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한국무속신앙사전
고사
집안의 성주, 터주, 제석, 삼신, 조왕 등의 [가신](/topic/가신)(家神)에게 안녕을 기원하는 의례.
definition
집안의 성주, 터주, 제석, 삼신, 조왕 등의 [가신](/topic/가신)(家神)에게 안녕을 기원하는 의례.
mp3Cnt
0
wkorname
김경남
정의집안의 성주, 터주, 제석, 삼신, 조왕 등의 [가신](/topic/가신)(家神)에게 안녕을 기원하는 의례.
정의집안의 성주, 터주, 제석, 삼신, 조왕 등의 [가신](/topic/가신)(家神)에게 안녕을 기원하는 의례.
向家里的[城主](/topic/城主),[宅基神](/topic/宅基神),祭释,[三神](/topic/三神),[灶王](/topic/灶王)等家神祈愿安宁的仪礼。

“告祀”主要在阴历十月进行,是以各种家神为对象所进行的综合性祭礼。《[东国岁时记](/topic/东国岁时记)》中记载道,“十月又称上月,请巫师到家里来,迎接‘成造神’,摆好[米糕](/topic/米糕)和水果,祈求家里平安。”各地区称谓各有不同,分别称为“[安宅](/topic/安宅)”,“安宅告祀”,“祈祷”,“祷神祭”,“[甑子](/topic/甑子)告祀”等。

进行告祀时,一般选择吉日,在大门口拉[禁绳](/topic/禁绳),撒[黄土](/topic/黄土),以防外部[不净](/topic/不净)之物进入。拉上禁绳后,家里人禁止外出,并注意不做不净的事。主要祭品是米糕和酒。米糕选用垒成多层的甑糕和单层白米甑糕。白米甑糕是供奉屋里的产神——“三神”的。祭祀是由女主人摆好祭品后,向宅基神,城主,三神,灶王等叩拜并[摩祷](/topic/摩祷)。此外,[七星](/topic/七星),[厕神](/topic/厕神),院神,[门神](/topic/门神)等前面,只摆放祭品。

告祀与家神密切相关,是以这些神为中心的仪礼,因此是家庭信仰的核心。告祀虽在正月进行,有时也在秋季秋收后进行,这时有很强秋收感恩祭的色彩。
Gosa es un término para referirse a una amplia gama de rituales efectuados para rezar por la paz y el bienestar a los dioses del hogar como [[Seongju](/topic/DiosProtectordelHogar)](/topic/Seongju), [[Teoju](/topic/DiosTutelardelaTierra)](/topic/Teoju), Jaeseok, [[Samsin](/topic/Diosdelhogar)](/topic/Samsin) y [[Jowang](/topic/DiosdelaCocina)](/topic/Jowang).

El gosa es un ritual integral de la adoración a los dioses del hogar que se realiza generalmente en el décimo mes del calendario lunar. Según el , “en el décimo mes del calendario lunar que se considera el mejor mes del año, cada hogar lleva a cabo un ritual chamánico de la adoración a los dioses del hogar con un pastel de arroz y frutas como alimentos sacrificiales”. El ritual de la adoración a los dioses del hogar se denomina también “antaek”, “antaekgosa”, “gido”, “dosinje” o “sirugosa".

Una vez fijada la fecha auspiciada para la celebración del ritual, un geumjul se extiende de un lado a otro de la entrada de la casa, se salpica el hwangto fuera de la casa para que no entren las impurezas en la casa. Después de tener el geumjul extendido, los miembros de la familia solo se quedan en casa sin salir de la casa y tienen especial cuidado para no cometer actos impuros. El principal alimento sacrificial para ofrendar es el pastel de arroz y el licor. Se preparan dos tipos del pastel de arroz: sirutteok con varias capas delagas y baekseolgi sin capas. El pastel de arroz, baekseolgi se prepara como una ofrenda sacrificial a la diosa del parto, Samsin que vive en la habitación interior de la casa. Cuando toda la comida sacrificial está preparada, la mujer de la casa empieza a realizar el ritual haciendo una reverencia profunda ante el altar y reza a los dioses del hogar como Teoju, Seungju, Samsin y Jowang frotándose las manos. En algunos casos, la casa de la mujer ofrece una oración en frente del altar. En cambio, se ofrendan solamente los alimentos sacrificiales para [[Chilseong](/topic/SieteEstrellas)](/topic/Chilseong), [[Cheuksin](/topic/Diosaqueviveenlaletrina)](/topic/Cheuksin), Madangsin, y [[Munsin](/topic/DiosdelaPuerta)](/topic/Munsin) sin realizar ningún procedimiento del ritual.

