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부르기제

한국무속신앙사전
굴부르기제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리에서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굴의 풍년을 기원하는 제의.
definition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리에서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굴의 풍년을 기원하는 제의.
mp3Cnt
0
wkorname
유철인
정의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리에서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굴의 풍년을 기원하는 제의.
정의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리에서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굴의 풍년을 기원하는 제의.
내용간월도리 주민들은 1990년 12월에 건립된 ‘간월도 [어리](/topic/어리)굴젓 기념탑’ 앞에서 매년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낮의 만조 때에 굴부르기제를 지낸다. 1995년 2월 14일 정월대보름날 오후 2시 30분에서 3시 30분까지 거행된 굴부르기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오후 2시 30분쯤 부녀자들은 [마을](/topic/마을) 어귀에 있는 어리굴젓 공장 앞에 모여 제를 지내는 기념탑 광장까지 행진한다. 주민들은 현 공장 장소가 과거에도 어리굴젓을 담던 곳이었고, 정월 초이튿날 밤 12시에 당제(산신제)를 지내고 내려오는 길 어귀에 해당하기 때문에 그곳에서부터 행진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굴부르기의 제물도 당제 때 사용한 것을 그대로 쓴다고 한다. 남자의 제의(당제)와 여자의 제의(굴부르기제)를 상징적으로 연결시키려는 의도로 보인다. 그러나 당제에서는 고기를 제물로 쓰지 않지만 굴부르기제에서는 돼지머리를 올려놓고 지낸다.

행렬은 ‘굴부르기 군왕제’라고 쓰인 깃발을 든 두 남자가 앞장을 선다. 그 뒤로 제물을 실은 [지게](/topic/지게)를 진 남자 한 사람과 제물을 머리에 인 부녀자 한 사람, 풍물패인 남자 세 사람이 따른다. 그리고 [제관](/topic/제관)인 부녀자 두 사람을 앞세우고, 부녀자들이 굴 [바구니](/topic/바구니)를 머리에 인 채 두 손을 사용하여 춤을 추면서 따라온다.

제(祭)는 만조시간인 오후 3시에 맞추어 기념탑 앞에서 시작된다. 과거의 제의는 밤의 만조 때 행해졌으나, 공연행사처럼 지내게 된 굴부르기제는 낮의 만조 때 진행한다. 먼저 제관이 “석화야, 석화야, 석화야”하고 세 번 소리친 후, [축문](/topic/축문)을 읊는다. 그다음에 다시 “석화야”를 세 번 소리치고 소지(燒紙)를 올린다. 그러는 동안 제사상 앞에서 원을 그리고 앉아 있던 부녀자들은 앉은 채로 빈다.

축문을 읽는 것은 과거의 제의에서나 현재의 굴부르기제에서나 모두 중요하다. “올해에도 정산물, 바디기, 몽대, 굼섬, 드르니, 저드래, 한바위, 수애, 어설, 남댕이, 도툼[마루](/topic/마루) 밖에 있는 석화까지 모두 간월도로 모이게 하여 대풍을 이루게 하여 주시옵소서.”라고 축원한다. 간월도 주변에 있는 홍성군과 태안군의 해안가 마을과 섬들을 열거하면서 간월도 쪽으로만 굴이 모이게 해 달라고 비는 것이다.

굴을 부른 다음에는 굴을 딸 때 사용하는 바람막이 [거적](/topic/거적)을 쓴 몇 명의 부녀자들이 제장 가운데에서 굴 따는 작업을 춤동작으로 보이면서 굴 따는 노래를 부른다. 이들이 굴을 까는 작업을 시작하면 원을 그리고 있던 다른 부녀자들도 이고 온 바구니 안에서 굴을 꺼내 까기 시작한다. 부녀자들이 관중에게 생굴을 나누어 주는 동안 본부석에 앉아 있는 유지들이 제사상 앞에 부조금을 놓고 절을 하는 것으로 굴부르기제는 오후 3시 30분쯤 끝난다.

