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도 독경무복

한국무속신앙사전
충청 지역 앉은굿인 독경에서 [법사](/topic/법사)가 굿을 할 때 입는 옷. 법사는 [무복](/topic/무복)으로 [한복](/topic/한복)[저고리](/topic/저고리)와 [바지](/topic/바지)를 입고 그 위에 포(袍)를 걸친다. 머리에는 갓이나 [한지](/topic/한지)로 접은 [고깔](/topic/고깔)을 쓴다.
definition
충청 지역 앉은굿인 독경에서 [법사](/topic/법사)가 굿을 할 때 입는 옷. 법사는 [무복](/topic/무복)으로 [한복](/topic/한복)[저고리](/topic/저고리)와 [바지](/topic/바지)를 입고 그 위에 포(袍)를 걸친다. 머리에는 갓이나 [한지](/topic/한지)로 접은 [고깔](/topic/고깔)을 쓴다.
mp3Cnt
0
wkorname
김은정
정의충청 지역 앉은굿인 독경에서 [법사](/topic/법사)가 굿을 할 때 입는 옷. 법사는 [무복](/topic/무복)으로 [한복](/topic/한복)[저고리](/topic/저고리)와 [바지](/topic/바지)를 입고 그 위에 포(袍)를 걸친다. 머리에는 갓이나 [한지](/topic/한지)로 접은 [고깔](/topic/고깔)을 쓴다.
내용충청도 굿은 일명 양반굿이라고도 한다. 이는 한문어투의 설경을 선호한 양반층의 특권의식에 호응하여 엄숙한 형태로 진행하면서 [법사](/topic/법사)가 갓과 [두루마기](/topic/두루마기)를 걸친 양반의 복식차림을 구축한 데서 유래된 명칭이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서 보면 도복을 갖추고 도인의 말투는 아니지만 독경을 통해 병을 다스렸다는 기록이 있다. 여기서 도복은 이규경의 화한삼재도회(和漢三才圖會)에 의하면 승려의 단의이다. 직철(直裰)은 중국에서 승도들이 착용하는 표의(表衣)로, 우리나라 [도포](/topic/도포)(道袍)와 같다. 우리나라에서 승(僧)이 상시 입는 옷을 [장삼](/topic/장삼)(長衫)이라고 불렀으며 장삼의 모양이 도포와 비슷해 당시 도복이 도포임을 말하고 있다. 이러한 도포는 현재도 의례복으로 착용되기도 하지만 조선 말기에는 신분과 관계없이 의례복으로 두루마기가 착용되면서 당 시대의 법사도 독경을 할 때는 두루마기에 갓이나 [고깔](/topic/고깔)을 썼을 것으로 추측된다.

굿과 [꽹과리](/topic/꽹과리)를 두드리며 앉아서 독경을 구송하는 법사가 착용하는 [무복](/topic/무복)은 신이 내리지 않는 상황에서 자신들이 입는 옷이어서 평복이라고 부른다. 충남 지역에서 독경을 할 때는 평복을 입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평복을 착용한다는 것은 강신무의 의례가 아님을 의미한다. 굿의 주재자는 초대되는 굿거리 주신을 상징하는 특정한 무복을 착용했을 때 특정 신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충청도에서 법사가 평복을 착용한다는 것은 신이 내리는 것과 무관한 의례복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머리에 쓰는 갓은 양반굿의 잔재로 볼 수 있으며, 고깔을 쓰는 것은 도복이 불교의 직철인 도포에서 연유되었고 승을 상징하는 고깔은 여전히 잔존해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충청도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독경은 대부분 법사가 단독으로 의례를 주도하지 않고 보살이 함께 주관하거나 강신보살들이 세력을 장악하고 있다. 이에 선굿을 하는 강신보살의 영향으로 세습무권에 속하는 충청도 독경은 과거 전통적인 무복에 비해 복식의 종류가 다양해졌다.

무복의 종류만으로도 지역성을 알 수 있다. 전통적으로 세습무가 활동하는 충청, 호남, 제주도 지역의 굿을 행하는 주재자가 착용하는 무복의 종류가 다양하지 않다. 법사가 무복으로 착용하는 복식은 남자 [한복](/topic/한복), 두루마기, 고깔이나 갓이다. 법사가 굿에서 착용하는 두루마기는 상하의가 연결됐으며 옆이 트여 있지 않고 무가 붙여있는 포(袍)이다. 이러한 두루마기는 조선 말기에 착용한 복식으로, 특정한 신분만이 착용하는 의례복이 아니고 일반 평민도 착용한 복식이다. 법사가 도복 대신 두루마기를 착용하는 것은 신령에 대한 신격을 나타내기보다 당대에 의례복으로 착용한 복식이어서 의례를 위해 복식으로 갓과 두루마기를 착용한 것이라 본다.

현재 충청도 독경은 앉은굿만 하는 경우 법사가 전통적인 남자 한복[바지](/topic/바지)와 [저고리](/topic/저고리)에 포를 착용하지 않고 머리에 백색 종이고깔만을 쓰거나 한복을 입기 편하게 변형한 [생활한복](/topic/생활한복)만을 착용하고 머리에 백색 종이고깔을 쓴다. 선굿과 앉은굿을 하는 경우는 무복을 선굿용과 [봉안](/topic/봉안)해 두는 장엄용으로 분류한다. 앉은굿에서는 무복을 따로 입지 않고 [평상](/topic/평상)복을 입거나 생활한복을 입는 정도이며, 갖춰 입을 때는 두루마기를 입기도 한다. 그리고 머리에는 종이고깔을 쓴다. 선굿을 할 때는 섭수저고리, [쾌자](/topic/쾌자), 불사옷, 도사할아버지옷, 천고깔, 종이고깔을 착용한다. 섭수저고리는 전통복인 [동다리](/topic/동다리)로, 남색의 길에 소매는 홍색으로 되어 있다. 이 위에 남색 쾌자를 착용한다. 할머니옷 이라고도 하는 불사옷은 전통복인 장삼 형태로된 상의하상인 직철 형태이며 백색이다. 도사할아버지옷은 전통복인 두루마기로 상하의가 연결됐으며 옆이 트여 있지 않고 무가 붙어있는 분홍색이다. 머리에 쓰는 고깔은 호남굿에서와 마찬[가지](/topic/가지)로 천으로 된 고깔과 종이고깔이 공존한다. 종이고깔은 한번 [한지](/topic/한지)로 접어 만들어지면, 낡을 때까지 의례에서 계속 사용하기도 한다. 법사에 따라서는 고깔도 의관이라 굿을 할 때마다 한지로 새로 접기도 한다. 천고깔은 예전에는 사용하지 않았으나 강신 체험한 보살들이 선굿을 할 때 사용되고 있다. 현재 충청도 독경은 법사의 활동이 활발하지 못하고 강신체험한 보살들이 굿에 참여하면서 강신무복을 착용하기도 한다. 법사가 무복으로 착용되는 복식은 예전에 비해 종류나 형태가 다양해지고 있지만, 강신을 통한 의례가 아닌 전통적인 지역의 굿을 할 때는 다양한 무복을 착용하기보다는 과거의 전통성이 있기 때문에 아직까지도 지역성이 지켜지고 있다.
참고문헌한국 종교복식 (임영자, 아세아문화사, 1990)
한국의 굿 (하효길외, 민속원, 2002)
충청도 설경(說經)연구 (안상경, 한국무속학회, 2002)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무속의 물질문화연구 (최진아,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9)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