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릭

한국무속신앙사전
상의와 하의를 따로 [마름](/topic/마름)하여 허리에 연결시킨 포(袍).
definition
상의와 하의를 따로 [마름](/topic/마름)하여 허리에 연결시킨 포(袍).
mp3Cnt
0
wkorname
고부자
정의상의와 하의를 따로 [마름](/topic/마름)하여 허리에 연결시킨 포(袍).
내용철릭은 관복(官服) 가운데 하나로, 고려 중기부터 조선 말까지 전쟁 등 비상 때나 사냥·사신으로 나갈 때 왕 이하 하배(下輩)들까지 입었던 옷이다. 주로 군사용으로 쓰였기 때문에 “[융복](/topic/융복)(戎服)” 또는 “군복(軍服)”으로 통칭된다. 출토된 조선시대 복식유물에서도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저고리](/topic/저고리)와 [치마](/topic/치마)가 연결된 모양이고 허리에 띠, 머리에 [모자](/topic/모자)(갓. 笠)와 목이 긴 신[木花]을 한 틀로 갖춘다.

이에 대한 명칭으로는 “첩이(貼裏)·첩이(帖裏)·천익(天益)”과 함께 『궁중발기(宮中件記)』에는 “첩이(貼裏)·쳠니·쳔닉”이라 하였다. 현재 무당들은 학습된 용어인 “철릭”이라고 하지만 “철륙, 철륭, 철립, 관디”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용어는 혼동되기도 하며 철릭의 수구(袖口)에 달린 [한삼](/topic/한삼)을 “[장삼](/topic/장삼)”이라고도 한다.


1. [무복](/topic/무복) 철릭의 옛 자료: 신윤복의 「무녀신무도(巫女神巫圖)」에서 무녀는 [얹은머리](/topic/얹은머리) 위에 검은색 끈으로 두른 홍색의 갓[朱笠]을 얹고, 홍색 철릭을 입었다. 철릭의 오른 소매에는 매듭단추가 보이며 허리에 가는 띠[帶]를 묶었다. 왼손에는 부채를 들었다.

『[무당내력](/topic/무당내력)(巫黨來歷)』에는 그림으로 12굿거리가 나온다. 옷은 포(袍)류와 저고리 치마가 기본이다. 포는 철릭, 장삼, [원삼](/topic/원삼), [몽두리](/topic/몽두리), [동다리](/topic/동다리), [전복](/topic/전복) 등이 보인다. 철릭의 색은 남ㆍ홍이고, 허리에는 옷의 색과 반대인 홍색과 남색 띠를 매었다. 머리에는 호수(虎鬚) 세 개를 꽂은 홍갓[朱笠]을 썼는데 턱에는 홍색과 황색 구슬[纓子]을 꿴 긴 끈을 늘어뜨리고, 양옆에 옷감으로 만든 검은색 긴 끈을 달았다. 『궁중발기』(1866년, 규장각소장)에도 12제차(祭次)에 철릭이 나온다. 모자[笠]는 공작깃[孔雀羽]과 호랑이수염[虎鬚] 등을 치장한 것을 썼다. 철릭의 색은 홍ㆍ황 두 [가지](/topic/가지)이다. 허리에는 다홍에 남전대(戰帶), 남색에는 붉은 색의 매듭띠[紅多繪]를 각각 둘렀다.

1930년대 서울[京城]의 무복을 연구한 『[조선무속의 연구](/topic/조선무속의연구)(朝鮮巫俗の 硏究)』에는 14거리가 나온다. 여기에서 옷 명칭은 “색의(色衣), 단의(短衣), 장의(長衣)” 정도로 단순하지만 『무당내력』과 거의 비슷하다. 여기에도 산거리([최영](/topic/최영)[장군](/topic/장군)거리)에는 적색 호수립에 [구군복](/topic/구군복)과 남철릭, 성조거리와 군웅거리에는 호수립에 홍철릭이 있다.

이들 자료를 종합하면 철릭은 각기 3, 4번씩 나온다. 『궁중발기』에서는 12거리 중에서 어실당 별군웅·산마누라·왕신, 『무당내력』에서는 12거리 가운데 대거리·조상거리·구릉거리, 『조선무속의 연구』에서는 14거리 가운데 산거리·성조거리·군응거리이다. 철릭의 색은 모든 자료에서 홍이 남보다 위 개념이다.


2. 무복의 종류와 철릭: 무복은 굿을 할 때 무가 신을 상징하는 복장으로 입는 옷이다. 인간은 대리자인 무당을 매개체로 ‘굿’이라는 행위를 함으로써 소원을 풀고자 한다. 무복의 종류는 무당이 여러 신을 불러들이고 성격과 신분에 맞는 복장을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많을 수밖에 없다.