부녀자들의 행진부터 시작하여 1시간여 만에 굴부르기제가 끝나면 부녀자들은 춤을 추면서 논다. 옛날에는 정월대보름이 지나면 일을 시작하였기 때문에 굴부르기제는 일을 시작하기 전에 하루 동안 지성도 들이고 놀기도 한 행사였다. 굴부르기제가 여성들에게 하나의 놀이공간을 제공해 주는 전통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굴부르기제는 이제 관광명물로 자리 잡았다. 방송기자와 사진작가들이 이 행사에 참석하게 되면서 굴부르기제는 볼 만한 가치가 있는 민속으로 관광객에게 다가오고, 간월도 주민들에게도 할 만한 가치가 있는 행사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마을 남자들은 풍물을 치거나 깃발을 들거나 제물을 옮기는 일을 하고 있지만 주로 관객으로서 참여하고 있다. 굴부르기제는 과거 [비손](/topic/비손) 형태로 [고사](/topic/고사)를 지낸 것처럼 부녀자가 중심이다. 제관도 부녀자 두 명이 맡는다. 그러나 굴양식장의 관리나 어리굴젓의 생산을 어촌계가 주도하게 됨에 따라 굴부르기제 행사에 남자인 어촌계장이 관여하게 되었다. 마을 조직으로 되어 있는 굴부르기제 보존회의 회장도 남자인 이장이 맡고 있다. 이에 따라 굴부르기제는 부녀회가 행사를 주도하더라도 부녀회, 어촌계, 굴부르기제 보존회 등 마을 내 3개 단체가 공동으로 협력하여 지내는 셈이다.
내용간월도리 주민들은 1990년 12월에 건립된 ‘간월도 [어리](/topic/어리)굴젓 기념탑’ 앞에서 매년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낮의 만조 때에 굴부르기제를 지낸다. 1995년 2월 14일 정월대보름날 오후 2시 30분에서 3시 30분까지 거행된 굴부르기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오후 2시 30분쯤 부녀자들은 [마을](/topic/마을) 어귀에 있는 어리굴젓 공장 앞에 모여 제를 지내는 기념탑 광장까지 행진한다. 주민들은 현 공장 장소가 과거에도 어리굴젓을 담던 곳이었고, 정월 초이튿날 밤 12시에 당제(산신제)를 지내고 내려오는 길 어귀에 해당하기 때문에 그곳에서부터 행진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굴부르기의 제물도 당제 때 사용한 것을 그대로 쓴다고 한다. 남자의 제의(당제)와 여자의 제의(굴부르기제)를 상징적으로 연결시키려는 의도로 보인다. 그러나 당제에서는 고기를 제물로 쓰지 않지만 굴부르기제에서는 돼지머리를 올려놓고 지낸다.

행렬은 ‘굴부르기 군왕제’라고 쓰인 깃발을 든 두 남자가 앞장을 선다. 그 뒤로 제물을 실은 [지게](/topic/지게)를 진 남자 한 사람과 제물을 머리에 인 부녀자 한 사람, 풍물패인 남자 세 사람이 따른다. 그리고 [제관](/topic/제관)인 부녀자 두 사람을 앞세우고, 부녀자들이 굴 [바구니](/topic/바구니)를 머리에 인 채 두 손을 사용하여 춤을 추면서 따라온다.

제(祭)는 만조시간인 오후 3시에 맞추어 기념탑 앞에서 시작된다. 과거의 제의는 밤의 만조 때 행해졌으나, 공연행사처럼 지내게 된 굴부르기제는 낮의 만조 때 진행한다. 먼저 제관이 “석화야, 석화야, 석화야”하고 세 번 소리친 후, [축문](/topic/축문)을 읊는다. 그다음에 다시 “석화야”를 세 번 소리치고 소지(燒紙)를 올린다. 그러는 동안 제사상 앞에서 원을 그리고 앉아 있던 부녀자들은 앉은 채로 빈다.

축문을 읽는 것은 과거의 제의에서나 현재의 굴부르기제에서나 모두 중요하다. “올해에도 정산물, 바디기, 몽대, 굼섬, 드르니, 저드래, 한바위, 수애, 어설, 남댕이, 도툼[마루](/topic/마루) 밖에 있는 석화까지 모두 간월도로 모이게 하여 대풍을 이루게 하여 주시옵소서.”라고 축원한다. 간월도 주변에 있는 홍성군과 태안군의 해안가 마을과 섬들을 열거하면서 간월도 쪽으로만 굴이 모이게 해 달라고 비는 것이다.

