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주

한국무속신앙사전
민속에서 무당이 굿하는 집이나 [단골](/topic/단골)로 다니는 집의 바깥주인을 이르는 말.
definition
민속에서 무당이 굿하는 집이나 [단골](/topic/단골)로 다니는 집의 바깥주인을 이르는 말.
mp3Cnt
0
wkorname
안혜경
정의민속에서 무당이 굿하는 집이나 [단골](/topic/단골)로 다니는 집의 바깥주인을 이르는 말.
정의민속에서 무당이 굿하는 집이나 [단골](/topic/단골)로 다니는 집의 바깥주인을 이르는 말.
내용일반적으로는 여자들이 집의 남자주인, 즉 남편을 이르는 말로 사용한다. 때로는 호주(戶主)를 뜻하기도 한다. 이때는 법률상 의미보다 한 집안의 주장이 되는 사람, 즉 호두(戶頭)와 통하는 의미로 한 가정을 도맡아 꾸려 나가는 사람을 가리킨다. 한자로 표기할 때 일반적인 글자는 큰 주인이라는 측면에서 대주(大主)이며, 학자에 따라서 가장(家長)이라는 의미를 강조하여 대주(垈主)로 쓰기도 한다. 대주를 성주와 연관시켜 큰 [기둥](/topic/기둥)이라는 의미에서 대주(大柱)로 표기하는 이도 있다. 무속에서 대주는 한집안의 안주인인 기주(祈主)와 짝을 이루어 표현된다. 기주는 글자 그대로 돈을 들여 굿을 하며 소원을 비는 주인, 즉 제의를 의뢰한 사람으로 대부분 한집안의 안살림을 책임지는 여성이다.

대주가 언급되는 경우는 대개 성주신과 관련된다. 성주신에 대한 제의가 으레 “성주는 대주를 믿고 대주는 성주를 믿는다."는 말로 시작될 만큼 대주와 성주의 관계는 밀접하다. 전국적으로 ‘대주와 성주가 한[가지](/topic/가지)’라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성주는 주인을 위해 모신다는 말도 있다. 가옥을 주관하는 성주는 집을 보살피는 중심 신격으로서 주택의 중심에 있게 된다. 이는 상량식에 올라가는 [대들보](/topic/대들보)가 집을 떠받쳐 가옥의 틀을 지탱하는 중심이 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보통 기둥으로 표현되는 대들보는 가부장제 사회에서 가장에 비유된다. 가옥과 기둥의 관계는 한 가정(집)과 그 집 가장(대주)의 관계와 같다. 이러한 비유는 성주와 그 집의 가장을 동격으로 인식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가부장제 하에서 집을 지탱하는 중심은 가장이 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다른 [가신](/topic/가신) 제의에 비해 성주에 대한 의례는 대주가 행하는 경우가 많다. 상량식이나 성주받이굿에서 대주가 참여하는 비율은 다른 가신 제의에 대주가 참여하는 비율보다 훨씬 높게 나타난다. 성주받이란 새로 집을 짓거나 [이사](/topic/이사)를 해서 새로이 성주를 맞아들이게 되는 무속적 의례를 말한다.

원칙적으로는 독립된 집이 있는 사람만이 성주를 모실 수 있다. 그리고 한 집에 두 성주는 있을 수 없으며, 가장이 바뀌면 성주도 달라져야 한다. 성주를 표상하는 대주가 죽으면 기존의 성주는 집을 나가고 새로운 대주에 따른 새 성주를 모셔야 한다. 이에 따라 주인이 세상을 떠나면 기존의 성주 신체는 태워서 없애고, 새 주인의 운수를 보아 성주받이를 통해 성주를 새로 맨다. 새로운 가장이 한 집의 운과 질서를 좌우하게 되듯이 새로운 성주가 새로워진 가족 간의 관계와 질서, 안녕을 보살피게 되는 것이다.
참고문헌한국민속학개설 (이두현․이광규․장주근, 일조각, 1991)
한국민속학개론 (최운식 외, 민속원, 1998)
한국의 가정신앙-경기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경기남부지역의 [가신](/topic/가신)신앙 연구 (안혜경,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9)
내용일반적으로는 여자들이 집의 남자주인, 즉 남편을 이르는 말로 사용한다. 때로는 호주(戶主)를 뜻하기도 한다. 이때는 법률상 의미보다 한 집안의 주장이 되는 사람, 즉 호두(戶頭)와 통하는 의미로 한 가정을 도맡아 꾸려 나가는 사람을 가리킨다. 한자로 표기할 때 일반적인 글자는 큰 주인이라는 측면에서 대주(大主)이며, 학자에 따라서 가장(家長)이라는 의미를 강조하여 대주(垈主)로 쓰기도 한다. 대주를 성주와 연관시켜 큰 [기둥](/topic/기둥)이라는 의미에서 대주(大柱)로 표기하는 이도 있다. 무속에서 대주는 한집안의 안주인인 기주(祈主)와 짝을 이루어 표현된다. 기주는 글자 그대로 돈을 들여 굿을 하며 소원을 비는 주인, 즉 제의를 의뢰한 사람으로 대부분 한집안의 안살림을 책임지는 여성이다.

대주가 언급되는 경우는 대개 성주신과 관련된다. 성주신에 대한 제의가 으레 “성주는 대주를 믿고 대주는 성주를 믿는다."는 말로 시작될 만큼 대주와 성주의 관계는 밀접하다. 전국적으로 ‘대주와 성주가 한[가지](/topic/가지)’라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성주는 주인을 위해 모신다는 말도 있다. 가옥을 주관하는 성주는 집을 보살피는 중심 신격으로서 주택의 중심에 있게 된다. 이는 상량식에 올라가는 [대들보](/topic/대들보)가 집을 떠받쳐 가옥의 틀을 지탱하는 중심이 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보통 기둥으로 표현되는 대들보는 가부장제 사회에서 가장에 비유된다. 가옥과 기둥의 관계는 한 가정(집)과 그 집 가장(대주)의 관계와 같다. 이러한 비유는 성주와 그 집의 가장을 동격으로 인식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가부장제 하에서 집을 지탱하는 중심은 가장이 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다른 [가신](/topic/가신) 제의에 비해 성주에 대한 의례는 대주가 행하는 경우가 많다. 상량식이나 성주받이굿에서 대주가 참여하는 비율은 다른 가신 제의에 대주가 참여하는 비율보다 훨씬 높게 나타난다. 성주받이란 새로 집을 짓거나 [이사](/topic/이사)를 해서 새로이 성주를 맞아들이게 되는 무속적 의례를 말한다.

원칙적으로는 독립된 집이 있는 사람만이 성주를 모실 수 있다. 그리고 한 집에 두 성주는 있을 수 없으며, 가장이 바뀌면 성주도 달라져야 한다. 성주를 표상하는 대주가 죽으면 기존의 성주는 집을 나가고 새로운 대주에 따른 새 성주를 모셔야 한다. 이에 따라 주인이 세상을 떠나면 기존의 성주 신체는 태워서 없애고, 새 주인의 운수를 보아 성주받이를 통해 성주를 새로 맨다. 새로운 가장이 한 집의 운과 질서를 좌우하게 되듯이 새로운 성주가 새로워진 가족 간의 관계와 질서, 안녕을 보살피게 되는 것이다.
참고문헌한국민속학개설 (이두현․이광규․장주근, 일조각, 1991)
한국민속학개론 (최운식 외, 민속원, 1998)
한국의 가정신앙-경기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경기남부지역의 [가신](/topic/가신)신앙 연구 (안혜경,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9)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