也有专门供奉门神的情况。济州岛地区对门尤为重视,并视门为神圣之物,在家中进行的[巫祭](/topic/巫祭)必有“门前[本解](/topic/本解)”,若搬新家还会举行“门前祭”。
지역사례제주도 제주시 용담2동 어영[마을](/topic/마을)에서는 [기제사](/topic/기제사)를 지낼 때 [문전제](/topic/문전제)와 [할망상](/topic/할망상)을 차려 모시기도 한다. 문전제를 먼저 지내고 본제를 지내며, 어린아이들이 잘 크게 해 달라고 방에 할망상을 모신다. 기제사는 제물을 준비하고 상을 차려 초저녁에 진설해 놓고 나서 친척들이 오면 음식을 대접하다가 자시(子時)가 되면 지낸다.

여러 형제가 본제의 [제관](/topic/제관)으로 참석하더라도 문전제만은 제의를 준비하는 사람인 집주인이 맡아 한다. 제주도지역에서는 장손에게만 제사를 맡겨 큰 부담을 지워주지 않기 위해 자손들이 골고루 기제사와 문전제를 맡는다.

본제를 다 지내면 안사람이 중심이 되어 할망상을 차리고, 제사에 온 여러 혼령을 대접하기 위해 잡식을 행한다. 제사가 끝나면 음식물을 나누어 먹고 대[바구니](/topic/바구니)에 담아 나누어 주기도 한다.

또한 문전제는 신랑이 혼례를 치를 때 신부 집으로 가기 전에 자신의 조상과 문전에 혼인 사실을 알리기 위해 지내기도 한다. 형식은 명절 제사의 절차와 같다. 혼인을 위해 택일을 하면 신랑이 나가는 시간을 보고서 차례 지낼 준비를 하면서 문전제부터 먼저 지낸다. 차례를 지낼 때는 문전제에 올린 음식을 차린다.

옛날에는 혼례를 ‘7일 잔치’라고 하여 사흘 전에 그릇과 천막 등 물자를 준비하고 가옥을 청소하며, 이틀 전에 두부를 준비하고, 하루 전날에 돼지를 잡아서 ‘가문잔치’를 치른다. 그리고 잔칫날에는 신랑과 상객(上客)이 모두 신부 집으로 가서 신부를 데려와 신랑 집에서 잔치를 치른다. 혼례를 치른 다음날은 사돈 10명이 신랑, 신부, 신랑 부친과 함께 신부 집으로 간다. 이틀 뒤에는 신부 부친이 신랑 집 안사돈과 인사하기 위해 신랑 집을 방문한다. 그리고 마지막 날에는 설거지와 청소, 빌린 것을 돌려주는 등 바쁜 일을 마[무리](/topic/무리)하고 일상으로 돌아온다.

전북 익산시 왕궁면 왕금마을에서는 정월 초순 안으로 날을 받아 문간[고사](/topic/고사)를 지낸다. 문간고사를 지내기 전에 집 앞에 [금줄](/topic/금줄)을 치며, [손 없는 날](/topic/손없는날) [황토](/topic/황토)를 뿌려 부정을 가린다. 고사일 저녁에 문을 열어놓고 밥, 나물, 과일, 떡시루를 문간에 올린다. 밥은 큰 그릇에 담아서 놓는다. 여기에 식구들의 숟가락을 빙 둘러서 꽂아놓는다. 또 쌀 한 말 정도를 퍼서 촛불을 밝힌 다음 식구들이 모두 나와서 절을 한다. 궂은 사람은 사흘 동안 기도를 하기도 한다.

문간에서 절이 끝나면 올린 제물은 그대로 방 안의 성주에게 다시 차려 올린다. 그리고 상에 막걸리 한 사발을 놓고, 그 밑에는 막걸리 서너 말을 큰 대접에 담는다. 문간 성주에게도 똑같이 차린다. 그리고 다시 한 번 절을 한다. 전하는 말에 따르면 “방 안의 뒷문에는 성주가 있고 한가운데에는 조상이 있다.”고 한다. 이렇게 하여 절을 마치면 문간신에게 소지를 올린다. 이때 소지가 잘 오르면 좋지만 안 오르고 방바닥에 떨어지면 좋지 않다고 한다.

이 밖에도 김제시 죽산면 죽산리 죽동마을에서는 문신을 문간신이라고 하면서 굿을 할 때 제를 지낸다. 문간에 쌀[가마니](/topic/가마니)를 가져다 놓고 촛불을 밝혀서 집안에 재물을 불려 달라고 기원한다.

