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신

한국무속신앙사전
첫 [수확](/topic/수확)을 끝내고 햇곡식으로 집안의 신을 위하는 제의. [제물](/topic/제물)의 종류에 따라 밀 천신, 배 천신, 햇밥천신, 햇곡천신, [[올벼](/topic/올벼)천신](/topic/올벼천신), 떡국천신, [앵두천신](/topic/앵두천신), [참외](/topic/참외)천신, [청어천신](/topic/청어천신), 조기천신 등으로 부르며 제의시기에 따라 [유두천신](/topic/유두천신)(流頭薦新)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definition
첫 [수확](/topic/수확)을 끝내고 햇곡식으로 집안의 신을 위하는 제의. [제물](/topic/제물)의 종류에 따라 밀 천신, 배 천신, 햇밥천신, 햇곡천신, [[올벼](/topic/올벼)천신](/topic/올벼천신), 떡국천신, [앵두천신](/topic/앵두천신), [참외](/topic/참외)천신, [청어천신](/topic/청어천신), 조기천신 등으로 부르며 제의시기에 따라 [유두천신](/topic/유두천신)(流頭薦新)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mp3Cnt
0
wkorname
김지욱
정의첫 [수확](/topic/수확)을 끝내고 햇곡식으로 집안의 신을 위하는 제의. [제물](/topic/제물)의 종류에 따라 밀 천신, 배 천신, 햇밥천신, 햇곡천신, [[올벼](/topic/올벼)천신](/topic/올벼천신), 떡국천신, [앵두천신](/topic/앵두천신), [참외](/topic/참외)천신, [청어천신](/topic/청어천신), 조기천신 등으로 부르며 제의시기에 따라 [유두천신](/topic/유두천신)(流頭薦新)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정의첫 [수확](/topic/수확)을 끝내고 햇곡식으로 집안의 신을 위하는 제의. [제물](/topic/제물)의 종류에 따라 밀 천신, 배 천신, 햇밥천신, 햇곡천신, [[올벼](/topic/올벼)천신](/topic/올벼천신), 떡국천신, [앵두천신](/topic/앵두천신), [참외](/topic/참외)천신, [청어천신](/topic/청어천신), 조기천신 등으로 부르며 제의시기에 따라 [유두천신](/topic/유두천신)(流頭薦新)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내용추수감사제의 의미를 지니는 제의로, 가을에 타작을 하면 처음 타작한 햅쌀로 밥을 지어 집안의 여러 신령을 위한다. 제의 시기는 추석 전에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추석 때 차례로 지내기도 한다. 제의 장소는 주로 장광으로 한정된다. 그러나 가정에 따라 가정고사와 같은 방식으로 집안 곳곳에 위하는 신령 모두를 대상으로 하여 신령이 있는 곳에서 행하기도 한다. 제물은 나물과 청수를 올리는 것으로 간단한 곳이 있는가하면 햇밥과 반찬으로 상을 차려 올리는 경우도 있다. 특히 벼가 채 익기도 전에 벼를 베어 제의를 올리는 것을 [[올벼](/topic/올벼)천신](/topic/올벼천신)이라고 한다. 그 외 7월에 새로 밀을 [수확](/topic/수확)하여 부침개를 부쳐 삼신과 터주에 올리는 밀 천신, 유두날 새로 난 과일과 몇 [가지](/topic/가지) 곡식을 음식과 함께 장만하여 조상에게 올리는 [유두천신](/topic/유두천신), 음력 5월 단오절을 맞아 새로 수확한 앵두열매를 제물로 바치는 [앵두천신](/topic/앵두천신), 겨울과 봄에 새로 난 청어(靑魚)를 조상에게 올리는 [청어천신](/topic/청어천신) 등이 있다.
내용추수감사제의 의미를 지니는 제의로, 가을에 타작을 하면 처음 타작한 햅쌀로 밥을 지어 집안의 여러 신령을 위한다. 제의 시기는 추석 전에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추석 때 차례로 지내기도 한다. 제의 장소는 주로 장광으로 한정된다. 그러나 가정에 따라 가정고사와 같은 방식으로 집안 곳곳에 위하는 신령 모두를 대상으로 하여 신령이 있는 곳에서 행하기도 한다. 제물은 나물과 청수를 올리는 것으로 간단한 곳이 있는가하면 햇밥과 반찬으로 상을 차려 올리는 경우도 있다. 특히 벼가 채 익기도 전에 벼를 베어 제의를 올리는 것을 [[올벼](/topic/올벼)천신](/topic/올벼천신)이라고 한다. 그 외 7월에 새로 밀을 [수확](/topic/수확)하여 부침개를 부쳐 삼신과 터주에 올리는 밀 천신, 유두날 새로 난 과일과 몇 [가지](/topic/가지) 곡식을 음식과 함께 장만하여 조상에게 올리는 [유두천신](/topic/유두천신), 음력 5월 단오절을 맞아 새로 수확한 앵두열매를 제물로 바치는 [앵두천신](/topic/앵두천신), 겨울과 봄에 새로 난 청어(靑魚)를 조상에게 올리는 [청어천신](/topic/청어천신) 등이 있다.
Cheonsin, a term that literally means, “offering the new, ” refers to a ritual held to offer the season’s new harvest to ancestors and household gods

The rite is a thanksgiving ritual that involves the offering of the fall season’s first harvested grains to the many household gods, generally taking place before the thanksgiving holiday [[Chuseok](/topic/HarvestFestival)](/topic/Chuseok) or sometimes as part of the Chuseok festivities. The ritual takes place out on the sauce jar terrace in the backyard, or in various corners of the house where household gods reside, as in a household gods ritual (gosa). Sacrificial foods comprise a simple offering of cooked vegetables and clear water, or a bowl of newly harvested rice with some accompanying side dishes. Rituals that offer rice stalks harvested before they have fully grown are called olbyeocheonsin, olbyeo meaning, “early harvest rice.” Other cheonsin rituals include milcheonsin, which offers to [[Samsin](/topic/HouseholdDeities)](/topic/Samsin) the goddess of childbearing and the land tutelary god [[Teoju](/topic/LandTutelaryGod)](/topic/Teoju) pancakes made with newly harvested wheat (mil) in the seventh lunar month; yuducheonsin, offering to ancestors new fruits and grains on [[Yudu](/topic/WaterFestivaloftheSixthLunarMonth)](/topic/Yudu), the fifteenth day of the sixth lunar month; aengducheonsin, offering new cherries (aengdu) of the season on [[Dano](/topic/FestivaloftheFifthoftheFifthMonth)](/topic/Dano), on the fifth day of the fifth lunar month; and cheongeocheonsin, offering to ancestors herring (cheongeo) caught in winter and spring.
지역사례충남 공주시 반포면 상신리에서는 ‘햇밥천신’이라고 하여 가을에 타작하면 처음 타작한 햅쌀로 밥을 지어 집안의 여러 신령을 위한다. [제일](/topic/제일)(祭日)은 타작을 하고 난 뒤 좋은 날을 골라서 아침이든 저녁이든 햇밥을 지었을 때 행한다. 아침에 행한다면 식전에 한다. 제물은 밥, 미역국, [호박](/topic/호박)나물만 마련한다. 청수는 올리지 않는다. 제물은 장광의 큰 [장독대](/topic/장독대) 뚜껑에 제물을 차린다. 절을 하거나 [비손](/topic/비손)은 하지 않고 잠시 두었다가 거두어 가족들이 나누어 먹는다. 천신을 하는 날에는 별도로 성주를 위하거나 친척을 불러 나누어 먹지 않는다.

