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물이굿

한국무속신앙사전
황해도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독자적인 굿 가운데 하나로, 일종의 재수굿 성격을 띠고 있는 굿. 철물이굿은 우환이 없는 집에서 하는 경사굿으로서 새로 집을 짓거나, 신에게 감사의 뜻을 표하거나, 자손의 창성을 빌기 위하여 연행하는 굿이다. 이 굿은 절기상으로 동짓달과 섣달은 피하고 10월 상달이나 정월에 한다.
definition
황해도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독자적인 굿 가운데 하나로, 일종의 재수굿 성격을 띠고 있는 굿. 철물이굿은 우환이 없는 집에서 하는 경사굿으로서 새로 집을 짓거나, 신에게 감사의 뜻을 표하거나, 자손의 창성을 빌기 위하여 연행하는 굿이다. 이 굿은 절기상으로 동짓달과 섣달은 피하고 10월 상달이나 정월에 한다.
mp3Cnt
0
wkorname
김은희
정의황해도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독자적인 굿 가운데 하나로, 일종의 재수굿 성격을 띠고 있는 굿. 철물이굿은 우환이 없는 집에서 하는 경사굿으로서 새로 집을 짓거나, 신에게 감사의 뜻을 표하거나, 자손의 창성을 빌기 위하여 연행하는 굿이다. 이 굿은 절기상으로 동짓달과 섣달은 피하고 10월 상달이나 정월에 한다.
내용철물이굿의 용례는 황해도 전통에서 비롯된 어원에 근거한다. 철물은 철을 따라 사람들이 [무리](/topic/무리)를 지어 온다는 뜻에서 비롯된다. 가령 특정한 장소에 가면 많은 사람이 거푸 많이 모이게 되는데, 이것을 흔히 황해도 사투리로 ‘인무리’라고 한다. 황해도 연백·옹진·해주 등지에서는 철물이굿이 인무리 잔치처럼 베풀어지는 행사이므로 많은 사람이 구경을 오고 밀물처럼 밀려오는 현상을 지칭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철물이굿의 과정은 여느 굿과 모두 일치하지만 집안에서 경사스럽게 준비하는 굿이므로 정성을 동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피륙과 제물의 준비가 거창하므로 이에 대한 엄격한 준비 사항이 있게 마련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천과 음식, 기타 기명을 장식하는 전통이 아주 짜임새 있게 진행되는 굿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굿을 준비하는 집안에서는 철물이굿을 3년에 한 번 하기 때문에 가을에 농사 지은 상곡식과 최상품의 [목화](/topic/목화)송이를 따서 [무명](/topic/무명)을 나르고 이를 근거로 ‘핫옷’의 기반이 되는 여러 [가지](/topic/가지) 천을 준비한다. 가령 다래천, 감흥천, 수래천, 조상천으로 다리를 놓아 짜서 신에게 정성스럽게 바친다. 이러한 천을 짤 때는 반드시 다리를 놓아 짠다. 이는 신들을 잘 맞이하기 위함을 의미한다. 이때 무명천은 촘촘히 짜지 않고 듬성듬성 성글게 짜는데, 예전에는 37자를 짜서 바쳤다고 한다. 굿하는 집안의 외형을 장식하고 신이 선명한 자국을 보고 오라고 하듯이 천들은 매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굿거리의 순서는 일정하게 정해져 있다. 이 굿의 순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신청울림](/topic/신청울림), 일월성신맞이, 칠성맞이, 세인굿, 상산부군맞이, 초부정초감흥굿, 복잔내림, [영정](/topic/영정)물림, 제석굿, 소놀음굿, [성주굿](/topic/성주굿), 소대감놀이, 도산말명[방아](/topic/방아)찜굿, [사냥굿](/topic/사냥굿), 성수거리, 별상거리, 타살군웅굿(생타살굿, 익은 타살굿), 먼산[장군](/topic/장군)거리, [대감놀이](/topic/대감놀이), 서낭굿, 조상굿, 걸립대감놀이, 비수거리([작두](/topic/작두)거리), [[마당](/topic/마당)굿](/topic/마당굿)(사신굿) 등이 일반적인 굿의 절차이다.