무당들은 무복을 “신복”이라고 한다. 조흥윤은 “무당은 원칙적으로 남치마를 기본 복식으로 한다. 그 위에다 다른 옷들을 껴입는데 이들은 대부분 조선왕조의 [공복](/topic/공복)을 받아들인 것이다. 홍천릭(또는 홍철륙), 남천릭(또는 남철륙), 몽두리, 전복이라고 하는 군복 등이며 홍천릭에는 빗갓이라고도 불리는 홍갓이 어울린다”고 하였다. 김은정은 무복을 크게 원삼, 장삼, 철릭, 몽두리, 동다리로 나누었다.

철릭을 최길성은 “천익(天翼)은 소매가 넓어서 장삼과 비슷한데 고름이 없고, 등에 [흉배](/topic/흉배)를 달고 술띠를 띠는데 남천익에는 홍, 홍천익에는 남색이다. 빗갓(朱笠)을 쓴다. 홍천익은 주로 성주거리와 군웅거리인데 색에 의한 구별은 확실한 것이 아니다. 무복은 예전, 특히 이조시대의 관복이나 예복에서 나온 것을 알 수 있다”고 했다.

철릭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지역은 세습무를 중심으로 하는 경기도이다. 강신무의 신당과 무구ㆍ무복의 종류는 다양하고 세분되어 화려하다. 이에 비해 세습무의 무복은 일정한 틀안에서 단순하다. 세습무인 [오수복](/topic/오수복)의 무복은 단순하며 어느 정도 전통적인 고형(古形)에 가까운 일정한 틀을 유지하고 있는데 홍철릭은 산거리와 군웅ㆍ성주거리에서 중요시하고 있으며, 장군거리에서는 남철릭을 입고 있다.

이태원부군당은 옷을 여러 번 갈아입지만 원삼, 장삼, 철릭, 동다리, 몽두리 등으로 기본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전통적인 명칭이나 정통성을 지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상산거리에서는 부군을 모시는 큰굿거리이기 때문에 홍갓을 쓰고 홍철릭과 부군할머니 몫인 홍치마를 입는다. 밥솥띄기나 군웅거리에서는 홍치마, 홍철릭, 홍갓, 부채, 화살, 활을 들고 [군웅춤](/topic/군웅춤)을 춘다. 여기서 철릭에 사용하는 모자는 꿩깃을 좌우에 꽂은 홍갓이다. 홍갓은 청ㆍ황색 구슬[纓子]을 목 아래로 늘어뜨린 두 개의 긴 홍색 끈을 뒤로 묶어 내려 단순하고 정갈하다.


3. 무복 철릭의 기능과 의미: 철릭이 무복에 많이 등장하는 것은 조선시대 군사용으로 널리 입은 것과 상통하며, 이와 함께 모자장식 및 [삼지창](/topic/삼지창)·월도 등 무기류도 갖춘다. 색은 신격을 상징하는 수단이자 굿거리를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홍철릭은 왕이 행차할 때 산신과 군웅을 위한 굿거리에서 사용된다. 남철릭은 만신들에 의해 “장군님의대”로 불린다.

옷의 색은 무당들이 모시는 신의 서열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고 있어 현재는 혼란스럽다. 서울국[사당](/topic/사당)의 진오귀 새남굿에서 홍색은 군웅(구릉)거리, 남색은 장군거리에 각각 쓰인다. 군웅거리에서 높은 신격으로 호수립이나 갓을 쓰고 청철릭을 입었다. 현대 서울굿은 청을 입기도 하지만 대부분 홍철릭에 [주립](/topic/주립)을 쓴다. 오수복은 “장군은 신장보다 크다”, 시흥 군자봉 김순덕은 “홍철릭은 산신이자 [경순왕](/topic/경순왕)을 상징하며, 장군거리에서는 남철릭이다”라고 한다. 남이장군 사당굿에도 16거리 가운데 가장 큰 도당부군거리에서 부군을 모실 때는 홍철릭을 입고, [큰머리](/topic/큰머리)를 하고 흑립을 얹는다. 또 남이장군을 모시는 상산거리에서는 큰머리에 흑립을 얹고, 남철릭을 입는다. 가택신인 성주거리와 [마을](/topic/마을) 수호신을 모시는 군웅거리에서는 홍철릭에 호수주립을 쓴다. 경기도당굿 중에 군자봉 서낭(산신, 대왕)인 경순왕을 모실 때도 최고신의 복장인 홍철릭에 주립을 쓴다. 한편 장군님의대에는 남철릭이다.