El gosa es un elemento esencial para llevar a cabo la adoración a los dioses del hogar ya que este ritual se realiza para atraer directamente a los dioses relacionados al hogar. Asimismo, el gosa no solo se efectua en el primer mes del calendario lunar, sino también en el otoño después de la época de la cosecha como una forma de agradecer a los dioses por la buena cosecha.
Gosa is the term used for a range of rituals held to pray for peace and well-being to the household gods, or gasin, including [[Seongju](/topic/HouseGuardianGod)](/topic/Seongju) (House Guardian God), [[Teoju](/topic/LandTutelaryGod)](/topic/Teoju) (Land Tutelary God), [[Jeseok](/topic/GodofChildbirth)](/topic/Jeseok) (Goddess of Childbirth), [[Samsin](/topic/HouseholdDeities)](/topic/Samsin) (Goddess of Childbearing) and [[Jowang](/topic/KitchenGod)](/topic/Jowang) (Kitchen Deity).

The ritual, generally held during the tenth lunar month, takes the form of a comprehensive worship rite for the many guardian gods around the house. According to [[Dongguksesigi](/topic/ARecordoftheSeasonalCustomsoftheEasternKingdom)](/topic/Dongguksesigi) (A Record of the Seasonal Customs of the Eastern Kingdom), “In the tenth lunar month, which was the best month of the year (sangdal), homes held shaman rituals for the household gods, with rice cake and fruits as sacrificial food.”

After an auspicious date is picked for the rite, taboos are observed to keep impurities out, with a taboo rope hung over the gate (geumjul) and a layer of red clay (hwangto) sprinkled out front. Once the taboo rope was hung, family members took extra caution to refrain from unclean acts and kept within the grounds of the house. The main sacrificial foods for the rite were rice cake and alcohol. Two types of rice cake were prepared: sirutteok, made of thin layers of cake with red bean filling; and baekseolgi, steamed as a thick white block without layer –the latter an offering to Samsin, the Goddess of Childbearing, who lives in the inner chamber of the women’s quarters. When the sacrificial foods are set up, the woman of the house begins the rite by bowing, followed by a prayer as she rubs her palms together (bison) or delivers an invocation. For [[Chilseong](/topic/SevenStars)](/topic/Chilseong) (Seven Stars), [[Cheuksin](/topic/OuthouseDeity)](/topic/Cheuksin) (Outhouse God), Madangsin (Garden God) and [[Munsin](/topic/GateGod)](/topic/Munsin) (Gate God), only sacrifices are offered, without other ritual procedures.

Gosa is central to the worship of household gods, a rite that brings these spirits and their importance to light. The ritual is sometimes held in the first lunar month but in most cases takes place after the fall harvest as a way of delivering thanks to the gods for a good harvest.

