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부채

한국무속신앙사전
무당이 한 거리를 마치고 [잡귀잡신](/topic/잡귀잡신)을 풀어먹이면서 연주하는 [장단](/topic/장단). 수부는 수비(隨陪)의 와음(訛音)이며, 수비는 주신(主神)을 따라다니는 잡귀잡신을 의미한다. 수부채의 ‘채’는 ‘치다’라는 동사에서 비롯된 것으로, 악기를 치는 도구인 채에서 온 말이다. 또한 ‘채’는 전통음악에서 ‘장단’을 일컫는다. 예를 들어 풍물굿에서의 ‘채’는 그 장단에 쓰이는 징의 점수를 일컫는 것이고, 굿판에서의 ‘채’는 장단이 쓰이는 노래 혹은 춤 명칭에 붙어서 장단명으로 쓰인다.
definition
무당이 한 거리를 마치고 [잡귀잡신](/topic/잡귀잡신)을 풀어먹이면서 연주하는 [장단](/topic/장단). 수부는 수비(隨陪)의 와음(訛音)이며, 수비는 주신(主神)을 따라다니는 잡귀잡신을 의미한다. 수부채의 ‘채’는 ‘치다’라는 동사에서 비롯된 것으로, 악기를 치는 도구인 채에서 온 말이다. 또한 ‘채’는 전통음악에서 ‘장단’을 일컫는다. 예를 들어 풍물굿에서의 ‘채’는 그 장단에 쓰이는 징의 점수를 일컫는 것이고, 굿판에서의 ‘채’는 장단이 쓰이는 노래 혹은 춤 명칭에 붙어서 장단명으로 쓰인다.
mp3Cnt
0
wkorname
이용식
정의무당이 한 거리를 마치고 [잡귀잡신](/topic/잡귀잡신)을 풀어먹이면서 연주하는 [장단](/topic/장단). 수부는 수비(隨陪)의 와음(訛音)이며, 수비는 주신(主神)을 따라다니는 잡귀잡신을 의미한다. 수부채의 ‘채’는 ‘치다’라는 동사에서 비롯된 것으로, 악기를 치는 도구인 채에서 온 말이다. 또한 ‘채’는 전통음악에서 ‘장단’을 일컫는다. 예를 들어 풍물굿에서의 ‘채’는 그 장단에 쓰이는 징의 점수를 일컫는 것이고, 굿판에서의 ‘채’는 장단이 쓰이는 노래 혹은 춤 명칭에 붙어서 장단명으로 쓰인다.
내용 및 지역사례수부채는 전국의 굿판에서 다양하게 나타난다. 황해도굿의 초감흥굿에서는 모든 신령을 모셔 놓고 본격적인 굿을 진행하기 위해 굿청을 깨끗하게 정화한다. 이는 [잡귀잡신](/topic/잡귀잡신)인 수비를 물려내는 의례이다. 만신은 수비들의 이름을 노래하면서 놀려 보낸다. 만신이 수비상을 들고 청배한 후 수비상을 든 채 2소박 4박(4/4박자) 장단인 [맴돌이장단](/topic/맴돌이장단)(또는 막장단)에 연풍을 돌면서 춤을 춘다. 그리고 수비상을 밖으로 내보내어 수비들이 굿청 밖으로 나가도록 한다.

![무속신앙 수부채 1](/upload/img/20170106/20170106162155_t_.jpg)

서울굿에서는 [수비장단](/topic/수비장단)이라고 하며, 뒷전에서 쓰인다. 수비장단은 2소박 4박(4/4박자) 장단이며, 이를 휘모리 또는 막장단이라고도 한다.

![무속신앙 수부채 2](/upload/img/20170106/20170106162212_t_.jpg)

동해안굿의 수부채는 각 거리의 끝부분에서 무당이 수부잔을 들고 모신 신을 따라온 수부사자를 풀어먹이는 수부 무가를 반주하는 장단이다. 동해안 수부채는 겹수부채와 홑수부채가 있다. 겹수부채는 빠른 3소박 4박(12/8박자) 장단이고, 홑수부채는 빠른 2소박 4박(4/4박자) 장단이다. 수부 무가는 [메나리토리](/topic/메나리토리)로 되어 있다. 요즘은 길게 부르는 겹수부채를 거의 부르지 않고 간단하게 부르는 홑수부채로 마치는 경우가 많다.

![무속신앙 수부채 3](/upload/img/20170106/20170106162525_t_.jpg)
![무속신앙 수부채 4](/upload/img/20170106/20170106162539_t_.jpg)

남해안굿에서는 무당이 거리를 마치면서 수부 무가를 수부채에 얹어 부르고, 손님에게 수부잔을 주면서 무병장수를 빈다. 수부채는 2소박 6박(6/4박자) 장단이며, 수부 무가는 [육자배기](/topic/육자배기)토리로 되어 있다.

![무속신앙 수부채 5](/upload/img/20170106/20170106162550_t_.jpg)
참조[수비장단](/topic/수비장단)
참고문헌경남ㆍ경북 동해안 [무악](/topic/무악) 비교 연구 (장휘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남해안 [별신굿](/topic/별신굿) 음악 현지연구 (이용식, 한국무속학 6, 한국무속학회, 2003)
서울굿의 [장단](/topic/장단)사용과 장단구조의 연계성 (김혜정, 한국무속학 12, 한국무속학회, 2006)
민속, 문화, 그리고 음악 (이용식, 집문당, 2006)
황해도 맞이굿 형식과 특성 고찰 (양종승, 한국무속학 16, 한국무속학회, 2008)
한국음악의 뿌리, 팔도 굿음악 (이용식,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9)
제주도 무속신화문무병1998
민속원한국의 굿문무병 외2002
제주도의 굿춤문무병2005
황금알바람의 축제 칠머리당영등굿문무병2005
제주특별자치도굿의 기메·전지문무병2008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