충남 공주시 유구읍 백교1리 흰다리[마을](/topic/마을)에서도 이를 ‘햇밥천신([[올벼](/topic/올벼)천신](/topic/올벼천신))’이라고 하였다. 과거에는 쌀이 부족하여 벼가 채 익기도 전에 베어다가 밥을 지어 먹었다. 아직 여물지 않은 벼를 찧어 밥을 지으면 식구들이 먹기 이전에 먼저 집안 신령을 위한다. 벼는 식구들이 먹을 만큼만 베어온다. 벼는 아직 익지 않았기 때문에 [홀태](/topic/홀태)로 훑어서 [마당](/topic/마당)에 널어 말린다. 이것을 [절구](/topic/절구)에 넣고 찧어서 아침 일찍 밥을 한다. 밥은 [대주](/topic/대주) 밥그릇에 담아 호박나물, 청수와 함께 장광에 올린다. 이때 가장 큰 장독 위에 올린다. 대주가 집안의 어른이기 때문에 대주 밥그릇을 사용한다. 이렇게 하면 대주가 좋다고 한다. 대주가 좋으면 집안 식구 모두가 좋은 것이므로 반드시 대주 밥그릇에다 밥을 담아 올린다. 장광에 밥을 올린 후에는 성주에게도 별도로 한몫을 마련하여 올린다. 이때는 특별히 비손이나 절을 하지 않고 잠깐 올려두었다가 곧 거두어서 먹는다. 점심에 햇밥을 했다면 가까운 곳에 사는 친척을 불러 함께 나누어 먹기도 한다.

충남 금산군 부리면 어재리 압수마을에서는 ‘올개심이’라고 하여 첫 벼를 타작하면 날을 정해 그 햅쌀로 아침밥을 지어 조왕, 성주, 터주에게 각기 한 그릇씩 떠서 올린다. 이때 청수도 한 그릇씩 같이 올린다. 그러나 특별히 절을 하지 않는다. 올개심이를 한 밥은 식구끼리만 먹지 않고 가까운 곳에 사는 친지들을 불러 함께 먹는다.

충남 논산시 양촌면 양촌1리 탑안이마을에서는 처음 타작한 쌀을 ‘수티쌀’이라고 한다. 이 쌀로 밥을 지어 집안의 신령들에게 천신한다. 이를 ‘첫쌀밥’이라고 한다. 첫쌀밥(올개심이)은 추석 전에 한다. 벼를 [지게](/topic/지게)로 한 짐 정도 베어다가 [탈곡](/topic/탈곡) 하면 두 말 정도 된다. 이를 [멍석](/topic/멍석)에 널어 말린다. 밥은 식구들이 나누어 먹을 분량만큼만 한다. 수티쌀을 방앗간에서 찧었다고 해도 수티쌀로는 삯을 지불하지 않고 다음 타작 할 때 함께 계산한다. 수티쌀로 밥을 할 때에는 조기, 나물, 미역국, 포 등을 반찬으로 준비한다. 밥은 먼저 조상에게 올리고 이어 성주, 당산, 삼신에도 놓는다. 첫쌀밥을 해먹은 뒤에는 [안방](/topic/안방)에 걸린 [삼신짚](/topic/삼신짚)도 새것으로 갈아준다. 헌 삼신짚은 불에 태운다.

논산시 상월면 대명1리에서도 가을에 추수를 앞두고 품바심한 쌀로 밥을 지어 [가신](/topic/가신)(家神)을 위한다. 이를 ‘햇밥천신’이라고 한다. 보통 5~6단을 베어다가 나락홀태로 훑으면 쌀이 다섯 되 정도 나온다. 햇밥천신을 하는 시기는 [윤달](/topic/윤달)의 유무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윤달이 든 해는 평년에 비해 한 달가량 빠르기 때문에 음력 8월에 한다. 그러나 윤달이 들지 않으면 음력 9월에 한다. 제물이 마련되면 가장 먼저 안방의 조상께 고하고 이어 성주와 삼신을 위한다. [조상상](/topic/조상상)에는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를 위해 밥과 술은 각기 여섯 그릇을 올린다. 여기에 미역국, 청수, 조기 두세 마리를 추가한다. 햇밥천신을 할 때 김치는 올리지 않는다. 명절 때처럼 차례상을 차리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과일도 생략한다. 미역국은 고기를 넣어 끓여도 상관없다. 과거에는 어려운 시절이었기에 일반적으로 고기를 넣지 못하였다. 신심이 깊은 집에서는 조상상 앞에서 대주가 단잔(單盞) 단배(單拜)를 올리기도 한다. 성주에게는 밥과 청수만 올리고 특별히 그 앞에서 절을 하지 않는다. 그 후 당산[장광]으로 나가 장광 위나 그 앞에 짚을 열십자로 깔고 밥, 미역국, 청수를 올린다. 다음으로 주부가 그 앞에 나아가 한 해 농사를 무사히 마칠 수 있도록 해 주었음을 감사하며 비손한다. 당산까지 위하고 나서 밥, 미역국, 청수를 올리고 조왕을 위한다. 이렇게 하여 천신이 끝나면 햇밥을 거두어서 [박나물](/topic/박나물)과 같은 햇나물을 반찬 삼아 식구들이 나누어 먹는다. 밥이 남으면 이웃에게 나누어 줘도 상관이 없다. 최근에는 햇밥천신을 하는 집이 없어 시간이 흐르면서 점점 잊히고 있다.