철물이굿은 엄격한 틀이 있으며, 이 틀은 황해도 굿의 일반적인 구조와 직결된다. 공간적으로 높은 신격은 천상에 있으므로 이 신들을 청하는 절차가 있고, 다음으로 공간적으로 가까운 지역의 신을 초청한다. 부정을 물린 뒤에 인간의 수명을 관장하는 신격을 모시고 난 다음에 제석굿과 연관된 소놀음굿을 하게 된다.

소찬으로 받는 신을 모두 놀린 뒤에 제숙을 준비하면서 도산말명방아찜을 한다. 나머지 인격신을 모두 모셔서 인간의 원한과 부귀를 행하는 신격을 위한다. 조상굿을 하고 마당굿 등을 하면서 굿을 마치는 것이 특징적인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서 철물이굿은 황해도굿의 일반성을 따르면서도 철물이굿의 독자적인 몇 가지 특징을 확인하게 된다.

굿의 순서는 여느 굿에 비해 아주 특별한 것은 없지만 안반[고사](/topic/고사)에서부터 정해진 황해도 굿의 일반적인 절차를 그대로 따른다. 안반고사는 굿하는 집의 정성을 선명하게 확인하는 절차이다. 안반고사는 굿하는 집안의 여러 가지 떡을 점검하는 절차를 일컫는다. 이 절차에서 [비손](/topic/비손)을 하면서 굿이 잘되기를 비는 정성이 긴요한 구실을 한다. 떡과 [조라술](/topic/조라술)을 준비하는 것이 핵심으로, 전물을 모두 안반 위에 올려놓고 하는 데서 유래된 개념이다.

가장 특별한 굿거리는 일월성신맞이·칠성맞이·세인굿 등 천신맞이 굿거리가 세분화되어 있는 점과 집안에서 가장 소중하게 생각하는 으뜸 재산인 소를 위하는 놀이굿이라고 할 수 있다. 일월맞이~세인굿에 이르는 굿거리들은 하늘의 해·달·별 등 하늘의 신을 맞이하여 명과 복을 기원하는 것으로, 특히 엄중하게 부정한 것을 꺼리는 굿거리들로 인식되어 외부인들의 출입을 금하고 가족끼리만 모여 있는 밤늦은 시각부터 새벽 사이에 굿거리를 행한다. 일월성신맞이는 앞마당에서 소나무 상가지로 만든 일월대와 제물을 올린 일월상을 준비해 일월꽃은 등에 꽂고 일월대에는 일월성신을 맞아 모든 좋은 운수가 솟아오르고 자손들이 무탈하기를 기원한다. 칠성맞이굿과 세인굿은 배타적인 굿거리이다. 칠성맞이는 자손 중 아들이 있는 집안에서 하는 굿이며, 세인굿은 아들자손이 없는 집안에서 하는 굿이다. 칠성맞이는 조상칠성·공중칠성·세인할마이·미륵칠성·석함칠성·산천칠성을 맞이하는 굿이다. 특히 칠성맞이는 자손들이 건강하기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안뜰 장독 옆에서 행하는데 제물로 칠성시루에 제미쌀을 준비하고, [대주](/topic/대주)의 장수를 기원하는 숟가락에 고갈을 씌워서 명실을 걸어놓고, 목화솜으로 [새발심지](/topic/새발심지)를 만들어서 준비하는 특징이 있다. 세인굿은 칠성맞이와 달리 안뜰이 아니라 [안방](/topic/안방)에서 굿을 하며, 특별히 삼신제왕을 위한 노구메를 정성스럽게 준비하여 자손을 기원하는 특징이 있다.