Regional variations of the term gosa include antaek (rite for peace in the house), antaekgosa gido (prayer), dosinje (prayer ceremony), and sirugosa (rice cake steamer rite).
내용고사를 지낼 때는 좋은 날을 가려서 [대문](/topic/대문)에 금색(禁索)을 치고, [황토](/topic/황토)를 깔아 바깥에서 부정이 들지 않도록 금기한다. 집안사람도 금색을 친 뒤에는 외출을 삼가고 부정한 일을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제물은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주로 [시루떡](/topic/시루떡)과 술을 준비한다. 시루떡은 켜가 있는 시루떡과 켜가 없는 백설기를 만든다. 백설기는 [안방](/topic/안방)에 있는 산신(産神)인 삼신에게 바치는 떡이다. 제사는 주부가 제물을 차린 뒤에 배례(拜禮) 하고 손을 모아 [비손](/topic/비손)을 하거나 축원을 하면서 기원한다. 중요한 [가신](/topic/가신)인 터주, 성주, 삼신, 조왕 등에 제물을 차리고 배례와 축원한다. 이 밖에 칠성, 측신, [[마당](/topic/마당)신](/topic/마당신), 문신 등에게는 제물만 놓아둔다. 고사를 지낼 때 [마을](/topic/마을) 수호신에게 제물을 바치고 축원하는 경우가 있지만 제물만 바치기도 한다. 이러한 고사는 중부지방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행해지며, 지역에 따라 명칭이 다르거나 주부가 아닌 주인 남자가 행하기도 한다.
내용고사를 지낼 때는 좋은 날을 가려서 [대문](/topic/대문)에 금색(禁索)을 치고, [황토](/topic/황토)를 깔아 바깥에서 부정이 들지 않도록 금기한다. 집안사람도 금색을 친 뒤에는 외출을 삼가고 부정한 일을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제물은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주로 [시루떡](/topic/시루떡)과 술을 준비한다. 시루떡은 켜가 있는 시루떡과 켜가 없는 백설기를 만든다. 백설기는 [안방](/topic/안방)에 있는 산신(産神)인 삼신에게 바치는 떡이다. 제사는 주부가 제물을 차린 뒤에 배례(拜禮) 하고 손을 모아 [비손](/topic/비손)을 하거나 축원을 하면서 기원한다. 중요한 [가신](/topic/가신)인 터주, 성주, 삼신, 조왕 등에 제물을 차리고 배례와 축원한다. 이 밖에 칠성, 측신, [[마당](/topic/마당)신](/topic/마당신), 문신 등에게는 제물만 놓아둔다. 고사를 지낼 때 [마을](/topic/마을) 수호신에게 제물을 바치고 축원하는 경우가 있지만 제물만 바치기도 한다. 이러한 고사는 중부지방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행해지며, 지역에 따라 명칭이 다르거나 주부가 아닌 주인 남자가 행하기도 한다.
형태고사는 여러 [가신](/topic/가신)에 대한 종합적 제의(祭儀)이다. 『[동국세시기](/topic/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시월이라 상달이라고 하여 무당을 데려다가 성조신을 맞아 떡과 과일을 놓고 [안택](/topic/안택)하기를 기도 한다.”라는 기록이 있다. 최남선은 ‘고[수레](/topic/수레), 고사, 굿’을 같은 어원으로 보아서 작은 의례를 ‘고수레’라고 하고 고사는 굿의 규모는 아닌 중간 크기에 해당하는 의례라고 하였다. 지역에 따라 ‘안택(安宅)’, ‘안택고사(安宅告祀)’, ‘기도(祈禱)’, ‘기도제(祈禱祭)’, ‘도신제(禱神祭)’, ‘시루고사’, ‘사주(祀主)대접’이라고 한다.
형태고사는 여러 [가신](/topic/가신)에 대한 종합적 제의(祭儀)이다. 『[동국세시기](/topic/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시월이라 상달이라고 하여 무당을 데려다가 성조신을 맞아 떡과 과일을 놓고 [안택](/topic/안택)하기를 기도 한다.”라는 기록이 있다. 최남선은 ‘고[수레](/topic/수레), 고사, 굿’을 같은 어원으로 보아서 작은 의례를 ‘고수레’라고 하고 고사는 굿의 규모는 아닌 중간 크기에 해당하는 의례라고 하였다. 지역에 따라 ‘안택(安宅)’, ‘안택고사(安宅告祀)’, ‘기도(祈禱)’, ‘기도제(祈禱祭)’, ‘도신제(禱神祭)’, ‘시루고사’, ‘사주(祀主)대접’이라고 한다.
지역사례경기도 의정부와 동두천 지역에서는 시월은 상달이라 하여 한 해 동안 지은 농사의 [수확](/topic/수확)에 감사하는 고사를 지낸다. 시기는 무오날[戊午日]이 가장 좋다고 한다. 무오날에 고사를 지내면 굿하는 것보다 낫기 때문에 무오날이 없을 때에는 10월 초 또는 하순에 지내기도 한다. 10월 스무날은 손돌이 죽은 날이라고 하여 이날 집고사를 지내도 무방하다.

고양시 일산동구 성석동에서는 말날이나 돼지날에 고사를 지낸다. 말은 항상 잘 뛰고 씩씩해서 좋고 돼지는 부자가 된다고 하여 이날을 길일로 택한다. 이때 집안신을 모신 성주항아리와 [안방](/topic/안방) 제석항아리에는 쌀을 갈아 넣고, 뒤꼍의 [터줏가리](/topic/터줏가리)에는 벼를 새로 갈아 넣은 다음 고사떡을 놓고 빈다. 고사떡은 집의 중심이 되는 상량의 상량시루인 성주시루, 삼신에게 올리는 제석시루, 터주의 터주시루 등 세 개의 시루를 쪄서 올린다. 성주시루는 삼신에게 올리는 흰쌀과 팥, [수수](/topic/수수)를 켜켜이 넣고 찐 시루이다. 제석시루는 백설기로 작은 시루에 찐다. 또한 떡을 한 조각씩 그릇에 담아 [부엌](/topic/부엌)의 조왕, [외양간](/topic/외양간), [대문](/topic/대문)의 수문장, [우물](/topic/우물)의 용왕 등 집안신이 있는 곳곳에 놓는다. 떡과 함께 막걸리를 부어 놓고 할머니나 안주인이 손을 비비면서 풍농과 집안의 무고(無故), 재수(財數) 등을 기원한다.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도에서는 10월에 올리는 [안택](/topic/안택)고사를 ‘가을시루’, 섣달그믐에 올리는 고사를 ‘시루고사’라고 한다. 가을시루는 시월상달이라고 해서 부녀자들이 [시루떡](/topic/시루떡)을 장만하여 ‘시루정성’을 올리는 것이다. 햇곡식으로 시루떡을 장만하여 “햇곡식을 수확해서 사람이 먼저 먹기가 조심스러워 조상님, 성주님께 먼저 햇곡식을 올렸으니 많이 운감하시고 집안이 잘되게 해 달라.”는 내용의 치성을 드린다. 시루고사는 섣달그믐날 저녁 무렵 집안의 평안과 풍농을 기원하기 위해 지낸다. 고사에 올리는 제물은 시루, 머리가 있는 생선(조기, 숭어), 나물, 약주 등이다. 고사를 지내는 장소는 성주님이 계신 [마루](/topic/마루)이다. 성주를 모신 곳에 쌀[뒤주](/topic/뒤주)를 놓아둔다. 여기에서 조상님과 성주님을 위한 고사를 지낸다.