충남 보령시 남포면 제석리 지석굴마을에서는 올벼로 처음 밥을 지으면 집안의 신령들에게 ‘햇벼천신’을 한다. 음력 8월 보름 안에 올벼를 추수하기 때문에 추석에 천신을 한다. 벼 5~6토메[단]를 베어다가 [수수](/topic/수수)깽이를 반으로 구부려서 이삭을 훑는다. 그 이삭을 절구로 찧어 말려서 밥을 짓는다. 올벼의 양이 적으면 집 안에 있는 쌀과 섞기도 한다. 천신할 때는 밥, 나물, 국, 청수 등을 제물로 준비한다. 예전에는 식량이 넉넉지 않아 밥은 한두 되만을 하느라 식구들이 먹기에도 부족하였다. 국은 당시에 즐겨 먹던 시래깃국으로 한다. 제물이 마련되면 조왕, 당산, 성주, 조상의 순으로 가져다 놓는다. 수저는 성주, 조왕, 당산에 올리지 않는다. 조상에게는 집에서 모시는 조상의 숫자만큼 놓는다. 이때 나머지 방과 집 안의 곳곳에도 제물을 조금씩 가져다 놓는다. [굴뚝](/topic/굴뚝)도 빠뜨리면 안 된다. 굴뚝에는 집 안에 불이 잘 들고 불도 나지 않기를 기원하는 마음에서 놓는다. 올벼가 넉넉지 않기 때문에 절식으로 만드는 송편은 올벼로 하지 않고 묵은쌀로 만든다. 때문에 송편은 천신에 사용하지 않고 차례에만 올린다. 이외에 ‘햇곡맞이’라고 하여 음력 10월이나 동짓달에 햇곡식과 초를 [가지](/topic/가지)고 무당이나 법사에게 가서 가족이 축원을 하기도 한다.

충남 보령시 웅천읍 노천리 가라티마을에서는 8월 보름날 아침에 풋바심한 찌갱이쌀로 밥을 지어 성주께 한 그릇 올리고 조상도 위한다. 차례를 지낼 때는 집집마다 사정이 다르다. 그러나 대체로 4대조까지 위하고 있어 이때도 밥 네 그릇을 마련해 올린다. 차례와 달리 특별히 제물을 많이 장만하지 않고 간단하게 무나물과 밥을 지어 올린다. 성주와 조상에게 올린 밥은 양이 많지 않아서 식구끼리 나누어 먹는다. 남으면 이웃에게 나누어 준다.

충남 부여군 내산면 지티2리 괴목정마을에서는 첫 곡식이 나면 그것으로 햅쌀밥을 지어 조상께 천신한다. 보통 8월 추석에 행하였다. 이때에는 벼가 아직 익지 않아 조금만 베어서 짓는다. 먼저 당산에 밥 세 그릇, 청수 한 단지, 국 한 그릇, 과일 약간을 올린다. 특별히 치성을 드리지는 않고 제물만 올린다. 그러고 나서 방 안의 성주와 조상에게 햅쌀밥을 마련하여 올린다. 이때도 특별한 비손을 하지 않고 그저 잠깐 두었다가 먹는다.

부여군 부여읍 저석3리 서원마을에서는 ‘오려천신’을 한다. 오려[이른 벼]는 보통 벼 보다 20일 정도 일찍 나오므로 오려를 첫 [수확](/topic/수확)한 날에 햅쌀로 천신을 한다. 오려로 송편을 빚거나 밥을 해서 성주, 당산, 샘, [대문](/topic/대문) 등에 한 그릇씩 가져다 둔다. 당산에는 [숙주나물](/topic/숙주나물), 호박나물, 물 등을 함께 놓고 방 안의 성주 앞에는 조기도 구워 올리는 등 푸짐하게 마련해 올린다. 천신할 때는 성주께 상을 먼저 올리고 이어 당산에 올린다. 오려가 추석 즈음에 나면 오려로 [추석차례](/topic/추석차례)를 지내기도 한다.

부여군 은산면 장벌리에서도 첫 농사를 짓고 쌀로 밥을 지어 집안의 신령들을 위한다. 이를 ‘올해천신’이라고 한다. 과거에는 먹을 것이 흔하지 않았다. 특히 [보리](/topic/보리)마저 떨어져 먹을 것이 없는 때에는 지내기가 힘들었다. 음력 8월 추석이 되면 벼가 완전히 여물지는 않았지만 홀태로 훑어서 밥을 해먹었다. 햅쌀을 수확한 셈이 되니 천신을 한다. 쌀이 덜 여물었기 때문에 타작한 뒤 햇볕에 말려서 솥에 쪄낸다. 이때는 특별히 별도의 제물을 마련하지 않고 제철 음식인 호박나물만을 볶아 놓는다. 먼저 밥 한 그릇, 물 한 동이, 나물 한 접시를 장광에 올린다. 제물은 장광에서 가장 큰 장독대를 깨끗하게 닦고 그 위에 진설한다. 그 후 안방의 성주께 제물을 가져다 놓는다. 안방의 [윗목](/topic/윗목)은 성주께로 불린다. 성주 앞에 상을 놓고 제물을 올리는데, 이곳에는 장광과 달리 대주 밥그릇을 제기(祭器)로 쓴다. 삼신께는 짚을 깔고 제물을 진설한다. 이때는 절은 하지 않으며 잠시 뒤에 제물을 내려서 식사하는 것으로 끝난다.

충남 아산시 신창면 황산2리 오산말에서는 바심[타작]을 해서 첫 벼가 나면 일 년 농사를 잘 짓도록 해 주어서 감사하다는 뜻에서 햇밥을 지어 집안의 신령을 위한다. 먼저 [[부뚜](/topic/부뚜)막](/topic/부뚜막) 위에 밥과 물을 한 그릇씩 올린다. 뒤란의 가장 큰 장독 위에도 동일하게 마련하여 올린다. 방안에는 쟁반이나 상에 밥과 물을 성주에게 가져다 놓는다. 성주에게 올린 물은 재수가 있으라고 가족들이 나누어 마신다. 뒤란에 올린 물은 장독대에 붓고 조왕에게 올린 물은 부뚜막에 붓는다. 농사를 짓지 않는 가정에서는 햇벼를 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른 방법을 쓰기도 한다. 벼가 익기 시작하면 메뚜기를 잡는다며 남의 논에 들어가서 여기저기 다니며 이삭을 한 바가지 훑어다가 말린 뒤 쪄서 밥을 짓는다. 특히 칠성과 산신에게 밥을 지어 올린다.

충남 예산군 삽교읍 효림리 방죽말에서도 햇곡식이 나면 우선 집안 조상들에게 천신 한 후에 밥을 해 먹는다. 햇곡으로 처음 밥을 짓게 되면 우선 장광과 성주 앞에 청수와 함께 메를 떠 놓는다. 수저는 놓지 않는다. 조왕에게는 따로 밥을 차리지 않는다. 밥을 하는 와중에 조왕님은 이미 밥 냄새를 맡았으니 굳이 다시 올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는 [고사](/topic/고사)가 아니므로 [황토](/topic/황토)를 펴거나 부정을 가리진 않는다. 잠시 메를 차려 놓은 후에 이를 내어서 식구끼리 저녁식사를 한다. 이때 성주 앞에 놓은 밥은 대체로 그 집 대주인 가장이 먹는다.

