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맞이굿

한국무속신앙사전
씻김굿 중 수사자(水死者) 이외의 객사한 혼을 집안으로 모셔 오기 위해 길거리에서 혼을 불러 맞이하는 굿.
definition
씻김굿 중 수사자(水死者) 이외의 객사한 혼을 집안으로 모셔 오기 위해 길거리에서 혼을 불러 맞이하는 굿.
mp3Cnt
0
wkorname
이명진
정의씻김굿 중 수사자(水死者) 이외의 객사한 혼을 집안으로 모셔 오기 위해 길거리에서 혼을 불러 맞이하는 굿.
내용혼맞이굿은 객사한 혼의 원한을 풀어서 극락왕생시키고자 하는 마음에서 행한다. 객사한 망자를 씻길 때 안당 후 혼을 맞아오는데 집이 없는 망자의 경우 혼을 맞이한 장소에서 바로 씻김까지 행한다. 이때 가까운 장소에서 죽은 경우가 아니고서는 보통 [마을](/topic/마을) 입구의 대로에서 망자가 죽은 방향을 보고 굿을 한다.

혼맞이굿은 [대잡이](/topic/대잡이)를 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는 경우로 나뉜다. 그중 대잡이를 하는 것이 오래된 혼맞이굿의 형태라고 볼 수 있다. 대잡이를 할 때는 [망자상](/topic/망자상) 1개, 산신상 1개, [사자상](/topic/사자상) 3개 등 5개의 상을 차린다. 이때 사용하는 대는 장대(長竹)이며, 중간 즈음에 흰 천(가제 천) 한 필과 지전을 길게 늘여 묶는다. 대는 장대를 세울 수 있을 만큼의 쌀을 담은 그릇(대야)에 꽂는다. 대를 잡는 사람은 특별히 넋이 잘 내리는 사람이거나 가족 중에서도 감흥이 있는 사람이다. 대를 잡을 때는 망자가 대잡이에게 내려 자신의 말을 전한다. 대잡이에게 망자가 씌기 때문에 대잡이가 몸살을 앓고 거의 실신하는 지경에 이를 수도 있다. 이렇게 넋을 불러 맞이하는 것은 한 번에 되기도 하지만 오래 걸리기도 한다. 넋이 잘 안 내릴 때는 주위의 사람들이 모두 돌아가면서 대를 잡는 경우도 있다. 대에 넋이 내리면 대 끝이 흔들린다.

대를 잡지 않고 혼맞이를 하는 것은 채정례(진도 당골) 등에 의해 시도되었고, 현재는 많은 무속인이 행하고 있다. 이 경우 망자와 가까운 친척이나 망자가 평소 좋아했던 사람만 데리고 가며, 상도 차리지 않고 망자의 넋과 신칼만을 준비한다. 무속인은 먼저 함께 데리고 간 사람을 대로에 앉히고, 망자의 넋을 앉은 사람의 머리 위에 놓고 신칼의 술을 한바퀴 돌리면서 “왕생극락시키자고 하오니 빨리 오십시오”하면서 망자를 부른다. 망자가 오면 술에 넋이 달라붙는다. 붙은 넋은 앉은 사람으로 하여금 두 손으로 받게 한다. 넋은 집으로 모셔 오며, 망자상 뒤 [병풍](/topic/병풍)에 붙인다.
참고문헌진도무속현지조사 (국립민속박물관, 1987)
한국의 굿 (하효길 외, 도서출판 民俗苑, 2002)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도 편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