남원시 주생면 상동리에서는 문신이 있는 문에 상을 차려서 공을 들이지는 않지만 제사가 끝나면 문 밖에 물밥과 말래밥을 차려놓는다. 이때 상을 놓지는 않고 바닥에 깨끗한 짚을 깔아서 그 위에 장만한 음식을 조금씩 부어 놓는다. 어떤 집에서는 짚 위가 아니라 바[가지](/topic/가지)에 담아서 놓기도 한다. 제사를 지낼 때 이외에 정월에 문 앞에 물밥을 차려놓는 사람도 있다. 장수지역에서는 ‘무샘물’이라 하여 명절 때와 마찬가지로 제사 때 조상, 성주에게 올린 음식을 조금씩 떼어내 [대문](/topic/대문) 앞에 짚을 깔고 그 위에 놓아두기도 한다.
참고문헌東國歲時記
洌陽歲時記
한국의 산촌민속 Ⅰ (김태곤․김명자 외, 교문사, 1995)
경기도 민속지 Ⅱ (경기도박물관, 1999)
한국의 가정신앙-경북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한국의 가정신앙-제주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조선무속고](/topic/조선무속고) (이능화, 서영대 역, 창비, 2008)
한국의 가정신앙-전북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문과 상징 (정연학, 시월, 2009)
강화의 가정신앙-1․2 (강화도문화원 가정신앙조사단, 민속원, 2010)
Munsin que significa literalmente “dios de la puerta” es una deidad que atrae la buena suerte y ahuyenta a los espíritus malignos o impurezas que podrían entrar por la entrada del hogar.

Munsin no se representa por una específica entidad sagrada. En la isla de Jeju-do, no obstante, los pilares de madera llamados jeongjumok y las costillas de madera llamadas jeongsal o jeongnang están instalados en la entrada de una calle estrecha. Esta estructura de madera cumple la función que la entrada de la casa en las regiones interiores. Los isleños creen que en los jeongjumok y jeongsal residen una deidad llamada Munseonsin, que significa “dios de la puerta afuera”. La principal función de esta entrada es mantener los ganados fuera del hogar, así que no solo las instalan en las casas, sino también en las huertas para tal fin. Generalmente Munjeonsin toma las riendas de los asuntos domésticos. Él tiene varios nombres según regiones o gente: se llama Namseonbi en la isla de Jeju-do y se denomina Mungandaegam en la provinica de Jeollabuk-do. Además los chamanes lo llaman como Sumundaegam.

En la religión popular coreana, se cree que el dios reside en casa puerta, pero no se lleva a cabo un ritual especial separado solamente para Munsin, sino se efectúa un acto de dejar pedacitos de pastel de arroz en frente de la puerta después de hacer tenido lugar un ritual para venerar a los dioses domésticos. Sin embargo, en la isla de Jeju-do donde las puertas se consideran muy importantes, cada ritual doméstico incluye el canto narrativo “[[Munjeonbonpuri](/topic/OrigenDelDiosDeLaPuerta)](/topic/Munjeonbonpuri)” que significa “origen del dios de la puerta”. Asimismo, los isleños realizan el ritual llamado munjeonje para adorar al dios de la puerta al mudarse a una casa nueva.
Munsin, or Gate God, is a deity that invites in good fortune or keeps away evil spirits or impurities that can enter through the gate of a home.

Munsin is not embodied by a specific sacred entity. On Jeju Island, however, the wooden pillars (jeongjumok) and ribs (jeongsal) that comprise the island’ s distinctive makeshift gates are believed to embody the god that is called Munjeonsin (God Outside the Gate). The practical function of this gate is to keep out cattle, and they are installed not only at houses but in the fields as well. In Jeju, Munjeonsin oversees all domestic affairs and is also referred to as the personified name Namseonbi. Shamans call door gods Sumundaegam (State Official God of the Gates) and in Jinan, North Jeolla Province, the gate god is called Mungandaegam.

In Korean folk religion, it is believed that a god resides in every door, but the door god is generally not worshipped in a separate ritual but with a simple acknowledgement of leaving a small piece of rice cake at the gate after a household gods ritual (gosa). On Jeju Island, however, where gates are viewed as highly important, every household ritual includes the narrative song “[[Munjeonbonpuri](/topic/OriginofGateGod)](/topic/Munjeonbonpuri) (Origin of the Gate God)” and a ritual for the gate god (munjeongosa) is held upon moving into a new house.
문신
13358
문신
문신
13357
문신
문신
13356
문신
문신 부적
13355
문신 부적
문신 부적
13354
문신 부적
문신 부적
13353
문신 부적
문신
13358
문신
문신
13357
문신
문신
13356
문신
문신 부적
13355
문신 부적
문신 부적
13354
문신 부적
문신 부적
13353
문신 부적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