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굿 무복

한국무속신앙사전
서울굿 무복
서울굿에서 강신무인 무당의 몸에 내린 신을 상징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복식.
definition
서울굿에서 강신무인 무당의 몸에 내린 신을 상징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복식.
mp3Cnt
0
wkorname
유효순
정의서울굿에서 강신무인 무당의 몸에 내린 신을 상징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복식.
내용강신무의 굿에서 무당은 신과의 일체화 현상을 보이므로 무당이 착용한 [무복](/topic/무복)은 무당의 옷이 아니라 접신한 신의 옷이다. 굿을 하는 현장에서는 무복을 굿거리의 명칭을 붙여 의대나 신복이라고 부른다. 서울굿은 몸에 신이 내려 [내림굿](/topic/내림굿)을 받고 무당이 되는 강신무의 굿으로 한양굿이라고도 한다. 서울굿에서 무당은 모든 거리에서 여성의 [평상](/topic/평상)복인 [치마](/topic/치마)와 [저고리](/topic/저고리)를 기본복으로 착용하고, 그 위에 거리별로 접신하는 신을 상징하는 무복으로 포 종류의 [의복](/topic/의복)을 착용한다. 머리에는 신의 특성에 따라 [전모](/topic/전모)·갓 등을 쓰고, [신발](/topic/신발)로는 다양한 색상의 혜를 신는다. 무구로는 삼신선, 방울, [언월도](/topic/언월도), [삼지창](/topic/삼지창), 오방기, 소지 등을 신의 특성에 따라 든다.

굿을 할 때 무당은 거리마다 접신하는 신을 상징하는 무복을 갈아입기는 하지만 특성이 비슷한 신인 경우 같은 종류의 무복을 착용하므로 굿거리의 수만큼 무복의 종류가 다양하지 않다. 신을 상징하기 위해 착용되는 무복은 보통 [장삼](/topic/장삼), [철릭](/topic/철릭), [구군복](/topic/구군복), [몽두리](/topic/몽두리), [원삼](/topic/원삼), [장옷](/topic/장옷), [소창의](/topic/소창의) 등이다.

무복은 거리별로 접신하는 신을 상징할 뿐만 아니라 굿에서 추구하는 염원을 상징한다. 굿에서 여성복인 치마와 저고리를 기본복으로 착용하는 것은 접신하는 신이 음성이므로 무당의 성을 음성인 여성으로 하여 신과 무당이 합일함을 상징하는 것이다. 또한 무복의 색상을 양의 색상으로 하여 음성인 신이 음양의 조화를 이루어 무당의 몸에 쉽게 접신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음기가 강한 액귀를 강한 양기로 퇴치하고자함을 상징한다.

서울굿의 기본구조는 일반적으로 12거리로 되어 있으나 거리의 수·배치순서·명칭은 무당마다 다르기도 하고 상황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조선시대부터 서울굿에서 행한 거리와 무복은 다음과 같다.