굴을 부른 다음에는 굴을 딸 때 사용하는 바람막이 [거적](/topic/거적)을 쓴 몇 명의 부녀자들이 제장 가운데에서 굴 따는 작업을 춤동작으로 보이면서 굴 따는 노래를 부른다. 이들이 굴을 까는 작업을 시작하면 원을 그리고 있던 다른 부녀자들도 이고 온 바구니 안에서 굴을 꺼내 까기 시작한다. 부녀자들이 관중에게 생굴을 나누어 주는 동안 본부석에 앉아 있는 유지들이 제사상 앞에 부조금을 놓고 절을 하는 것으로 굴부르기제는 오후 3시 30분쯤 끝난다.

부녀자들의 행진부터 시작하여 1시간여 만에 굴부르기제가 끝나면 부녀자들은 춤을 추면서 논다. 옛날에는 정월대보름이 지나면 일을 시작하였기 때문에 굴부르기제는 일을 시작하기 전에 하루 동안 지성도 들이고 놀기도 한 행사였다. 굴부르기제가 여성들에게 하나의 놀이공간을 제공해 주는 전통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굴부르기제는 이제 관광명물로 자리 잡았다. 방송기자와 사진작가들이 이 행사에 참석하게 되면서 굴부르기제는 볼 만한 가치가 있는 민속으로 관광객에게 다가오고, 간월도 주민들에게도 할 만한 가치가 있는 행사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마을 남자들은 풍물을 치거나 깃발을 들거나 제물을 옮기는 일을 하고 있지만 주로 관객으로서 참여하고 있다. 굴부르기제는 과거 [비손](/topic/비손) 형태로 [고사](/topic/고사)를 지낸 것처럼 부녀자가 중심이다. 제관도 부녀자 두 명이 맡는다. 그러나 굴양식장의 관리나 어리굴젓의 생산을 어촌계가 주도하게 됨에 따라 굴부르기제 행사에 남자인 어촌계장이 관여하게 되었다. 마을 조직으로 되어 있는 굴부르기제 보존회의 회장도 남자인 이장이 맡고 있다. 이에 따라 굴부르기제는 부녀회가 행사를 주도하더라도 부녀회, 어촌계, 굴부르기제 보존회 등 마을 내 3개 단체가 공동으로 협력하여 지내는 셈이다.
역사굴부르기제는 개인적으로 지내기도 하며 여러 사람이 함께 지내기도 한다. 굴부르기제는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밤 만조 때 부녀자들이 포구에 모여 제사상을 차려놓고 [비손](/topic/비손)하던 것이었다. [독경](/topic/독경)하는 사람이 앉아서 북이나 양판을 두드리며 경을 읽으면 참석자들은 앉아서 빌었다. 굴부르기제는 2~3년 중단되기도 했다. 1983년 [간척](/topic/간척)지 공사를 하기 위해 물막이 공사를 마친 뒤 간월도의 개펄이 엉망이어서 굴을 부르는 비손을 못했다는 이야기도 있고, 비손할 때 앉아서 경을 읽던 남자 어른이 죽어서 못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비손 형태였던 굴부르기제는 지방문화제의 활성화 정책이 강화되면서 [민속놀이](/topic/민속놀이) 공연의 형태로 바뀌었다. 1987년 처음 개최된 서산문화제에는 인지면 야당리의 ‘볏가릿대 놀이’가 [농민](/topic/농민)축제의 대표, 안면읍 황도의 ‘붕기풍어제’가 어민축제의 대표로 각각 참가하였다. 그러나 1989년 [1월 1일](/topic/1월1일)자 행정 개편으로 서산군이 서산시, 태안군과 서산군으로 분리되면서 황도가 태안군에 속하게 되었다. 그러자 서산군에서는 서산문화원이 주축이 되어 굴부르기제를 발굴하여 정비하고 각색하였다. 이후 1995년 1월1일 서산군이 시(市)로 통합되면서 서산시와 태안군으로 이분화 되었다.

굴부르기제가 서산문화제에 참가하게 되면서 제의의 명칭은 군왕(群王)이 덧붙여진 ‘굴부르기 군왕제’로 바뀌었다. 황도의 붕기풍어제라는 명칭에서 붕기는 본래 ‘벌떼처럼 일어나라’라는 뜻의 봉기(蜂起)라는 한자어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를 본떠 [무리](/topic/무리) 군(群)자를 붙여 많은 굴이 붙어 오라고 서산군에서 붙였다. 군왕을 용왕으로 여기는 사람도 있지만 [마을](/topic/마을) 사람들은 보통 굴부르기제라고 부른다.