강원도 강릉지역의 안택고사는 기도제, 성주제, 사주대접이라고도 한다. 토지신께는 [오곡](/topic/오곡)(五穀)이 풍등(豐登)하고 육축(六畜)이 번성할 것을 기원한다. 성주에게는 가옥과 토목의 건조 및 가족의 안녕을 빈다. 조왕에게는 화재가 나지 않게 잘 보우(保佑)해 달라고 축원을 한다. 성주에는 메, [정화수](/topic/정화수), 나물, [주과포](/topic/주과포), 어육, 백설기를 올린다. 토지신에게는 메, 국, 주과포, 어육이나 황계(黃鷄)를 쓴다. 조왕에게는 메, 국, 주과포, 어육을 올린다. 이때 시루떡은 쓰지 않는다. 고사의 말미에는 가족 구성원의 이름과 생년월일을 부르면서 소지를 올린다. 고사를 위해 [금줄](/topic/금줄)을 쳐 놓으면 가족 구성원은 죽은 짐승이나 화재 등을 보아서는 안 된다. 상가(喪家) 출입도 금한다.

평창군 용평면에서는 음력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 이전에 택일하여 가내의 일 년 무사와 발전을 기원하는 뜻으로 성주, 조왕 등을 위하는 안택제를 올린다. 보통 가주(家主)가 직접 지내며 때로 무당이나 보살을 불러서 지내기도 한다. 안택 날을 받으면 대문간에 왼새끼를 꼬아 [창호지](/topic/창호지)를 군데군데 꽂고 숯이나 [솔[가지](/topic/가지)](/topic/솔가지)를 꽂은 금줄을 치며, [황토](/topic/황토)를 가져다 듬성듬성 뿌려 놓아 부정한 잡인이 집으로 들어오는 것을 금한다. 금줄은 안택이 끝나면 걷어서 불에 태운다. 안방에서 먼저 고사를 지낸 뒤 부엌이나 [장독대](/topic/장독대)로 이동하여 지낸다. 고사를 지낼 때 소지를 올린다. 외양간에서는 소를 위해 군웅신 소지를 올리기도 한다. 안택이 끝나면 [창호지](/topic/창호지)를 실과 함께 걸어서 조왕(부엌)에 걸어둔다. 안택은 가을 추수가 끝난 다음에 하는 경우도 있다.

영호남지역에서는 흔히 고사를 도신(禱神) 또는 도신제(禱神祭)라 부른다. 경상남도 창원지역에서는 10월 추수 뒤 집집마다 떡과 나물을 차리고 집안의 평안을 빈다. 이를 ‘[비손](/topic/비손)(제미, 도신)’ 이라고 한다. 함양지역에서는 안택고사를 위해 무당을 불러서 정초에 행한다. 무당은 날짜를 정하거나 [토정비결](/topic/토정비결)을 이용하기도 한다. 안택은 먼저 부엌에서 시작한다. 이를 조왕택(竈王宅)이라 한다. 조왕경(竈王經)을 읽는 것으로 안택이 시작된다. 그다음 안방으로 옮겨서 한다. 이것을 안택(安宅)이라 하고 안택경(安宅經)을 읽는다고 한다. 제물은 떡, 과일 등을 사용한다. 어물은 올리지 않는다. 제물은 부엌에서 지낸 것을 그대로 안방으로 옮겨 사용한다고 한다. 고사가 끝나면 제물은 집주인과 무당이 반반씩 나누어 가진다.

