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영랑앵연랑신가

한국무속신앙사전
함경도 지역의 소규모 굿 가운데 [혼수](/topic/혼수)굿 또는 횡수맥이를 할 때 어린아이의 병을 낫도록 하고자 부르는 무가. 혼수굿에서 성인의 중병을 낫게 할 때는 저승사자를 대접해 인간의 정명(定命)을 연장하는 내용의  무가를 부르고, 어린아이의 병을 낫게 할 때는 장님과 앉은뱅이가 부처님의 은덕으로 병을 고치는 를 부른다. 여기서 숙영랑과 앵연랑은 무가 주인공인 남생이와 거북이의 부모 이름을 각각 가져와 손진태(孫晉泰)가 무가 명칭으로 삼은 것이다.
definition
함경도 지역의 소규모 굿 가운데 [혼수](/topic/혼수)굿 또는 횡수맥이를 할 때 어린아이의 병을 낫도록 하고자 부르는 무가. 혼수굿에서 성인의 중병을 낫게 할 때는 저승사자를 대접해 인간의 정명(定命)을 연장하는 내용의 무가를 부르고, 어린아이의 병을 낫게 할 때는 장님과 앉은뱅이가 부처님의 은덕으로 병을 고치는 를 부른다. 여기서 숙영랑과 앵연랑은 무가 주인공인 남생이와 거북이의 부모 이름을 각각 가져와 손진태(孫晉泰)가 무가 명칭으로 삼은 것이다.
mp3Cnt
0
wkorname
권태효
정의함경도 지역의 소규모 굿 가운데 [혼수](/topic/혼수)굿 또는 횡수맥이를 할 때 어린아이의 병을 낫도록 하고자 부르는 무가. 혼수굿에서 성인의 중병을 낫게 할 때는 저승사자를 대접해 인간의 정명(定命)을 연장하는 내용의 무가를 부르고, 어린아이의 병을 낫게 할 때는 장님과 앉은뱅이가 부처님의 은덕으로 병을 고치는 를 부른다. 여기서 숙영랑과 앵연랑은 무가 주인공인 남생이와 거북이의 부모 이름을 각각 가져와 손진태(孫晉泰)가 무가 명칭으로 삼은 것이다.
내용숙영선비와 앵연각시가 혼인을 하여 살지만, 사십이 넘도록 슬하에 자식이 없었다. 자식이 없음을 한탄하다가 경상도에 사는 점쟁이에게 문복(問卜)을 했더니 안애산 금상절에서 100일 정성을 들이면 아이를 갖는다는 말을 들었다. 부부가 백일정성을 올리자 태기가 있어 아이를 낳았다. 첫째는 장님이었다. 부부는 한탄하며 아이 이름을 거북이라고 지었다. 그 뒤 다시 태기가 있어 아이를 낳았다. 이번에는 곱사등이에 앉은뱅이였다. 부부는 다시 탄식하며 아이 이름을 남생이라고 지었다. 거북이와 남생이는 부모가 죽자 많던 재물이 점차 없어지고 가난뱅이가 되어 빌어먹게 되었다. 그러다가 거북이가 남생이를 업고 안애산 금상절을 찾아가 절 어귀의 연당에 금덩이가 있는 것을 발견하고 그 금을 건져 부처를 도금하고 절을 치장하였다. 그랬더니 부처의 힘으로 거북이의 눈이 밝아지고 남생이의 등과 다리가 펴[지게](/topic/지게) 되었다. 형제는 81세까지 살다가 죽어 혼수성인이 되었다.

이 무가는 함경남도 함흥, 평안북도 강계 등지에서 채록 자료가 확인된다. 가장 먼저 채록된 자료는 손진태가 1926년 함흥의 큰무당 김쌍돌이에게서 채록하여 「[조선신가유편](/topic/조선신가유편)(朝鮮神歌遺編)」에 수록한 이며, 다음으로는 손진태가 평북 강계의 무격 전명수에게서 채록하여 『청구학총(靑丘學叢)』 23호에 수록한 가 있다. 는 제석님의 근본을 철령(鐵嶺) 땅의 늪이라고 하면서 오누이 간인 앉은뱅이 남생이와 장님 거북이가 철령 늪에서 금[방석](/topic/방석)을 구해 부처님께 [시주](/topic/시주)하여 병을 고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인물 설정과 내용은 동일하지만 그 성격이 치병(治病)이 아닌 [곡물](/topic/곡물)의 풍요를 기원하는 성격으로 다르게 나타난다.

한편 월남한 강춘옥 무녀로부터 임석재ㆍ장주근이 1965년 채록한 『관북지방무가(關北地方巫歌)』 자료는 「조선신가유편」 채록 자료와 다르게 와 두 자료를 별개의 자료로 분리하지 않고 이라는 하나의 무가로 묶어서 연결시켜 구송하는 양상을 보인다.
참고문헌[조선무격의 신가](/topic/조선무격의신가) 3 (손진태, 청구학총 23호, 청구학회, 1936)
관북지방무가 (임석재ㆍ장주근, 문화재관리국, 1965)
[조선신가유편](/topic/조선신가유편) (손진태, 손진태선생전집 5, 태학사-영인, 1981)
근대 여명기 우리 신화 연구 (권태효, 민속원, 2008)
안성무속(경기시나위춤)
문화재관리국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12이보형·심우성1976
문화재관리국무무문화재연구소1987
열화당서울 진오기굿김수남1993
서울대학교 출판부한국무속과 연희이두현1996
서울대학교출판부한국의 샤머니즘조흥윤1999
국립문화재연구소경기도도당굿1999
문덕사샤머니즘 연구한국샤머니즘학회2002
한국무속학회경기도 남부 도당굿 중 제석굿 무가의 음악적 특징박정경2003
제8회 동양음악학국제학술회의경기도당굿의 굿춤이애주2004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