간월도 주민들은 매년 가을에 열리는 서산문화제에 참가하여 굴부르기제를 시연(試演) 프로그램의 하나로 공연하고 있다. 문화제에 참가한 이후로는 문화제에 나가서 공연하는 굴부르기제와 똑같은 내용으로 정월대보름날 간월도에서 굴부르기제를 지낸다.
역사굴부르기제는 개인적으로 지내기도 하며 여러 사람이 함께 지내기도 한다. 굴부르기제는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 밤 만조 때 부녀자들이 포구에 모여 제사상을 차려놓고 [비손](/topic/비손)하던 것이었다. [독경](/topic/독경)하는 사람이 앉아서 북이나 양판을 두드리며 경을 읽으면 참석자들은 앉아서 빌었다. 굴부르기제는 2~3년 중단되기도 했다. 1983년 [간척](/topic/간척)지 공사를 하기 위해 물막이 공사를 마친 뒤 간월도의 개펄이 엉망이어서 굴을 부르는 비손을 못했다는 이야기도 있고, 비손할 때 앉아서 경을 읽던 남자 어른이 죽어서 못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비손 형태였던 굴부르기제는 지방문화제의 활성화 정책이 강화되면서 [민속놀이](/topic/민속놀이) 공연의 형태로 바뀌었다. 1987년 처음 개최된 서산문화제에는 인지면 야당리의 ‘볏가릿대 놀이’가 [농민](/topic/농민)축제의 대표, 안면읍 황도의 ‘붕기풍어제’가 어민축제의 대표로 각각 참가하였다. 그러나 1989년 [1월 1일](/topic/1월1일)자 행정 개편으로 서산군이 서산시, 태안군과 서산군으로 분리되면서 황도가 태안군에 속하게 되었다. 그러자 서산군에서는 서산문화원이 주축이 되어 굴부르기제를 발굴하여 정비하고 각색하였다. 이후 1995년 1월1일 서산군이 시(市)로 통합되면서 서산시와 태안군으로 이분화 되었다.

굴부르기제가 서산문화제에 참가하게 되면서 제의의 명칭은 군왕(群王)이 덧붙여진 ‘굴부르기 군왕제’로 바뀌었다. 황도의 붕기풍어제라는 명칭에서 붕기는 본래 ‘벌떼처럼 일어나라’라는 뜻의 봉기(蜂起)라는 한자어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를 본떠 [무리](/topic/무리) 군(群)자를 붙여 많은 굴이 붙어 오라고 서산군에서 붙였다. 군왕을 용왕으로 여기는 사람도 있지만 [마을](/topic/마을) 사람들은 보통 굴부르기제라고 부른다.

간월도 주민들은 매년 가을에 열리는 서산문화제에 참가하여 굴부르기제를 시연(試演) 프로그램의 하나로 공연하고 있다. 문화제에 참가한 이후로는 문화제에 나가서 공연하는 굴부르기제와 똑같은 내용으로 정월대보름날 간월도에서 굴부르기제를 지낸다.
지역사례굴부르기제와 유사한 제의로는 조개를 부르는 제의와 ‘[짬고사](/topic/짬고사)’가 있다. 조개를 부르는 제의는 안면도의 서남쪽인 충남 태안군 고남면 서쪽 일부에서 조개를 많이 채취할 수 있도록 기원하는 제의로 [마을](/topic/마을)마다 부르는 이름이 조금씩 다르다. 짬고사는 경북 울진군 울진읍 온양2리에서 미역이 많이 생산되게 해 달라고 정월 열나흗날 저녁에 지내던 제의이다.

고남면 장곡리 3구인 양지뜸 마을의 ‘조개부르는제’는 조개 채취를 담당하는 부녀자들이 중심이 되어 치러진다. 장산포 해수욕장에서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 낮에 물이 나갔다가 들어올 때인 오후 1시쯤 조개를 부른다. 매년 대보름이 되면 부녀회에서는 시장에 나가 돼지머리, 포, 삼색실과, 술을 사고 방앗간에서 떡을 찐다. 밥과 국은 올리지 않는다. 제물은 부녀회원들이 마을회관에 모여 장만한다. 예전에는 마을에서 쌀이나 [보리](/topic/보리)쌀을 거두어 경비로 썼지만 2001년부터는 마을기금으로 제사를 지낸다.