전라북도지역에서는 고사 때 집집마다 시루떡을 한다. 안방에 삼신제왕을 모시고 외양간, 사랑, [머슴](/topic/머슴)방, 나락가리, 쌀뒤주, 장광 등 곳곳에 음식을 조금씩 차려 놓는다. 10월의 첫 오(午)자가 들어가는 말날이나 주인의 [생기복덕](/topic/생기복덕)이 맞는 날에 안주인이 비손하면서 마음속으로 간단하게 축원한다.
向家里的[城主](/topic/城主),[宅基神](/topic/宅基神),祭释,[三神](/topic/三神),[灶王](/topic/灶王)等家神祈愿安宁的仪礼。

“告祀”主要在阴历十月进行,是以各种家神为对象所进行的综合性祭礼。《[东国岁时记](/topic/东国岁时记)》中记载道,“十月又称上月,请巫师到家里来,迎接‘成造神’,摆好[米糕](/topic/米糕)和水果,祈求家里平安。”各地区称谓各有不同,分别称为“[安宅](/topic/安宅)”,“安宅告祀”,“祈祷”,“祷神祭”,“[甑子](/topic/甑子)告祀”等。

进行告祀时,一般选择吉日,在大门口拉[禁绳](/topic/禁绳),撒[黄土](/topic/黄土),以防外部[不净](/topic/不净)之物进入。拉上禁绳后,家里人禁止外出,并注意不做不净的事。主要祭品是米糕和酒。米糕选用垒成多层的甑糕和单层白米甑糕。白米甑糕是供奉屋里的产神——“三神”的。祭祀是由女主人摆好祭品后,向宅基神,城主,三神,灶王等叩拜并[摩祷](/topic/摩祷)。此外,[七星](/topic/七星),[厕神](/topic/厕神),院神,[门神](/topic/门神)等前面,只摆放祭品。

告祀与家神密切相关,是以这些神为中心的仪礼,因此是家庭信仰的核心。告祀虽在正月进行,有时也在秋季秋收后进行,这时有很强秋收感恩祭的色彩。
Gosa es un término para referirse a una amplia gama de rituales efectuados para rezar por la paz y el bienestar a los dioses del hogar como [[Seongju](/topic/DiosProtectordelHogar)](/topic/Seongju), [[Teoju](/topic/DiosTutelardelaTierra)](/topic/Teoju), Jaeseok, [[Samsin](/topic/Diosdelhogar)](/topic/Samsin) y [[Jowang](/topic/DiosdelaCocina)](/topic/Jowang).

El gosa es un ritual integral de la adoración a los dioses del hogar que se realiza generalmente en el décimo mes del calendario lunar. Según el , “en el décimo mes del calendario lunar que se considera el mejor mes del año, cada hogar lleva a cabo un ritual chamánico de la adoración a los dioses del hogar con un pastel de arroz y frutas como alimentos sacrificiales”. El ritual de la adoración a los dioses del hogar se denomina también “antaek”, “antaekgosa”, “gido”, “dosinje” o “sirugosa".

Una vez fijada la fecha auspiciada para la celebración del ritual, un geumjul se extiende de un lado a otro de la entrada de la casa, se salpica el hwangto fuera de la casa para que no entren las impurezas en la casa. Después de tener el geumjul extendido, los miembros de la familia solo se quedan en casa sin salir de la casa y tienen especial cuidado para no cometer actos impuros. El principal alimento sacrificial para ofrendar es el pastel de arroz y el licor. Se preparan dos tipos del pastel de arroz: sirutteok con varias capas delagas y baekseolgi sin capas. El pastel de arroz, baekseolgi se prepara como una ofrenda sacrificial a la diosa del parto, Samsin que vive en la habitación interior de la casa. Cuando toda la comida sacrificial está preparada, la mujer de la casa empieza a realizar el ritual haciendo una reverencia profunda ante el altar y reza a los dioses del hogar como Teoju, Seungju, Samsin y Jowang frotándose las manos. En algunos casos, la casa de la mujer ofrece una oración en frente del altar. En cambio, se ofrendan solamente los alimentos sacrificiales para [[Chilseong](/topic/SieteEstrellas)](/topic/Chilseong), [[Cheuksin](/topic/Diosaqueviveenlaletrina)](/topic/Cheuksin), Madangsin, y [[Munsin](/topic/DiosdelaPuerta)](/topic/Munsin) sin realizar ningún procedimiento del ritual.

El gosa es un elemento esencial para llevar a cabo la adoración a los dioses del hogar ya que este ritual se realiza para atraer directamente a los dioses relacionados al hogar. Asimismo, el gosa no solo se efectua en el primer mes del calendario lunar, sino también en el otoño después de la época de la cosecha como una forma de agradecer a los dioses por la buena cosecha.
Gosa is the term used for a range of rituals held to pray for peace and well-being to the household gods, or gasin, including [[Seongju](/topic/HouseGuardianGod)](/topic/Seongju) (House Guardian God), [[Teoju](/topic/LandTutelaryGod)](/topic/Teoju) (Land Tutelary God), [[Jeseok](/topic/GodofChildbirth)](/topic/Jeseok) (Goddess of Childbirth), [[Samsin](/topic/HouseholdDeities)](/topic/Samsin) (Goddess of Childbearing) and [[Jowang](/topic/KitchenGod)](/topic/Jowang) (Kitchen Deity).