충남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병천6구 개목이마을에서는 추석 즈음이 되면 알곡이 난 첫 벼를 베어다 밥을 지어 성주, 터주, 조왕을 위하는데 이를 ‘올벼천신’이라고 한다. 아직 벼가 온전히 여물지 않아 물기를 머금고 있기 때문에 홀태로 훑어 멍석에 사나흘 동안 말린다. 이렇게 쌀을 마련하여 밥을 짓는다. 때때로 비가 와서 벼가 잘 마르지 않으면 볶아서 죽을 쑤기도 한다. 저녁밥을 지어 먹기 이전에 청수 한 그릇과 함께 성주, 터주, 조왕께 한 몫씩 가져다 놓는다. 밥만 올릴 뿐 그 앞에서 특별히 치성을 드리지는 않는다. 올벼천신한 밥은 양이 적기 때문에 이웃과 나누어 먹지 못하고 식구끼리 먹는다.

충남 청양군 정산면 내초리 안새울마을에서는 벼가 누렇게 익어 가면 집안의 신령께 한 해 농사를 잘 지었음을 고하기 위해 천신을 한다. 완전히 여물지 않은 벼를 미리 베어다가 홀태로 훑어 밥을 짓는다. 이를 ‘햇곡천신’이라고 하며, 추석날 먹을 것까지 미리 쌀 한 말 분량을 한꺼번에 베어 온다. 추석 전에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추석 때 차례로 지내기도 한다. 햇곡천신을 따로 할 경우에는 벼를 베어다가 추석 때 쓸 몫을 남겨 놓고 아침에 밥을 지어 당산, 성주, 집안의 수돗가[요왕] 등에 청수와 함께 가져다 놓는다. 추석날에 천신할 경우에는 햇곡으로 밥을 지어 방 안의 조상께 먼저 올리고 당산과 성주 등에 한 그릇씩 올린다. 햇곡천신을 했다며 식사를 대접하는 것이어서 예전에는 이웃과 매우 친밀하게 정을 쌓으며 지냈다고 한다. 청양군 남양면 흥산1구 새말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행한다. 첫벼 바심한 것으로 밥을 지어 당산, 성주, 조상에게 각기 밥 한 그릇과 청수를 올린다. 집의 가장 큰 어른이 당산이므로 먼저 당산에 올린다. 이때는 짚을 깔거나 절을 하지 않고 제물만 올린다. 밥은 식구끼리 나누어 먹고, 청수도 거두어 마신다. 이 물을 마시면 제사 지낸 물과 마찬가지로 무서움을 타지 않는다고 한다.

충남 태안군 고남면 고남리에서는 ‘조기천신(제숙 올리기)’을 한다. 조기는 4~5월에 주로 잡힌다. 그 해 처음 잡은 조기를 성주, 조상, 수부에 한 마리씩 꿰어 단다. 넉넉하게 잡히면 신령 당 세 마리를 짚에 꿰어서 바치기도 한다. 이때 신령들에게 올리는 조기를 ‘제숙’이라고 부른다. 이렇게 두었다가 음력 5월이 지나면 반찬으로 먹는다. 한 달 이상 꿰어 달아 놓기 때문에 바짝 말려진 조기가 된다.

태안군 이원면 당산리2구에서는 추석에 햅쌀로 메를 짓고 미역국을 끓여서 조상에게 햅쌀천신을 한다. 이때 성주를 비롯한 집안의 여러 신령도 함께 위한다. 집안 신령에게 올리는 제물은 조상 차례를 지내기 전에 모두 차려 놓는다. 성주가 있는 [대청](/topic/대청) 앞에는 조상 차례상과 마찬가지로 메, 미역, 국, 술, 조기, 탕을 모두 올린다. 수저 한 벌도 놓아서 성주님이 [흠향](/topic/흠향)하시도록 한다. 한편 조왕, 지신과 광에는 메를 한 그릇씩 올려 준다.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정산2리에서는 7월에 새로 밀을 수확하여 밀가루로 빻아오면 이것으로 부침개를 부쳐서 집에 모신 삼신과 터주에게 먼저 올린 후에 먹는다. 이를 ‘밀천신’이라고 한다. 이 외에도 새 곡식이 나면 먼저 올리고 나서 먹는다.

경기도 파주시 교하읍 송촌리 아랫말과 새터골에서는 [참외](/topic/참외)를 심어서 여름철 첫 수확을 하면 집으로 가져와서 먼저 집안 신령에게 고한다. 이를 ‘참외천신’이라고 한다.

참외로 유명한 경북 성주군 벽진면 수촌2리 석지마을의 한 가정에서도 참외농사를 지어서 그해 처음 참외를 수확하면 농사 지은 것의 첫 수확이라 하여 시준단지 앞에 천신한다.

고령군 덕곡면 후암리 지사마을에서는 설에 떡국을 끓이면 차례를 지내기 전에 먼저 성주에게 한 그릇 놓았다가 먹고 제사를 지낸다. 이를 ‘떡국천신’이라고 한다. 밥 제사를 지내는 가정에서는 조상에게도 떡국을 떠 놓지만 떡국으로 차례를 지내는 가정에서는 조상에게는 놓지 않고 성주에게만 차린다. 어느 한 가정에서는 집에 [조상단지](/topic/조상단지)를 모시고 설에 떡국차례를 지낸다. 새벽에 떡국을 끓이면 방안에 떡국 한 그릇, 술, [어리](/topic/어리)[한과]를 차려 놓는다. 이때 [마루](/topic/마루)에는 떡 국 한 그릇, 적, 갖가지 음식을 차린다.
참고문헌한국세시풍속[사전](/topic/사전)-여름 (국립민속박물관, 2005)
한국의 가정신앙-충남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한국세시풍속사전-겨울 (국립민속박물관, 2006)
한국의 가정신앙-강원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한국의 가정신앙-경북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한국의 가정신앙-전남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지역사례충남 공주시 반포면 상신리에서는 ‘햇밥천신’이라고 하여 가을에 타작하면 처음 타작한 햅쌀로 밥을 지어 집안의 여러 신령을 위한다. [제일](/topic/제일)(祭日)은 타작을 하고 난 뒤 좋은 날을 골라서 아침이든 저녁이든 햇밥을 지었을 때 행한다. 아침에 행한다면 식전에 한다. 제물은 밥, 미역국, [호박](/topic/호박)나물만 마련한다. 청수는 올리지 않는다. 제물은 장광의 큰 [장독대](/topic/장독대) 뚜껑에 제물을 차린다. 절을 하거나 [비손](/topic/비손)은 하지 않고 잠시 두었다가 거두어 가족들이 나누어 먹는다. 천신을 하는 날에는 별도로 성주를 위하거나 친척을 불러 나누어 먹지 않는다.