제물이 준비되면 마을 여자들이 모두 장산포 해수욕장으로 나간다. 진설이 끝나면 여자들은 물가를 따라 서로 손을 잡고 길게 늘어서서 제사가 끝나기를 기다린다. 남성이 [제관](/topic/제관)과 축을 읽는 역할을 맡기도 하지만 주로 할머니가 제사를 주관한다. 제관이 잔을 올려 절하고 축을 읽은 다음 소지를 올린 뒤 물가에 늘어서 있는 부녀자들을 보고 “조개 부르라”고 크게 소리치면 여자들이 큰소리로 “조개야”를 외치고 남자들은 신나게 풍물을 친다. 조개 부르는 소리는 보통 한 번으로 끝난다. 조개부르는제에서 남자들은 떡시루를 [지게](/topic/지게)에 실어 날라 주거나 풍장을 치는 등 보조 역할만 한다.

고남면 고남4리 조개부리마을에서는 매년 정월 열나흗날에 ‘조개부르기제’를 지낸다. 남자들이 제관 역할을 하는 고남4리의 조개부르기제는 서산의 굴부르기제와 마찬[가지](/topic/가지)로 외부인사를 초청하고, 관광객도 많이 참여한다.

고남면 고남리 옷점[衣店]마을에서는 섣달 그믐날 자정에 당제를 지내기 이전 썰물 때 갯벌에서 당주 일행을 제외한 마을 사람들이 조개나 해태[김]를 부르는 ‘홍합제’를 지낸다. 밥 세 그릇, 삼색실과와 술을 차려놓고 제관이 “○○○ 조개요, 조개 오너라.”고 다른 지방의 조개를 부르면 마을 사람들이 “우∼우∼”하며 조개가 몰려드는 소리를 낸다. 똑같은 방법으로 제관이 해태를 부르면 마을 사람들은 해태가 몰려드는 소리를 낸다. 이곳에서 말하는 조개는 ‘반지락’(바지락)이지만 홍합제라고 부른다. 당제가 끊어지면서 지금은 홍합제도 지내지 않는다.

짬고사는 예전에 자연산 미역을 채취하던 동해안 지역 마을에서 지냈다. 이곳에서는 미역을 비롯한 해조류의 자생지가 되는 수중의 바위로 이루어진 지역을 ‘짬’이라고 부른다. 조선시대의 문서에 곽전(藿田)으로 표기된 미역짬은 구역이 정해져 있었다. 자신의 짬에서 미역이 많이 생산되게 해 달라며 할머니들은 짬고사를 정월 열나흗날 저녁에 지냈다.

울진군 울진읍 온양2리의 짬은 네 구역으로 나뉘어 있었다. 각 한 구역 당 열 명에서 열다섯 명이 배치되었다. 짬을 맡고 있는 사람들이 의논해 정월 열나흗날 밤 11시나 12시에 자기 구역 바위 앞에 음식을 차려 놓고 밥을 올린 다음 “미역이 많이 나게 해 주십시오.” 하고 짬고사를 지낸다. 술을 붓고 난 뒤 제물은 물에다 던지고 내려온다. 그러나 자연산 미역이 더 이상 생산되지 않는 지금은 짬고사를 지내지 않는다.
참고문헌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topic/사전) (동방미디어, 2002)
경상북도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충청남도 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굴부르기제와 검은여제 (유철인, 인류학과 지방의 역사, 아카넷, 2004)
한국세시풍속 II (김명자, 민속원, 2007)
지역사례굴부르기제와 유사한 제의로는 조개를 부르는 제의와 ‘[짬고사](/topic/짬고사)’가 있다. 조개를 부르는 제의는 안면도의 서남쪽인 충남 태안군 고남면 서쪽 일부에서 조개를 많이 채취할 수 있도록 기원하는 제의로 [마을](/topic/마을)마다 부르는 이름이 조금씩 다르다. 짬고사는 경북 울진군 울진읍 온양2리에서 미역이 많이 생산되게 해 달라고 정월 열나흗날 저녁에 지내던 제의이다.