The ritual, generally held during the tenth lunar month, takes the form of a comprehensive worship rite for the many guardian gods around the house. According to [[Dongguksesigi](/topic/ARecordoftheSeasonalCustomsoftheEasternKingdom)](/topic/Dongguksesigi) (A Record of the Seasonal Customs of the Eastern Kingdom), “In the tenth lunar month, which was the best month of the year (sangdal), homes held shaman rituals for the household gods, with rice cake and fruits as sacrificial food.”

After an auspicious date is picked for the rite, taboos are observed to keep impurities out, with a taboo rope hung over the gate (geumjul) and a layer of red clay (hwangto) sprinkled out front. Once the taboo rope was hung, family members took extra caution to refrain from unclean acts and kept within the grounds of the house. The main sacrificial foods for the rite were rice cake and alcohol. Two types of rice cake were prepared: sirutteok, made of thin layers of cake with red bean filling; and baekseolgi, steamed as a thick white block without layer –the latter an offering to Samsin, the Goddess of Childbearing, who lives in the inner chamber of the women’s quarters. When the sacrificial foods are set up, the woman of the house begins the rite by bowing, followed by a prayer as she rubs her palms together (bison) or delivers an invocation. For [[Chilseong](/topic/SevenStars)](/topic/Chilseong) (Seven Stars), [[Cheuksin](/topic/OuthouseDeity)](/topic/Cheuksin) (Outhouse God), Madangsin (Garden God) and [[Munsin](/topic/GateGod)](/topic/Munsin) (Gate God), only sacrifices are offered, without other ritual procedures.

Gosa is central to the worship of household gods, a rite that brings these spirits and their importance to light. The ritual is sometimes held in the first lunar month but in most cases takes place after the fall harvest as a way of delivering thanks to the gods for a good harvest.

Regional variations of the term gosa include antaek (rite for peace in the house), antaekgosa gido (prayer), dosinje (prayer ceremony), and sirugosa (rice cake steamer rite).
지역사례경기도 의정부와 동두천 지역에서는 시월은 상달이라 하여 한 해 동안 지은 농사의 [수확](/topic/수확)에 감사하는 고사를 지낸다. 시기는 무오날[戊午日]이 가장 좋다고 한다. 무오날에 고사를 지내면 굿하는 것보다 낫기 때문에 무오날이 없을 때에는 10월 초 또는 하순에 지내기도 한다. 10월 스무날은 손돌이 죽은 날이라고 하여 이날 집고사를 지내도 무방하다.

고양시 일산동구 성석동에서는 말날이나 돼지날에 고사를 지낸다. 말은 항상 잘 뛰고 씩씩해서 좋고 돼지는 부자가 된다고 하여 이날을 길일로 택한다. 이때 집안신을 모신 성주항아리와 [안방](/topic/안방) 제석항아리에는 쌀을 갈아 넣고, 뒤꼍의 [터줏가리](/topic/터줏가리)에는 벼를 새로 갈아 넣은 다음 고사떡을 놓고 빈다. 고사떡은 집의 중심이 되는 상량의 상량시루인 성주시루, 삼신에게 올리는 제석시루, 터주의 터주시루 등 세 개의 시루를 쪄서 올린다. 성주시루는 삼신에게 올리는 흰쌀과 팥, [수수](/topic/수수)를 켜켜이 넣고 찐 시루이다. 제석시루는 백설기로 작은 시루에 찐다. 또한 떡을 한 조각씩 그릇에 담아 [부엌](/topic/부엌)의 조왕, [외양간](/topic/외양간), [대문](/topic/대문)의 수문장, [우물](/topic/우물)의 용왕 등 집안신이 있는 곳곳에 놓는다. 떡과 함께 막걸리를 부어 놓고 할머니나 안주인이 손을 비비면서 풍농과 집안의 무고(無故), 재수(財數) 등을 기원한다.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도에서는 10월에 올리는 [안택](/topic/안택)고사를 ‘가을시루’, 섣달그믐에 올리는 고사를 ‘시루고사’라고 한다. 가을시루는 시월상달이라고 해서 부녀자들이 [시루떡](/topic/시루떡)을 장만하여 ‘시루정성’을 올리는 것이다. 햇곡식으로 시루떡을 장만하여 “햇곡식을 수확해서 사람이 먼저 먹기가 조심스러워 조상님, 성주님께 먼저 햇곡식을 올렸으니 많이 운감하시고 집안이 잘되게 해 달라.”는 내용의 치성을 드린다. 시루고사는 섣달그믐날 저녁 무렵 집안의 평안과 풍농을 기원하기 위해 지낸다. 고사에 올리는 제물은 시루, 머리가 있는 생선(조기, 숭어), 나물, 약주 등이다. 고사를 지내는 장소는 성주님이 계신 [마루](/topic/마루)이다. 성주를 모신 곳에 쌀[뒤주](/topic/뒤주)를 놓아둔다. 여기에서 조상님과 성주님을 위한 고사를 지낸다.