1. 부정거리, 뒷전부정거리는 굿을 할 장소를 깨끗이 하는 거리이고, 뒷전은 굿이 끝나고 이름 없는 신들을 풀어 먹여 보내는 거리로 특정 신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므로 치마와 저고리만 착용하고, 뒷전에서는 북어를 들어 풀어 먹임을 상징한다. 무당이 남성이라 하더라도 치마저고리를 착용하나 오늘날에는 남성의 평복 차림을 하기도 한다.
2. 감응청배(감응거리, [가망](/topic/가망)거리)조선시대에는 산신을 청하였으나 오늘날에는 조상을 청하기도 한다. 조선시대에는 [얹은머리](/topic/얹은머리)에 녹색 장의를 착용하고 손에는 흰 [창호지](/topic/창호지)를 들었다. 오늘날에는 녹색포나 [쾌자](/topic/쾌자)에 협수 또는 황색 몽두리를 착용하고 삼신선이나 방울을 드는 등 각기 다르다.
3. 제석거리(불사거리, 칠성거리)자손의 명과 복을 비는 불교적인 거리이다. 신의 특성에 맞게 흰색 [고깔](/topic/고깔)에 폭이 넓고 긴 흰색 장삼을 입고, 가슴과 한쪽 어깨에 [가사](/topic/가사)를 상징하는 홍색띠를 하며, 무구로 삼신선과 방울을 들었다. 오늘날에는 흰색이나 회색 장삼과 화려하게 자수를 놓은 홍색·남색·녹색띠를 함께 착용한다.
4. 별성거리(별상거리)별성거리의 신은 고귀한 신분의 격이 높은 신으로 천연두신을 나타내는 별상이라고도 한다. 조선시대에는 [전립](/topic/전립)을 쓰고 구군복에 청[전대](/topic/전대)를 두르고 언월도와 삼지창을 들었다. 현대의 무당 중에는 투구에 갑옷을 입기도 하고 [족두리](/topic/족두리)에 원삼이나 원삼 비슷한 녹색 포를 착용하고 부채와 삼지창을 들기도 한다.
5. [장군](/topic/장군)거리(대거리)대부분 지체 높은 무관계의 영을 신으로 모시며 현대 서울굿에 등장한 문관계의 신을 모시는 대신거리 또한 비슷한 특성을 지닌다. 무복으로는 호수 장식의 [주립](/topic/주립)(홍색갓)에 청철릭을 착용하고 언월도와 삼지창을 들고 있다. 오늘날에는 투구에 갑옷, 주립에 몽두리, 쾌자·협수 또는 철릭 등을 착용하고 무구로 삼신선·방울·오방기 등을 사용한다.
6. 호구거리(오귀거리)호구는 처녀신으로 천연두신을 의미하며, 현대의 굿에서는 점차 행하지 않는다. 무복으로는 처녀를 상징하는 노란색 삼회장저고리에 홍색 치마와 얼굴을 가리는 [면사](/topic/면사)보(면사포)를 쓰고 삼신선과 방울을 들고 있다. 오늘날 호구거리를 행하는 무당들도 평상복에 부채를 들고 홍색 보자기나 홍색 치마를 머리에 쓴다.
7. 만신말명(만명거리, 대신만명거리)무녀들의 [무조신](/topic/무조신)을 모시는 거리로, 현대의 굿에서는 많이 행하지 않는다. 조선시대에는 삼신선과 부채를 들고 무조신으로서의 신격을 상징하기 위해 어깨에 잣무늬 장식을 한 천민의 예복인 황색 몽두리를 착용하였다. 말명거리를 행하는 현대의 무당들은 평상복만을 착용하기도 한다.
8. 신장거리신장거리는 오방을 지키는 방위신장으로 잡귀와 잡신을 쫓아내어 액을 물리치도록 하는 중요한 거리다. 무복으로는 전립에 구군복을 착용하고 오방기를 든다. 현대의 무당들도 전립을 쓰고 남색이나 연두색 협수와 쾌자를 착용한다.
9. 창부거리예능을 담당하는 광대신으로 하여금 굿의 의뢰인이나 구경꾼들을 흥겹게 하는 거리로, 조선시대에는 평상복 위에 [전복](/topic/전복)을 착용하거나 원삼을 착용하였고 삼신선과 부채를 들었다. 오늘날에도 초록색 원삼에 삼신선을 든다.
10. 성주거리(성조거리)성주는 집안의 길흉화복을 관장하는 집터의 수호신으로, 중요한 신이다. 조선시대에는 홍철릭이나 흑립에 옥색 소창의를 착용하고 삼신선과 방울을 들었다. 현대의 무인들은 대부분 홍철릭을 착용한다.
11. 구릉거리(군응거리)객지에서 무사안녕을 관장하는 구릉신을 모시는 중요한 굿거리였으나 오늘날에는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 무복으로는 호수장식의 주립에 홍철릭을 착용하고, 삼신선과 방울을 든다. 돈을 흰색 종이에 싸서 들기도 했다. 오늘날에도 주립에 홍철릭을 착용한다.
12. 조상거리조상거리는 굿 의뢰자의 [조상신](/topic/조상신)을 받드는 거리로 거리 특성상 신격이 일정치 않기 때문에 조선시대에도 흑립에 녹색 소창의나 평상복만을 착용하기도 하고 삼신선과 방울을 함께 들기도 했다. 현대의 무당들도 전립에 흑색 쾌자, 주립에 쾌자와 협수 또는 호수 장식의 흑립에 황색 몽두리를 착용하고 삼신선과 방울을 드는 등 각기 다르게 착용한다.

이 밖에도 현대에 이르러 다양한 명칭의 굿거리가 첨가되기도 하며 신들의 특성이 비슷하면 무복 또한 같은 종류를 착용한다.

서울굿에서 접신하는 신은 절대적인 신이긴 하나 우리 인간처럼 인격을 지닌 신이기 때문에 굿에서 착용하는 신복은 인간이 착용하는 의복과 조형적 특성이나 착용방법이 동일하다. 그러므로 조선시대의 서울굿 무복은 기본 형태나 착용 방법 등이 당시 착용된 의복들과 동일하였다.