이들 굿거리와 함께 철무리굿의 특징인 소놀음굿은 각별한 놀이를 하는 굿거리로, 우마숭배의 역사를 담은 전통적인 의례 절차임을 알 수가 있다. 굿을 통해 경사를 일구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절차들이 이 굿거리 과정에 담겨 있다. 소놀음굿은 제석굿을 마친 후에 이어서 하는 놀이굿으로서 소가 건강하고 풍년이 들기를 기원하며, 특히 황해도의 내륙지역에서 성행한 [굿놀이](/topic/굿놀이)이다. 소놀음굿은 하늘 제석님이 서천서역국에서 굿을 하는 집안에 복과 재물을 가득 소 등에 실어 보내셨다는 것을 만신과 마무의 [재담](/topic/재담)으로 길게 이어가면서 여러 타령과 춤 등을 섞어가며 흥겨운 판을 만든다.

제석굿과 소놀음굿의 구조적 관련성에 대한 논의는 상세하게 다루어야 할 핵심적인 과제이지만 여기에서는 인간의 수명과 소의 기원을 담고 있는 점에서 이 굿은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제석굿 뒤에 소놀음굿을 하면서 인간의 수명과 소의 생산 증식을 핵심적인 내용으로 한다. 소놀음굿은 서두, 중간, 결말의 유기적 구성을 갖추고 있다. 이 굿거리의 주된 내용은 마부와 만신의 말로 겨루기가 서두에 진행되다가 중간에서 소가 분명히 제 구실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는 소에게 축원하고 대접을 한다. 결말 부분에서는 대주가 나서서 풍농을 기원하면 뒤를 이어 마부가 나서서 잦은난봉가, [산염불](/topic/산염불), 잦은염불 등을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내용 자체가 짧은 데도 불구하고 극적 압축력이 매우 높은 굿거리임을 알 수 있다.

소놀음굿은 철저하게 신인합일적(神人合一的) 세계관에 [기초](/topic/기초)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만신과 마부, 사람과 신, 사람과 [동물](/topic/동물) 등이 균등하게 화합하는 것이 곧 소놀음굿의 원칙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무속적 사유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소가 [가축](/topic/가축)이면서 숭배의 대상이 된다든지 신이 신성한 존재이면서 인간의 뒤치다꺼리를 한다는 설정은 신인합일의 사고방식과 일치하는 면모이다.

황해도굿의 일반적인 절차는 일정한 굿법에 의존하고 있으며, 맞이·놀이 등이 적절하게 안배되면서 인간이 이룰 수 있는 굿의 범형을 완전하게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주목된다. 특히 본풀이가 드문 대신에 맞이와 놀이의 완전한 조화를 보여주고 있는 점도 이 굿의 구경거리로서의 의의를 선명하게 드러내는 것으로 된다. 굿거리마다 일정하게 반복하는 흘림공수를 보면 이 굿의 근본적인 도달점이 어디에 있는지 알아차릴 수 있다.

가령 공수의 한 대목을 보면 “가을이면 상곡에 끝을 잡아 신곡맞이로 해로도 별르고 철로도 별르고 노인은 갱소년시키고 젊은 사람은 건강하고 재수 달라고 신령님 원력을 달라고 철물이를 대령이느냐 철물이를 받는 우리 신령님 모두가 십 년이 무연고하게 받들고 삼십 년 대통운 열어 준댄다라.”라고 하는 것이 이 굿의 기본적인 목표를 보여주는 것이다.

철물이굿은 [마을](/topic/마을) 단위로 하는 대동굿을 하는 마을에서 대동굿이 끝난 뒤에 하는 것이 예사이다. 달리 정월 보름이 지나서 하고 대개 3년마다 한 번 행한다. 철물이굿과 대동굿은 상호 배타적이면서도 마을굿과 집굿의 보완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는 굿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철물이굿과 대동굿은 집안 잔치이자 동네 잔치였던 전통 속에서 생성된 것으로, 서로 깊은 관련을 맺고 있는 굿거리이다.

