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근소리

한국무속신앙사전
전라도 씻김굿과 [남해안별신굿](/topic/남해안별신굿)에서 불리는 무가. 씻김굿에서는 오구굿, 넋올리기, 씻김같이 망자와 관련된 굿거리의 끝 부분에 부른다. 남해안별신굿에서는 말미, 대너리, 염 등에 이어 천근을 부른다.
definition
전라도 씻김굿과 [남해안별신굿](/topic/남해안별신굿)에서 불리는 무가. 씻김굿에서는 오구굿, 넋올리기, 씻김같이 망자와 관련된 굿거리의 끝 부분에 부른다. 남해안별신굿에서는 말미, 대너리, 염 등에 이어 천근을 부른다.
mp3Cnt
0
wkorname
김혜정
정의전라도 씻김굿과 [남해안별신굿](/topic/남해안별신굿)에서 불리는 무가. 씻김굿에서는 오구굿, 넋올리기, 씻김같이 망자와 관련된 굿거리의 끝 부분에 부른다. 남해안별신굿에서는 말미, 대너리, 염 등에 이어 천근을 부른다.
내용‘천근이야’라는 가사를 반복하여 부르기 때문에 천근소리라 한다. 천근소리를 부르기 전에 음영조의 천근말을 하는 경우가 많다. [장단](/topic/장단)과 형식, [가창방식](/topic/가창방식) 등은 지역과 무녀마다 다르다. 전라도 씻김굿의 무당은 각 굿거리를 마칠 때 [성주풀이](/topic/성주풀이) 계열의 악곡이나 천근소리 가운데 하나를 부른다. 그리고 망자와 관련 있는 굿거리들은 천근소리로 끝맺고 나머지는 성주풀이로 맺는다. 성주풀이에서는 연행이 춤으로 연결되어 한바탕 놀아지고 굿거리가 끝나는 것에 비해 천근소리를 부를 때는 굿이 비교적 엄숙하게 끝난다.
지역사례천근소리는 지역마다 선율과 장단이 다르고 용례도 차이가 있지만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진도씻김굿](/topic/진도씻김굿)의 천근소리와 여타 다른 지역의 천근소리로 크게 양분할 수 있다. 문화재로 지정된 진도씻김굿의 천근소리는 본래 전승되지 않은 소리이지만 문화재 지정 전후로 영암의 천근소리와 진도 채정례 일행의 천근소리를 조합하여 만들어 부르게 됐다. 이 때문에 화려하고 세련된 맛이 강하여 다른 지역 [악사](/topic/악사)들은 문화재 지정팀의 천근소리(진도씻김굿의 천근소리)를 소리제 또는 진도제라고 부르기도 한다. 소리제는 어정소리와 달리 [판소리](/topic/판소리)처럼 만들어졌다는 의미이다.

진도씻김굿의 천근소리가 여느 지역 천근소리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도씻김굿의 천근소리는 3소박 4박의 [굿거리장단](/topic/굿거리장단)으로 되어 있어서 일반적인 천근소리가 엄숙한 분위기를 만드는 것과 달리 흥겨운 느낌으로 노래된다. 둘째 진도씻김굿의 천근소리는 두 장단을 메기고 네 장단을 받는 선후창 형식으로 노래한다. 다른 지역의 천근소리는 모두 제창 형식이므로 문화재 지정팀에서 [메기는 소리](/topic/메기는소리)를 새로 추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진도씻김굿의 천근소리에는 천근말이 없거나 매우 짧다. 순천 천근소리는 천근말을 길게 한 후 종지의 의미로 천근소리를 부르지만 이에 비해 진도씻김굿은 천근소리가 중심에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넷째 진도씻김굿의 천근소리는 음계 활용이 특이하여 따로 천근소리목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인 씻김굿 무가는 ‘미라시도’를 중심으로 하는 [육자배기](/topic/육자배기)목으로 되어 있지만 천근소리목은 ‘라레미’를 중심으로 선율이 진행된다. 천근소리목은 청의 위치를 육자배기목의 4도 위로 옮기면서 [평조](/topic/평조) 선율로 바뀌어 있는 형태이다. 그러나 완전한 이조가 되지 않고 여전히 육자배기목의 꺾는 음이 섞여 사용됨으로써 오히려 독특한 맛을 내고 있다. 천근소리목은 ‘레’ 음으로 종지하며, 이후 육자배기목으로 다시 돌아간다.