충남 공주시 유구읍 백교1리 흰다리[마을](/topic/마을)에서도 이를 ‘햇밥천신([[올벼](/topic/올벼)천신](/topic/올벼천신))’이라고 하였다. 과거에는 쌀이 부족하여 벼가 채 익기도 전에 베어다가 밥을 지어 먹었다. 아직 여물지 않은 벼를 찧어 밥을 지으면 식구들이 먹기 이전에 먼저 집안 신령을 위한다. 벼는 식구들이 먹을 만큼만 베어온다. 벼는 아직 익지 않았기 때문에 [홀태](/topic/홀태)로 훑어서 [마당](/topic/마당)에 널어 말린다. 이것을 [절구](/topic/절구)에 넣고 찧어서 아침 일찍 밥을 한다. 밥은 [대주](/topic/대주) 밥그릇에 담아 호박나물, 청수와 함께 장광에 올린다. 이때 가장 큰 장독 위에 올린다. 대주가 집안의 어른이기 때문에 대주 밥그릇을 사용한다. 이렇게 하면 대주가 좋다고 한다. 대주가 좋으면 집안 식구 모두가 좋은 것이므로 반드시 대주 밥그릇에다 밥을 담아 올린다. 장광에 밥을 올린 후에는 성주에게도 별도로 한몫을 마련하여 올린다. 이때는 특별히 비손이나 절을 하지 않고 잠깐 올려두었다가 곧 거두어서 먹는다. 점심에 햇밥을 했다면 가까운 곳에 사는 친척을 불러 함께 나누어 먹기도 한다.

충남 금산군 부리면 어재리 압수마을에서는 ‘올개심이’라고 하여 첫 벼를 타작하면 날을 정해 그 햅쌀로 아침밥을 지어 조왕, 성주, 터주에게 각기 한 그릇씩 떠서 올린다. 이때 청수도 한 그릇씩 같이 올린다. 그러나 특별히 절을 하지 않는다. 올개심이를 한 밥은 식구끼리만 먹지 않고 가까운 곳에 사는 친지들을 불러 함께 먹는다.

충남 논산시 양촌면 양촌1리 탑안이마을에서는 처음 타작한 쌀을 ‘수티쌀’이라고 한다. 이 쌀로 밥을 지어 집안의 신령들에게 천신한다. 이를 ‘첫쌀밥’이라고 한다. 첫쌀밥(올개심이)은 추석 전에 한다. 벼를 [지게](/topic/지게)로 한 짐 정도 베어다가 [탈곡](/topic/탈곡) 하면 두 말 정도 된다. 이를 [멍석](/topic/멍석)에 널어 말린다. 밥은 식구들이 나누어 먹을 분량만큼만 한다. 수티쌀을 방앗간에서 찧었다고 해도 수티쌀로는 삯을 지불하지 않고 다음 타작 할 때 함께 계산한다. 수티쌀로 밥을 할 때에는 조기, 나물, 미역국, 포 등을 반찬으로 준비한다. 밥은 먼저 조상에게 올리고 이어 성주, 당산, 삼신에도 놓는다. 첫쌀밥을 해먹은 뒤에는 [안방](/topic/안방)에 걸린 [삼신짚](/topic/삼신짚)도 새것으로 갈아준다. 헌 삼신짚은 불에 태운다.

논산시 상월면 대명1리에서도 가을에 추수를 앞두고 품바심한 쌀로 밥을 지어 [가신](/topic/가신)(家神)을 위한다. 이를 ‘햇밥천신’이라고 한다. 보통 5~6단을 베어다가 나락홀태로 훑으면 쌀이 다섯 되 정도 나온다. 햇밥천신을 하는 시기는 [윤달](/topic/윤달)의 유무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윤달이 든 해는 평년에 비해 한 달가량 빠르기 때문에 음력 8월에 한다. 그러나 윤달이 들지 않으면 음력 9월에 한다. 제물이 마련되면 가장 먼저 안방의 조상께 고하고 이어 성주와 삼신을 위한다. [조상상](/topic/조상상)에는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를 위해 밥과 술은 각기 여섯 그릇을 올린다. 여기에 미역국, 청수, 조기 두세 마리를 추가한다. 햇밥천신을 할 때 김치는 올리지 않는다. 명절 때처럼 차례상을 차리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과일도 생략한다. 미역국은 고기를 넣어 끓여도 상관없다. 과거에는 어려운 시절이었기에 일반적으로 고기를 넣지 못하였다. 신심이 깊은 집에서는 조상상 앞에서 대주가 단잔(單盞) 단배(單拜)를 올리기도 한다. 성주에게는 밥과 청수만 올리고 특별히 그 앞에서 절을 하지 않는다. 그 후 당산[장광]으로 나가 장광 위나 그 앞에 짚을 열십자로 깔고 밥, 미역국, 청수를 올린다. 다음으로 주부가 그 앞에 나아가 한 해 농사를 무사히 마칠 수 있도록 해 주었음을 감사하며 비손한다. 당산까지 위하고 나서 밥, 미역국, 청수를 올리고 조왕을 위한다. 이렇게 하여 천신이 끝나면 햇밥을 거두어서 [박나물](/topic/박나물)과 같은 햇나물을 반찬 삼아 식구들이 나누어 먹는다. 밥이 남으면 이웃에게 나누어 줘도 상관이 없다. 최근에는 햇밥천신을 하는 집이 없어 시간이 흐르면서 점점 잊히고 있다.

충남 보령시 남포면 제석리 지석굴마을에서는 올벼로 처음 밥을 지으면 집안의 신령들에게 ‘햇벼천신’을 한다. 음력 8월 보름 안에 올벼를 추수하기 때문에 추석에 천신을 한다. 벼 5~6토메[단]를 베어다가 [수수](/topic/수수)깽이를 반으로 구부려서 이삭을 훑는다. 그 이삭을 절구로 찧어 말려서 밥을 짓는다. 올벼의 양이 적으면 집 안에 있는 쌀과 섞기도 한다. 천신할 때는 밥, 나물, 국, 청수 등을 제물로 준비한다. 예전에는 식량이 넉넉지 않아 밥은 한두 되만을 하느라 식구들이 먹기에도 부족하였다. 국은 당시에 즐겨 먹던 시래깃국으로 한다. 제물이 마련되면 조왕, 당산, 성주, 조상의 순으로 가져다 놓는다. 수저는 성주, 조왕, 당산에 올리지 않는다. 조상에게는 집에서 모시는 조상의 숫자만큼 놓는다. 이때 나머지 방과 집 안의 곳곳에도 제물을 조금씩 가져다 놓는다. [굴뚝](/topic/굴뚝)도 빠뜨리면 안 된다. 굴뚝에는 집 안에 불이 잘 들고 불도 나지 않기를 기원하는 마음에서 놓는다. 올벼가 넉넉지 않기 때문에 절식으로 만드는 송편은 올벼로 하지 않고 묵은쌀로 만든다. 때문에 송편은 천신에 사용하지 않고 차례에만 올린다. 이외에 ‘햇곡맞이’라고 하여 음력 10월이나 동짓달에 햇곡식과 초를 [가지](/topic/가지)고 무당이나 법사에게 가서 가족이 축원을 하기도 한다.