철물이굿의 특징은 세 가지이다. 일단 이 굿은 집안의 경사굿이다. 재수굿을 일정한 주기로 완성하면서 대동굿과 상관성을 맺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황해도 굿다운 면모를 확인할 수 있는 적절한 사례이다. 두 번째로 굿에서의 신성성과 놀이성이 가장 풍부하면서도 특히 만신과 집안사람의 화합이 이루어지는 굿이다. 세 번째로 예술적 성격이 활발한 굿이 바로 이 굿이다.
역사우리나라는 고대 때부터 일정한 시기가 되면 사람들이 함께 모여서 특별한 의식을 행하던 전통이 있다. 『삼국지(三國志) 위지(魏志)』 「동이전(東夷傳)」과 『후한서(後漢書)』 「동이전」 등에 기록이 있다. 부여의 섣달에 하늘에 제사 지내고 사람들이 모여서 여러 날을 술 마시고 노래와 춤을 함께하는 [영고](/topic/영고)(迎鼓), 고구려(高句麗)에서는 매년 10월이면 하늘에 제사 지내는 [동맹](/topic/동맹)(東盟), 예(濊)에서는 10월에 하늘에 제사 지내는 [무천](/topic/무천)(舞天), 마한(馬韓)에서는 5월 씨를 뿌리고 난 뒤와 10월 농사일이 마친 뒤에 모두 모여 노래하고 춤을 추기를 밤낮으로 하는 제사[제귀신(祭鬼神)]가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고대 제의 풍습은 [국중대회](/topic/국중대회)(國中大會) 형식으로서 제사의 현장인 동시에 놀이의 현장이었다.

이러한 전통에 대한 기록이 조선시대 『[동국세시기](/topic/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까지 이어지고 있다. 즉 청안(靑安-현재 충북 괴산군 청안면)의 국사신제(國師神祭), 웅천(熊川)의 웅산신당사(熊山神堂祀), 고성군(固城郡)의 신사(神祀)에 대한 기록이 있다. 또한 『임영지(臨瀛誌)』 「풍속조(風俗條)」에는 강릉단오굿에 대한 기록도 보인다.
고대 때부터 한반도에 존재했던 이러한 절기별 제의가 오늘날까지 지속되어 개별적인 제사행위로 남아 있는 것의 한 사례가 황해도 지역의 철물이굿이라고 할 수 있다.
지역사례소놀음굿은 전국적으로 전승이 이루어졌지만 황해도 일대에서 전승되고 있는 것이 비교적 의례적 특징을 명확하게 띠고 있다. 다른 고장의 소놀음굿과 비교하면 [양주소놀이굿](/topic/양주소놀이굿)에서는 제의적 의의가 거세되고 예능적 의의가 큰 반면에 황해도의 연백소놀이굿은 제의적 의미가 뚜렷하게 살아 있음으로 하여 좋은 비교 거리가 된다. 평산소놀음굿은 성극의례이면서 신화적 설정이 돋보인다. 소놀음굿의 한 [가지](/topic/가지)로 의미의 가능성이 발굴된 것은 대단히 소중한 일이다.

소놀음굿을 매개로 하여 집굿이 [만신](/topic/만신)과 동네사람들의 잔치로 발전하는 일반적인 특징을 지니게 된다. 철물이굿이 집안잔치이면서 동네잔치가 되고 인[무리](/topic/무리) 잔치가 되는 것이 이러한 특징을 담게 된다. 잔치이면서 대동놀이로 되는 철물이굿의 주요한 특징을 이 소놀음굿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東國歲時記
三國志 魏志 東夷傳
臨瀛誌
後漢書 東夷傳
[조선무속의 연구](/topic/조선무속의연구) (赤松智城·秋葉隆, 심우성 역, 동문선, 1991)
[김금화](/topic/김금화)의 무가집 (김금화, 문음사, 1995)
[양주소놀이굿](/topic/양주소놀이굿) (김헌선, 화산문화, 2001)
국립문화재연구소무·굿과 음식 32005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