진도씻김굿의 천근소리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천근소리들도 각각 차이가 난다. 그 가운데 [순천삼설양굿](/topic/순천삼설양굿)의 천근소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순천삼설양굿의 천근소리는 3소박 12박의 세마치형 장단을 사용하며, 전체 악곡의 길이가 3장단 정도에 불과하다. 전반부의 두 장단에서는 ‘레’ 음을 중심으로 ‘솔’이 출현하는 평조선율을 사용함으로써 다른 무가와 다른 독특한 느낌이 있다. 그러나 마지막 한 장단은 육자배기목으로 되돌아가서 종지된다. 순천의 악사들은 ‘진도제’와 달리 순천 천근소리가 하행형 선율로 되어 있는 ‘어정제’라고 말한다. 순천삼설양굿에서는 혼맞이, 오구굿, [고풀이](/topic/고풀이), 넋올리기, 씻김, 길닦음, 객사고풀이 등 제석굿 이후의 모든 굿거리가 천근소리로 마[무리](/topic/무리)되고 있다. 심지어 고풀이에서 [성주풀이](/topic/성주풀이) 계열 악곡을 부른 이후 다시 천근소리를 부른다. 또 넋올리기에서는 당산주산풀이, 천근소리, 말미소리, 천근소리, [동살풀이](/topic/동살풀이), 천근소리, 사자여우기, 천근소리와 같이 천근소리를 네 차례 반복하고 있으며, 매번 길이가 긴 천근말이 앞에 붙는다. 무녀가 악기반주 없이 천근말을 음영하다가 악사들과 함께 천근소리를 제창함으로써 종지의 느낌을 만들어 낸다.

[남해안별신굿](/topic/남해안별신굿)의 천근은 불규칙 박과 불규칙 박자로 음영조처럼 읊어 나간다. 남해안별신굿의 전승자인 [정영만](/topic/정영만)은 ‘천근이 안 되면 저승에 못 간다’, ‘하늘, 땅, 인간의 소리이다’라는 말로 천근을 설명하고 있다. 천근이 망자를 저승에 보내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전남의 씻김굿과 같은 기능을 하고 있다.

![무속신앙 천근소리 1](/upload/img/20170106/20170106175201_t_.jpg)
![무속신앙 천근소리 2](/upload/img/20170106/20170106175218_t_.jpg)
참고문헌씻김굿의 음악 (이보형, 진도의 문화예술, 진도군, 1992)
연행 및 전승 맥락에서 본 씻김굿의 예술성과 연희성 (이경엽, [구비문학](/topic/구비문학)연구 18, 한국구비문학회, 2004)
[남해안별신굿](/topic/남해안별신굿) 연행구조 연구 (오진호, 실천민속학연구 9, 실천민속학회, 2007)
씻김굿의 거리별 [장단](/topic/장단)사용의 보편성과 지역별 특수성 (김혜정, 공연문화연구 16, 공연문화학회, 2008)
호남의 [곽머리씻김굿](/topic/곽머리씻김굿) (나경수 외, 민속원, 2009)
동명사시주-조선상식 풍속편 2최남선1948
고려대민족문화연구소민간신앙·종교-한국민속대관 3홍윤식1982
진도사람들편찬부진도의 민속-진도씻김굿지춘상1985
서울대학교출판부한국의 샤머니즘조흥윤199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석사학위논문진도씻김굿의 물질문화 연구최진아1999
한국무속학회서울굿의 상차림에 대하여홍태한2003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무속의 물질문화 연구최진아2009
大阪屋號書店朝鮮巫俗の硏究(下)赤松智城·秋葉隆東京 昭和13年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