강원도 강릉지역의 안택고사는 기도제, 성주제, 사주대접이라고도 한다. 토지신께는 [오곡](/topic/오곡)(五穀)이 풍등(豐登)하고 육축(六畜)이 번성할 것을 기원한다. 성주에게는 가옥과 토목의 건조 및 가족의 안녕을 빈다. 조왕에게는 화재가 나지 않게 잘 보우(保佑)해 달라고 축원을 한다. 성주에는 메, [정화수](/topic/정화수), 나물, [주과포](/topic/주과포), 어육, 백설기를 올린다. 토지신에게는 메, 국, 주과포, 어육이나 황계(黃鷄)를 쓴다. 조왕에게는 메, 국, 주과포, 어육을 올린다. 이때 시루떡은 쓰지 않는다. 고사의 말미에는 가족 구성원의 이름과 생년월일을 부르면서 소지를 올린다. 고사를 위해 [금줄](/topic/금줄)을 쳐 놓으면 가족 구성원은 죽은 짐승이나 화재 등을 보아서는 안 된다. 상가(喪家) 출입도 금한다.

평창군 용평면에서는 음력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 이전에 택일하여 가내의 일 년 무사와 발전을 기원하는 뜻으로 성주, 조왕 등을 위하는 안택제를 올린다. 보통 가주(家主)가 직접 지내며 때로 무당이나 보살을 불러서 지내기도 한다. 안택 날을 받으면 대문간에 왼새끼를 꼬아 [창호지](/topic/창호지)를 군데군데 꽂고 숯이나 [솔[가지](/topic/가지)](/topic/솔가지)를 꽂은 금줄을 치며, [황토](/topic/황토)를 가져다 듬성듬성 뿌려 놓아 부정한 잡인이 집으로 들어오는 것을 금한다. 금줄은 안택이 끝나면 걷어서 불에 태운다. 안방에서 먼저 고사를 지낸 뒤 부엌이나 [장독대](/topic/장독대)로 이동하여 지낸다. 고사를 지낼 때 소지를 올린다. 외양간에서는 소를 위해 군웅신 소지를 올리기도 한다. 안택이 끝나면 [창호지](/topic/창호지)를 실과 함께 걸어서 조왕(부엌)에 걸어둔다. 안택은 가을 추수가 끝난 다음에 하는 경우도 있다.

영호남지역에서는 흔히 고사를 도신(禱神) 또는 도신제(禱神祭)라 부른다. 경상남도 창원지역에서는 10월 추수 뒤 집집마다 떡과 나물을 차리고 집안의 평안을 빈다. 이를 ‘[비손](/topic/비손)(제미, 도신)’ 이라고 한다. 함양지역에서는 안택고사를 위해 무당을 불러서 정초에 행한다. 무당은 날짜를 정하거나 [토정비결](/topic/토정비결)을 이용하기도 한다. 안택은 먼저 부엌에서 시작한다. 이를 조왕택(竈王宅)이라 한다. 조왕경(竈王經)을 읽는 것으로 안택이 시작된다. 그다음 안방으로 옮겨서 한다. 이것을 안택(安宅)이라 하고 안택경(安宅經)을 읽는다고 한다. 제물은 떡, 과일 등을 사용한다. 어물은 올리지 않는다. 제물은 부엌에서 지낸 것을 그대로 안방으로 옮겨 사용한다고 한다. 고사가 끝나면 제물은 집주인과 무당이 반반씩 나누어 가진다.