충남 보령시 웅천읍 노천리 가라티마을에서는 8월 보름날 아침에 풋바심한 찌갱이쌀로 밥을 지어 성주께 한 그릇 올리고 조상도 위한다. 차례를 지낼 때는 집집마다 사정이 다르다. 그러나 대체로 4대조까지 위하고 있어 이때도 밥 네 그릇을 마련해 올린다. 차례와 달리 특별히 제물을 많이 장만하지 않고 간단하게 무나물과 밥을 지어 올린다. 성주와 조상에게 올린 밥은 양이 많지 않아서 식구끼리 나누어 먹는다. 남으면 이웃에게 나누어 준다.

충남 부여군 내산면 지티2리 괴목정마을에서는 첫 곡식이 나면 그것으로 햅쌀밥을 지어 조상께 천신한다. 보통 8월 추석에 행하였다. 이때에는 벼가 아직 익지 않아 조금만 베어서 짓는다. 먼저 당산에 밥 세 그릇, 청수 한 단지, 국 한 그릇, 과일 약간을 올린다. 특별히 치성을 드리지는 않고 제물만 올린다. 그러고 나서 방 안의 성주와 조상에게 햅쌀밥을 마련하여 올린다. 이때도 특별한 비손을 하지 않고 그저 잠깐 두었다가 먹는다.

부여군 부여읍 저석3리 서원마을에서는 ‘오려천신’을 한다. 오려[이른 벼]는 보통 벼 보다 20일 정도 일찍 나오므로 오려를 첫 [수확](/topic/수확)한 날에 햅쌀로 천신을 한다. 오려로 송편을 빚거나 밥을 해서 성주, 당산, 샘, [대문](/topic/대문) 등에 한 그릇씩 가져다 둔다. 당산에는 [숙주나물](/topic/숙주나물), 호박나물, 물 등을 함께 놓고 방 안의 성주 앞에는 조기도 구워 올리는 등 푸짐하게 마련해 올린다. 천신할 때는 성주께 상을 먼저 올리고 이어 당산에 올린다. 오려가 추석 즈음에 나면 오려로 [추석차례](/topic/추석차례)를 지내기도 한다.

부여군 은산면 장벌리에서도 첫 농사를 짓고 쌀로 밥을 지어 집안의 신령들을 위한다. 이를 ‘올해천신’이라고 한다. 과거에는 먹을 것이 흔하지 않았다. 특히 [보리](/topic/보리)마저 떨어져 먹을 것이 없는 때에는 지내기가 힘들었다. 음력 8월 추석이 되면 벼가 완전히 여물지는 않았지만 홀태로 훑어서 밥을 해먹었다. 햅쌀을 수확한 셈이 되니 천신을 한다. 쌀이 덜 여물었기 때문에 타작한 뒤 햇볕에 말려서 솥에 쪄낸다. 이때는 특별히 별도의 제물을 마련하지 않고 제철 음식인 호박나물만을 볶아 놓는다. 먼저 밥 한 그릇, 물 한 동이, 나물 한 접시를 장광에 올린다. 제물은 장광에서 가장 큰 장독대를 깨끗하게 닦고 그 위에 진설한다. 그 후 안방의 성주께 제물을 가져다 놓는다. 안방의 [윗목](/topic/윗목)은 성주께로 불린다. 성주 앞에 상을 놓고 제물을 올리는데, 이곳에는 장광과 달리 대주 밥그릇을 제기(祭器)로 쓴다. 삼신께는 짚을 깔고 제물을 진설한다. 이때는 절은 하지 않으며 잠시 뒤에 제물을 내려서 식사하는 것으로 끝난다.

충남 아산시 신창면 황산2리 오산말에서는 바심[타작]을 해서 첫 벼가 나면 일 년 농사를 잘 짓도록 해 주어서 감사하다는 뜻에서 햇밥을 지어 집안의 신령을 위한다. 먼저 [[부뚜](/topic/부뚜)막](/topic/부뚜막) 위에 밥과 물을 한 그릇씩 올린다. 뒤란의 가장 큰 장독 위에도 동일하게 마련하여 올린다. 방안에는 쟁반이나 상에 밥과 물을 성주에게 가져다 놓는다. 성주에게 올린 물은 재수가 있으라고 가족들이 나누어 마신다. 뒤란에 올린 물은 장독대에 붓고 조왕에게 올린 물은 부뚜막에 붓는다. 농사를 짓지 않는 가정에서는 햇벼를 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른 방법을 쓰기도 한다. 벼가 익기 시작하면 메뚜기를 잡는다며 남의 논에 들어가서 여기저기 다니며 이삭을 한 바가지 훑어다가 말린 뒤 쪄서 밥을 짓는다. 특히 칠성과 산신에게 밥을 지어 올린다.

충남 예산군 삽교읍 효림리 방죽말에서도 햇곡식이 나면 우선 집안 조상들에게 천신 한 후에 밥을 해 먹는다. 햇곡으로 처음 밥을 짓게 되면 우선 장광과 성주 앞에 청수와 함께 메를 떠 놓는다. 수저는 놓지 않는다. 조왕에게는 따로 밥을 차리지 않는다. 밥을 하는 와중에 조왕님은 이미 밥 냄새를 맡았으니 굳이 다시 올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는 [고사](/topic/고사)가 아니므로 [황토](/topic/황토)를 펴거나 부정을 가리진 않는다. 잠시 메를 차려 놓은 후에 이를 내어서 식구끼리 저녁식사를 한다. 이때 성주 앞에 놓은 밥은 대체로 그 집 대주인 가장이 먹는다.

충남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병천6구 개목이마을에서는 추석 즈음이 되면 알곡이 난 첫 벼를 베어다 밥을 지어 성주, 터주, 조왕을 위하는데 이를 ‘올벼천신’이라고 한다. 아직 벼가 온전히 여물지 않아 물기를 머금고 있기 때문에 홀태로 훑어 멍석에 사나흘 동안 말린다. 이렇게 쌀을 마련하여 밥을 짓는다. 때때로 비가 와서 벼가 잘 마르지 않으면 볶아서 죽을 쑤기도 한다. 저녁밥을 지어 먹기 이전에 청수 한 그릇과 함께 성주, 터주, 조왕께 한 몫씩 가져다 놓는다. 밥만 올릴 뿐 그 앞에서 특별히 치성을 드리지는 않는다. 올벼천신한 밥은 양이 적기 때문에 이웃과 나누어 먹지 못하고 식구끼리 먹는다.