그러나 실생활에서 전통복을 착용하지 않게 되자 이미 1930년대부터 무복도 전통복과 다르게 변화되었다. 모든 무복의 깃은 마주 보는 쌍깃으로 변했다. 철릭·장삼·원삼 등 광수의 무복에는 팔을 내놓을 수 있게 팔꿈치 위치의 앞부분에 트임을 냈으며 철릭에는 원삼과 같이 흰색 [한삼](/topic/한삼)이 부착되었다. 또한 철릭과 장삼의 허리선에 주름을 약간만 잡아 폭이 좁아지고, 상·하의를 한 장으로 재단하여 뒤 중심선 이하를 트기도 하였다. 또는 여성용 몽두리는 통이 좁은 두리 소매에 길이도 짧아져 여성의 [두루마기](/topic/두루마기)와 같아지는 등 무복 형태가 전통복과는 다르게 변화되었다.

이 외에도 철릭처럼 상의와 하의를 연결하여 만든 원삼이나 [활옷](/topic/활옷)처럼 수를 놓은 원삼 및 명칭을 알 수 없는 포 종류의 의복들도 착용하는 등 전통복에선 볼 수 없는 새로운 형태의 무복도 등장하였다.

형태 변화와 더불어 장식성도 높아지고 있다. 조선시대 무복은 실생활에서의 규칙이 그대로 적용되어 일반복과 같지만 오늘날에는 다양한 무늬의 금·은박을 찍거나 꽃·[동물](/topic/동물)문양 등으로 수를 놓아 화려해졌다.

반면에 조선시대의 무복재료는 신복이라 하여 질이 좋은 황세포나 견[직물](/topic/직물) 등을 사용하였지만 오늘날에는 대부분 경제적 이유로 합성섬유를 사용하고 있다.

착용법도 조선시대에는 치마의 길이를 짧게 착용하여 속[바지](/topic/바지)가 보이도록 한 것만 다르고 일반복식과 동일하였다. 현대의 굿에서는 한 거리에서 무복을 여러 번 갈아입기도 하며, 다양한 신을 접신한다 하여 여러 종류의 의복을 겹쳐 입기도 하고, 입고 벗기에 편리하도록 앞을 여미지 않고 착용하는 등 착용법 또한 다양해졌다.

이와 같이 무복이 전통복과 달라진 이유는 무복은 신복이라 하여 오염이 되거나 상하게 되면 불태워 버리고, 무당이 죽으면 불태워 버리거나 함께 묻어 버리므로 무당의 당대에서 끝나기 때문이다. 또한 제작자나 착용자 모두 전통복에 대한 지식이 없어서 전통복과 다른 무복이 계승되고 있다.
참고문헌巫黨來歷
한국복식사연구 (유희경,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75)
한국무속연구 (김태곤, 집문당, 1981)
한국의 무당 (최길성, 열화당, 1981)
[무당내력](/topic/무당내력)을 중심으로 한 무속복식연구 (백영자·유효순, 한국방송통신대학논문집 5, 1986)
한국무속사상연구 (김인회, 집문당, 1988)
한말의 궁중무속 (최길성, 교문사, 1989)
한국종교복식에 관한 연구 (임영자,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9)
한국의 복식 (백영자, 경춘사, 1993)
한국의 무속복식 연구 (유효순,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조선무속고](/topic/조선무속고) (이능화, 동문선, 1995)
朝鮮巫俗の硏究 (赤松智城·秋葉隆, 大阪屋號書店, 東京 昭和13年)
국립민속박물관큰무당 우옥주 유품1995
국립문화재연구소황해도평산소놀음굿양종승1998
화산문화양주소놀이굿김헌선2001
도서출판 民俗苑한국의 굿하효길 외2002
양주시양주소놀이굿김헌선 외2006
서울굿 무복
64858
서울굿 무복
호구거리(평상복)
64885
호구거리(평상복)
신장거리(구군복)
64884
신장거리(구군복)
성조거리(소창의)
64883
성조거리(소창의)
만신말명(몽두리)
64882
만신말명(몽두리)
대거리(청철릭)
64881
대거리(청철릭)
감응청배(장옷)
64880
감응청배(장옷)
서울굿 무복
64571
서울굿 무복
서울굿 무복
64570
서울굿 무복
서울굿 무복
64863
서울굿 무복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