고남면 장곡리 3구인 양지뜸 마을의 ‘조개부르는제’는 조개 채취를 담당하는 부녀자들이 중심이 되어 치러진다. 장산포 해수욕장에서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 낮에 물이 나갔다가 들어올 때인 오후 1시쯤 조개를 부른다. 매년 대보름이 되면 부녀회에서는 시장에 나가 돼지머리, 포, 삼색실과, 술을 사고 방앗간에서 떡을 찐다. 밥과 국은 올리지 않는다. 제물은 부녀회원들이 마을회관에 모여 장만한다. 예전에는 마을에서 쌀이나 [보리](/topic/보리)쌀을 거두어 경비로 썼지만 2001년부터는 마을기금으로 제사를 지낸다.

제물이 준비되면 마을 여자들이 모두 장산포 해수욕장으로 나간다. 진설이 끝나면 여자들은 물가를 따라 서로 손을 잡고 길게 늘어서서 제사가 끝나기를 기다린다. 남성이 [제관](/topic/제관)과 축을 읽는 역할을 맡기도 하지만 주로 할머니가 제사를 주관한다. 제관이 잔을 올려 절하고 축을 읽은 다음 소지를 올린 뒤 물가에 늘어서 있는 부녀자들을 보고 “조개 부르라”고 크게 소리치면 여자들이 큰소리로 “조개야”를 외치고 남자들은 신나게 풍물을 친다. 조개 부르는 소리는 보통 한 번으로 끝난다. 조개부르는제에서 남자들은 떡시루를 [지게](/topic/지게)에 실어 날라 주거나 풍장을 치는 등 보조 역할만 한다.

고남면 고남4리 조개부리마을에서는 매년 정월 열나흗날에 ‘조개부르기제’를 지낸다. 남자들이 제관 역할을 하는 고남4리의 조개부르기제는 서산의 굴부르기제와 마찬[가지](/topic/가지)로 외부인사를 초청하고, 관광객도 많이 참여한다.

고남면 고남리 옷점[衣店]마을에서는 섣달 그믐날 자정에 당제를 지내기 이전 썰물 때 갯벌에서 당주 일행을 제외한 마을 사람들이 조개나 해태[김]를 부르는 ‘홍합제’를 지낸다. 밥 세 그릇, 삼색실과와 술을 차려놓고 제관이 “○○○ 조개요, 조개 오너라.”고 다른 지방의 조개를 부르면 마을 사람들이 “우∼우∼”하며 조개가 몰려드는 소리를 낸다. 똑같은 방법으로 제관이 해태를 부르면 마을 사람들은 해태가 몰려드는 소리를 낸다. 이곳에서 말하는 조개는 ‘반지락’(바지락)이지만 홍합제라고 부른다. 당제가 끊어지면서 지금은 홍합제도 지내지 않는다.

짬고사는 예전에 자연산 미역을 채취하던 동해안 지역 마을에서 지냈다. 이곳에서는 미역을 비롯한 해조류의 자생지가 되는 수중의 바위로 이루어진 지역을 ‘짬’이라고 부른다. 조선시대의 문서에 곽전(藿田)으로 표기된 미역짬은 구역이 정해져 있었다. 자신의 짬에서 미역이 많이 생산되게 해 달라며 할머니들은 짬고사를 정월 열나흗날 저녁에 지냈다.

울진군 울진읍 온양2리의 짬은 네 구역으로 나뉘어 있었다. 각 한 구역 당 열 명에서 열다섯 명이 배치되었다. 짬을 맡고 있는 사람들이 의논해 정월 열나흗날 밤 11시나 12시에 자기 구역 바위 앞에 음식을 차려 놓고 밥을 올린 다음 “미역이 많이 나게 해 주십시오.” 하고 짬고사를 지낸다. 술을 붓고 난 뒤 제물은 물에다 던지고 내려온다. 그러나 자연산 미역이 더 이상 생산되지 않는 지금은 짬고사를 지내지 않는다.
참고문헌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topic/사전) (동방미디어, 2002)
경상북도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충청남도 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굴부르기제와 검은여제 (유철인, 인류학과 지방의 역사, 아카넷, 2004)
한국세시풍속 II (김명자, 민속원, 2007)
의의간월도 주민들은 [비손](/topic/비손) 형태로 한 과거의 [고사](/topic/고사)에 비해 현재의 굴부르기제를 선호하고 있다. 과거의 비손은 용왕님께 비는 정도였는데 지금은 잘 다듬어졌고, 체계화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비손 형태로 고사를 지낼 때에는 부녀자들만 참석해서 빌었지만 지금은 [어리](/topic/어리)굴젓이 간월도의 주 소득원으로 남녀 모두가 함께 참여하여 제를 지내고 있다.