충남 청양군 정산면 내초리 안새울마을에서는 벼가 누렇게 익어 가면 집안의 신령께 한 해 농사를 잘 지었음을 고하기 위해 천신을 한다. 완전히 여물지 않은 벼를 미리 베어다가 홀태로 훑어 밥을 짓는다. 이를 ‘햇곡천신’이라고 하며, 추석날 먹을 것까지 미리 쌀 한 말 분량을 한꺼번에 베어 온다. 추석 전에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추석 때 차례로 지내기도 한다. 햇곡천신을 따로 할 경우에는 벼를 베어다가 추석 때 쓸 몫을 남겨 놓고 아침에 밥을 지어 당산, 성주, 집안의 수돗가[요왕] 등에 청수와 함께 가져다 놓는다. 추석날에 천신할 경우에는 햇곡으로 밥을 지어 방 안의 조상께 먼저 올리고 당산과 성주 등에 한 그릇씩 올린다. 햇곡천신을 했다며 식사를 대접하는 것이어서 예전에는 이웃과 매우 친밀하게 정을 쌓으며 지냈다고 한다. 청양군 남양면 흥산1구 새말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행한다. 첫벼 바심한 것으로 밥을 지어 당산, 성주, 조상에게 각기 밥 한 그릇과 청수를 올린다. 집의 가장 큰 어른이 당산이므로 먼저 당산에 올린다. 이때는 짚을 깔거나 절을 하지 않고 제물만 올린다. 밥은 식구끼리 나누어 먹고, 청수도 거두어 마신다. 이 물을 마시면 제사 지낸 물과 마찬가지로 무서움을 타지 않는다고 한다.

충남 태안군 고남면 고남리에서는 ‘조기천신(제숙 올리기)’을 한다. 조기는 4~5월에 주로 잡힌다. 그 해 처음 잡은 조기를 성주, 조상, 수부에 한 마리씩 꿰어 단다. 넉넉하게 잡히면 신령 당 세 마리를 짚에 꿰어서 바치기도 한다. 이때 신령들에게 올리는 조기를 ‘제숙’이라고 부른다. 이렇게 두었다가 음력 5월이 지나면 반찬으로 먹는다. 한 달 이상 꿰어 달아 놓기 때문에 바짝 말려진 조기가 된다.

태안군 이원면 당산리2구에서는 추석에 햅쌀로 메를 짓고 미역국을 끓여서 조상에게 햅쌀천신을 한다. 이때 성주를 비롯한 집안의 여러 신령도 함께 위한다. 집안 신령에게 올리는 제물은 조상 차례를 지내기 전에 모두 차려 놓는다. 성주가 있는 [대청](/topic/대청) 앞에는 조상 차례상과 마찬가지로 메, 미역, 국, 술, 조기, 탕을 모두 올린다. 수저 한 벌도 놓아서 성주님이 [흠향](/topic/흠향)하시도록 한다. 한편 조왕, 지신과 광에는 메를 한 그릇씩 올려 준다.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정산2리에서는 7월에 새로 밀을 수확하여 밀가루로 빻아오면 이것으로 부침개를 부쳐서 집에 모신 삼신과 터주에게 먼저 올린 후에 먹는다. 이를 ‘밀천신’이라고 한다. 이 외에도 새 곡식이 나면 먼저 올리고 나서 먹는다.

경기도 파주시 교하읍 송촌리 아랫말과 새터골에서는 [참외](/topic/참외)를 심어서 여름철 첫 수확을 하면 집으로 가져와서 먼저 집안 신령에게 고한다. 이를 ‘참외천신’이라고 한다.

참외로 유명한 경북 성주군 벽진면 수촌2리 석지마을의 한 가정에서도 참외농사를 지어서 그해 처음 참외를 수확하면 농사 지은 것의 첫 수확이라 하여 시준단지 앞에 천신한다.

고령군 덕곡면 후암리 지사마을에서는 설에 떡국을 끓이면 차례를 지내기 전에 먼저 성주에게 한 그릇 놓았다가 먹고 제사를 지낸다. 이를 ‘떡국천신’이라고 한다. 밥 제사를 지내는 가정에서는 조상에게도 떡국을 떠 놓지만 떡국으로 차례를 지내는 가정에서는 조상에게는 놓지 않고 성주에게만 차린다. 어느 한 가정에서는 집에 [조상단지](/topic/조상단지)를 모시고 설에 떡국차례를 지낸다. 새벽에 떡국을 끓이면 방안에 떡국 한 그릇, 술, [어리](/topic/어리)[한과]를 차려 놓는다. 이때 [마루](/topic/마루)에는 떡 국 한 그릇, 적, 갖가지 음식을 차린다.
참고문헌한국세시풍속[사전](/topic/사전)-여름 (국립민속박물관, 2005)
한국의 가정신앙-충남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한국세시풍속사전-겨울 (국립민속박물관, 2006)
한국의 가정신앙-강원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한국의 가정신앙-경북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한국의 가정신앙-전남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Cheonsin es un término que significa literalmente “ofrecer algo nuevo” se refiere a un ritual que se efectúa para ofrecer a los dioses ancestrales y los del hogar los productos de la nueva cosecha.

El cheonsin es un ritual de acción de gracias en el que se ofrecen los granos cultivados de la primera cosecha del año, generalmente tiene lugar antes de los días feriados de Acción de Gracias llamados [[Chuseok](/topic/fiestadelacosecha)](/topic/Chuseok), pero a veces, se celebra como parte de las festividades de Chseok. El ritual se realiza en la terraza donde se guardan vasijas de barro para salsas o en los distintos rincones de la casa donde residen los dioses del hogar como el gosa que se refiere al ritual de los dioses del hogar. La comida sacrificial comprende vegetales cocidos, un cuenco del agua fresca o un bol de arroz cultivado durante la nueva cosecha, con el acompañamiento de pequeños platos adicionales. El ritual llamado olbyeosheonsin hace referencia a un ritual en el que se utilizan tallos de arroz que hayan sido cosechados antes de alcanzar la plena madurez como ofrenda sacrificial. En este caso, el término olbyeo significa “arroz de cosecha temprana”. Además, existen muchos tipos del cheonsin incluyendo los cuatro rituales siguientes. Primero, el micheonsin es un ritual para ofrecer panqueques hechos con harina de trigo cultivado en el séptimo mes del calendario lunar a la diosa del parto, [[Samsin](/topic/Diosdelhogar)](/topic/Samsin) y el dios tutelar de la tierra, [[Teoju](/topic/DiosTutelardelaTierra)](/topic/Teoju). Asimismo, el yuducheonsin se refiere a un ritual para ofrendar nuevas frutas o granos a los ancestros en el día de [[Yudu](/topic/lafestividaddelagua)](/topic/Yudu), el 15 de junio del calendario lunar. El aengducheonsin tiene lugar en el día de [[Dano](/topic/festividaddelquintodíadelquintomeslunar)](/topic/Dano), el 15 de mayo del calendario lunar para ofrecer cerezas de nueva cosecha que se llaman aengdu a los espíritus ancestrales. Por último, el cheongeocheonsin se efectúa para ofrendar arenques capturados durante la temporada de invierno - primavera a las deidades ancestrales.
人们在第一轮秋收结束后向[祖先](/topic/祖先)和家中各神供奉新收粮食的仪式。