4. 무복 마련 및 처리: 무복은 신어머니로부터 물려받는 것도 있지만 무구와 달리 물려받는 일이 매우 드물다. 예전에는 [단골](/topic/단골)들이 옷감만 바치면 치수에 맞추어 짓는 일이 무당들의 과제였지만 지금은 완성된 옷을 요구하거나 자진해 만들어 바친다. 한편 [김남순](/topic/김남순)은 “신이 크기 때문에 단골들의 것을 받지 않는다”고도 한다. 지금은 만물상에서 구입하고 있다.

오래된 무복은 더러워져도 빨지 않고, 새로 만들어야 할 때는 불에 태우고 있다.


5. 굿판(지역)과 무당에 따른 철릭의 변화: 현대 무복은 만들거나 맡기는 사람들이 옷에 대한 지식이 없어 전통 무복의 구성법만 흉내 내고 있다. 여기에 무당의 개성이나 허세가 가세하면서 더욱 시각과 역동적인 효과에 치중하고 있다. 1900년대의 전통복을 근거로 1930년대까지도 그런대로 이어지다가, 1960년대 이후 사회, 경제, 문화, 종교 등 요인으로 바뀌기 시작하였다.

문헌이나 그림, 유물 등을 비교하면 현재의 무복 철릭은 너무 많이 변하여 [원형](/topic/원형)을 잃고 있다. 이는 현재 무업을 하는 무당의 증언이나 기록에서도 입증된다. “시방(지금)은 이상스럽게 달라졌다. 철릭(철륙)뿐 아니라 특히 한양굿(서울)이 심하고, 수원이나 평택 앉은굿도 그렇다.”(오수복, 2009년 5월 면담) “과거 무복은 민무늬가 대부분이었는데 근래에 무복이 화려해진다.”(조병호), 평안도 대택굿의 김남순(2009년 5월 면담)도 “신이 명령을 내리면 그림을 그려서 만든다. 옷이 100가지도 넘는다”, 의정부시 최옥순은 “무구와 무복에 대한 것은 기억뿐이므로 의정부 만물상에서 구입하였는데 화려하며 종류가 많다”고 했다.

현재 무복철릭은 계통이 없고 이름도 다르다. 가장 큰 변형은 어깨나 등에 무늬는 물론 크기나 색도 맞지 않는 흉배나 보(補)를 달고, 깃이나 옷의 부분에도 수(繡)를 놓거나 그림을 그리고 있다. 또 섶과 깃ㆍ고름 위치가 변하고, 소매 끝에(袖口) 한삼을 다는가하면 팔을 뺄 수 있도록 진동선에서 앞으로 창구멍을 낸 점 등이다. 또한 허리 띠[帶]에도 넓은 홍색이나 청색에다 수를 놓고, 양쪽 끝은 제비부리꼴로 세모로 처리한 것, 다른 색(주로 녹색)을 달기도 하고, 삼색 [복주머니](/topic/복주머니)를 허리에 차기도 한다.


6. 철릭을 사용하지 않는 곳: 굿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전통을 지키는 곳에서는 대부분 철릭이 귀하다. 진도의 씻김굿에서는 머리에 흰색 [고깔](/topic/고깔)을 쓰며 흰색 치마와 저고리를 입고 그 위에 흰색 장삼을 입는다. 동해안의 강릉이나 영덕 지방에서는 옷보다는 송신(送神) 때 지화·디림전·[탑등](/topic/탑등)·용선 등의 무구류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참고문헌巫黨來歷
한국무속연구 (김태곤, 집문당, 1981)
한국의 무 (조흥윤, 정음사, 1983)
무속의 세계 (최길성, 정음사, 1984)
평안도다리굿 (열화당, 1985)
큰무당 우옥주 유품 (국립민속박물관, 1995)
한국의 전통춤 (정병호, 집문당, 1999)
[경기도도당굿](/topic/경기도도당굿)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한국의 [무복](/topic/무복) (김은정, 민속원, 2004)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서울시ㆍ경기도ㆍ강원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서울 [이태원](/topic/이태원) 부군당굿 (양종승, 민속원, 2007)
[최영](/topic/최영)[장군](/topic/장군)당굿 연구 (최영장군당굿보존회, 민속원, 2008)
남이장군[사당](/topic/사당)굿 (하효길ㆍ홍태한ㆍ하을란, 민속원, 2009)
朝鮮巫俗の硏究 (赤松智城·秋葉隆, 大阪屋號書店, 東京 昭和13年)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무속·불교·유교를 통하여 본 식생활문화 및 그 의식절차에 대한 연구김상보1974
문덕사밤섬 부군당 도당굿의 제물과 음식-신과 인간의 공식주영하1999
한림출판사민속신앙 상차림-한국음식대관 5-상차림·기명·기구주영하2002
국립문화재연구소무·굿과 음식 1주영하·방인아·최진아2005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