일부에서는 굴부르기제가 행사용으로 각색되어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보다 타의적인 참여로 행해져 요식행위에 불과하다는 의견도 있다. 반면 굴부르기제는 간월도에서 나는 굴이 여전히 진짜 간월도 굴이라는 것을 대내외적으로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간척](/topic/간척)사업으로 굴밭의 면적도 줄어들었고, 자연산인 토굴은 거의 생산되지 않고 양식한 석화굴이 주로 생산되는 상황에서 굴부르기제는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계기가 되고 있다.
의의간월도 주민들은 [비손](/topic/비손) 형태로 한 과거의 [고사](/topic/고사)에 비해 현재의 굴부르기제를 선호하고 있다. 과거의 비손은 용왕님께 비는 정도였는데 지금은 잘 다듬어졌고, 체계화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비손 형태로 고사를 지낼 때에는 부녀자들만 참석해서 빌었지만 지금은 [어리](/topic/어리)굴젓이 간월도의 주 소득원으로 남녀 모두가 함께 참여하여 제를 지내고 있다.

일부에서는 굴부르기제가 행사용으로 각색되어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보다 타의적인 참여로 행해져 요식행위에 불과하다는 의견도 있다. 반면 굴부르기제는 간월도에서 나는 굴이 여전히 진짜 간월도 굴이라는 것을 대내외적으로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간척](/topic/간척)사업으로 굴밭의 면적도 줄어들었고, 자연산인 토굴은 거의 생산되지 않고 양식한 석화굴이 주로 생산되는 상황에서 굴부르기제는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계기가 되고 있다.
헌식
13250
헌식
풍어고사 제사상
13249
풍어고사 제사상
조개부리기 직전 개펄 끝 용소 앞에 나가 풍어고사를 지낸다. 사진은 고사 장면
13248
조개부리기 직전 개펄 끝 용소 앞에 나가 풍어고사를 지낸다. 사진은 고사 장면
조개부르기; 조개몰기
13247
조개부르기; 조개몰기
이곳에서는 굴부르기란 말 대신 조개부르기란 용어를 주로 사용한다. 과거 굴을 채취하던 어로활동에서 바지락 등의 조개가 주요 채취 대상이 되며 이러한 용어의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13246
이곳에서는 굴부르기란 말 대신 조개부르기란 용어를 주로 사용한다. 과거 굴을 채취하던 어로활동에서 바지락 등의 조개가 주요 채취 대상이 되며 이러한 용어의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제를 지내는 동안 부녀자들의 비손
13245
제를 지내는 동안 부녀자들의 비손
제관이 굴을 부름
13244
제관이 굴을 부름
제를 지내기 전 부녀자들의 행진
13243
제를 지내기 전 부녀자들의 행진
헌식
13250
헌식
풍어고사 제사상
13249
풍어고사 제사상
조개부리기 직전 개펄 끝 용소 앞에 나가 풍어고사를 지낸다. 사진은 고사 장면
13248
조개부리기 직전 개펄 끝 용소 앞에 나가 풍어고사를 지낸다. 사진은 고사 장면
조개부르기; 조개몰기
13247
조개부르기; 조개몰기
이곳에서는 굴부르기란 말 대신 조개부르기란 용어를 주로 사용한다. 과거 굴을 채취하던 어로활동에서 바지락 등의 조개가 주요 채취 대상이 되며 이러한 용어의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13246
이곳에서는 굴부르기란 말 대신 조개부르기란 용어를 주로 사용한다. 과거 굴을 채취하던 어로활동에서 바지락 등의 조개가 주요 채취 대상이 되며 이러한 용어의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제를 지내는 동안 부녀자들의 비손
13245
제를 지내는 동안 부녀자들의 비손
제관이 굴을 부름
13244
제관이 굴을 부름
제를 지내기 전 부녀자들의 행진
13243
제를 지내기 전 부녀자들의 행진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