“荐新”含有秋收感恩祭的意义,人们用秋季首轮打场得到的新米做饭,供奉家中众神。一般都在中秋前进行荐新,也有在中秋时作为祭祀来进行。有时在酱缸台上举行,有时则像家里[告祀](/topic/告祀)一样,供奉家中每个角落的神灵。祭品既可以简化,只上供素菜或清水,也可以摆上新米做的饭和小菜。在稻子未熟时将其砍回上供给神灵的仪式叫“早稻荐新”。此外,用七月收获的新麦做成煎饼供奉给[三神](/topic/三神)和[宅基神](/topic/宅基神)的祭仪叫“麦子荐新”;阴历六月十五将新收的水果和几种谷食,以及其他饮食一起供奉给祖先,这种祭仪叫“[流头荐新](/topic/流头荐新)”;阴历五月[端午](/topic/端午)节时将新收获的樱桃作为祭品供奉的祭仪叫“樱桃荐新”;冬季和春季把新抓的青鱼供奉给祖先的祭仪叫“青鱼荐新”。
Cheonsin es un término que significa literalmente “ofrecer algo nuevo” se refiere a un ritual que se efectúa para ofrecer a los dioses ancestrales y los del hogar los productos de la nueva cosecha.

El cheonsin es un ritual de acción de gracias en el que se ofrecen los granos cultivados de la primera cosecha del año, generalmente tiene lugar antes de los días feriados de Acción de Gracias llamados [[Chuseok](/topic/fiestadelacosecha)](/topic/Chuseok), pero a veces, se celebra como parte de las festividades de Chseok. El ritual se realiza en la terraza donde se guardan vasijas de barro para salsas o en los distintos rincones de la casa donde residen los dioses del hogar como el gosa que se refiere al ritual de los dioses del hogar. La comida sacrificial comprende vegetales cocidos, un cuenco del agua fresca o un bol de arroz cultivado durante la nueva cosecha, con el acompañamiento de pequeños platos adicionales. El ritual llamado olbyeosheonsin hace referencia a un ritual en el que se utilizan tallos de arroz que hayan sido cosechados antes de alcanzar la plena madurez como ofrenda sacrificial. En este caso, el término olbyeo significa “arroz de cosecha temprana”. Además, existen muchos tipos del cheonsin incluyendo los cuatro rituales siguientes. Primero, el micheonsin es un ritual para ofrecer panqueques hechos con harina de trigo cultivado en el séptimo mes del calendario lunar a la diosa del parto, [[Samsin](/topic/Diosdelhogar)](/topic/Samsin) y el dios tutelar de la tierra, [[Teoju](/topic/DiosTutelardelaTierra)](/topic/Teoju). Asimismo, el yuducheonsin se refiere a un ritual para ofrendar nuevas frutas o granos a los ancestros en el día de [[Yudu](/topic/lafestividaddelagua)](/topic/Yudu), el 15 de junio del calendario lunar. El aengducheonsin tiene lugar en el día de [[Dano](/topic/festividaddelquintodíadelquintomeslunar)](/topic/Dano), el 15 de mayo del calendario lunar para ofrecer cerezas de nueva cosecha que se llaman aengdu a los espíritus ancestrales. Por último, el cheongeocheonsin se efectúa para ofrendar arenques capturados durante la temporada de invierno - primavera a las deidades ancestrales.
人们在第一轮秋收结束后向[祖先](/topic/祖先)和家中各神供奉新收粮食的仪式。

“荐新”含有秋收感恩祭的意义,人们用秋季首轮打场得到的新米做饭,供奉家中众神。一般都在中秋前进行荐新,也有在中秋时作为祭祀来进行。有时在酱缸台上举行,有时则像家里[告祀](/topic/告祀)一样,供奉家中每个角落的神灵。祭品既可以简化,只上供素菜或清水,也可以摆上新米做的饭和小菜。在稻子未熟时将其砍回上供给神灵的仪式叫“早稻荐新”。此外,用七月收获的新麦做成煎饼供奉给[三神](/topic/三神)和[宅基神](/topic/宅基神)的祭仪叫“麦子荐新”;阴历六月十五将新收的水果和几种谷食,以及其他饮食一起供奉给祖先,这种祭仪叫“[流头荐新](/topic/流头荐新)”;阴历五月[端午](/topic/端午)节时将新收获的樱桃作为祭品供奉的祭仪叫“樱桃荐新”;冬季和春季把新抓的青鱼供奉给祖先的祭仪叫“青鱼荐新”。
Cheonsin, a term that literally means, “offering the new, ” refers to a ritual held to offer the season’s new harvest to ancestors and household gods

The rite is a thanksgiving ritual that involves the offering of the fall season’s first harvested grains to the many household gods, generally taking place before the thanksgiving holiday [[Chuseok](/topic/HarvestFestival)](/topic/Chuseok) or sometimes as part of the Chuseok festivities. The ritual takes place out on the sauce jar terrace in the backyard, or in various corners of the house where household gods reside, as in a household gods ritual (gosa). Sacrificial foods comprise a simple offering of cooked vegetables and clear water, or a bowl of newly harvested rice with some accompanying side dishes. Rituals that offer rice stalks harvested before they have fully grown are called olbyeocheonsin, olbyeo meaning, “early harvest rice.” Other cheonsin rituals include milcheonsin, which offers to [[Samsin](/topic/HouseholdDeities)](/topic/Samsin) the goddess of childbearing and the land tutelary god [[Teoju](/topic/LandTutelaryGod)](/topic/Teoju) pancakes made with newly harvested wheat (mil) in the seventh lunar month; yuducheonsin, offering to ancestors new fruits and grains on [[Yudu](/topic/WaterFestivaloftheSixthLunarMonth)](/topic/Yudu), the fifteenth day of the sixth lunar month; aengducheonsin, offering new cherries (aengdu) of the season on [[Dano](/topic/FestivaloftheFifthoftheFifthMonth)](/topic/Dano), on the fifth day of the fifth lunar month; and cheongeocheonsin, offering to ancestors herring (cheongeo) caught in winter and spring.
국립문화재연구소서울새남굿1998
서울대학교출판부한국의 샤머니즘조흥윤1999
한국샤머니즘학회서울 새남굿의 굿상차림심우성1999
국립문화재연구소굿과 음식 12005
민속원서울굿의 이해한국무속학회2007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