전라북도지역에서는 고사 때 집집마다 시루떡을 한다. 안방에 삼신제왕을 모시고 외양간, 사랑, [머슴](/topic/머슴)방, 나락가리, 쌀뒤주, 장광 등 곳곳에 음식을 조금씩 차려 놓는다. 10월의 첫 오(午)자가 들어가는 말날이나 주인의 [생기복덕](/topic/생기복덕)이 맞는 날에 안주인이 비손하면서 마음속으로 간단하게 축원한다.
의의고사는 원칙적으로 지연(地緣)적인 집터의 [가신](/topic/가신)(家神)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신들을 중심으로 하는 의례이기 때문에 가정신앙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고사는 정월에 지내기도 하지만 가을 추수 뒤에 지내는 경우가 많아서 추수감사제의 성격이 강하다. 그리고 사람이 거주하는 공간을 하나의 우주로 인식하고 교섭하고자 한 우리 조상들의 신앙관과 세계관을 파악할 수 있는 가정신앙 제의(祭儀)이다. 오늘날 [아파트](/topic/아파트)나 [양옥](/topic/양옥)집의 건축 구조는 우리의 이러한 가신의 좌정 공간이나 문화를 사라[지게](/topic/지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조선상식](/topic/조선상식)문답 (최남선, 동명사, 1948)
영동지역의 [가신](/topic/가신)설화와 주술가고 (김선풍, 관동어문학 1, 관동대학교 국어교육학과, 1978)
한국의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 (장주근, 형설출판사, 1981)
한국민족대백과[사전](/topic/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東國歲時記, 강원도의 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경기도의 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경상남도의 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평창군의 민간신앙 (김선풍․장정룡․김경남, 평창군, 2003)
의의고사는 원칙적으로 지연(地緣)적인 집터의 [가신](/topic/가신)(家神)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신들을 중심으로 하는 의례이기 때문에 가정신앙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고사는 정월에 지내기도 하지만 가을 추수 뒤에 지내는 경우가 많아서 추수감사제의 성격이 강하다. 그리고 사람이 거주하는 공간을 하나의 우주로 인식하고 교섭하고자 한 우리 조상들의 신앙관과 세계관을 파악할 수 있는 가정신앙 제의(祭儀)이다. 오늘날 [아파트](/topic/아파트)나 [양옥](/topic/양옥)집의 건축 구조는 우리의 이러한 가신의 좌정 공간이나 문화를 사라[지게](/topic/지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조선상식](/topic/조선상식)문답 (최남선, 동명사, 1948)
영동지역의 [가신](/topic/가신)설화와 주술가고 (김선풍, 관동어문학 1, 관동대학교 국어교육학과, 1978)
한국의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 (장주근, 형설출판사, 1981)
한국민족대백과[사전](/topic/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東國歲時記, 강원도의 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경기도의 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경상남도의 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평창군의 민간신앙 (김선풍․장정룡․김경남, 평창군, 2003)
가곡면 안택고사(말명은 굴뚝뒤의 말명단지 앞에서 지낸다)
13237
가곡면 안택고사(말명은 굴뚝뒤의 말명단지 앞에서 지낸다)
터주고사
13224
터주고사
정월대보름고사(성주)
13239
정월대보름고사(성주)
가곡면 안택고사(말명에 제를 올리고 난 후 술잔을 뿌리고 있다)
13238
가곡면 안택고사(말명에 제를 올리고 난 후 술잔을 뿌리고 있다)
가곡면 안택고사(칠성에 제를 올리고 술잔을 뿌리는 모습)
13236
가곡면 안택고사(칠성에 제를 올리고 술잔을 뿌리는 모습)
가곡면 안택고사(칠성에 제를 올리고 있다)
13235
가곡면 안택고사(칠성에 제를 올리고 있다)
가곡면 안택고사(칠성에 제를 올리는 모습)
13234
가곡면 안택고사(칠성에 제를 올리는 모습)
가곡면 안택고사(조왕은 부엌에서 지낸다)
13233
가곡면 안택고사(조왕은 부엌에서 지낸다)
가곡면 안택고사(삼신은 삼신바가지 앞에서 지내며, 이 날은 도장문을 열어 놓고 세준을 같이 지냈다)
13232
가곡면 안택고사(삼신은 삼신바가지 앞에서 지내며, 이 날은 도장문을 열어 놓고 세준을 같이 지냈다)
가곡면 안택고사(산 앞에서 소지를 올린다)
13231
가곡면 안택고사(산 앞에서 소지를 올린다)
가곡면 안택고사(말명은 굴뚝뒤의 말명단지 앞에서 지낸다)
13237
가곡면 안택고사(말명은 굴뚝뒤의 말명단지 앞에서 지낸다)
터주고사
13224
터주고사
정월대보름고사(성주)
13239
정월대보름고사(성주)
가곡면 안택고사(말명에 제를 올리고 난 후 술잔을 뿌리고 있다)
13238
가곡면 안택고사(말명에 제를 올리고 난 후 술잔을 뿌리고 있다)
가곡면 안택고사(칠성에 제를 올리고 술잔을 뿌리는 모습)
13236
가곡면 안택고사(칠성에 제를 올리고 술잔을 뿌리는 모습)
가곡면 안택고사(칠성에 제를 올리고 있다)
13235
가곡면 안택고사(칠성에 제를 올리고 있다)
가곡면 안택고사(칠성에 제를 올리는 모습)
13234
가곡면 안택고사(칠성에 제를 올리는 모습)
가곡면 안택고사(조왕은 부엌에서 지낸다)
13233
가곡면 안택고사(조왕은 부엌에서 지낸다)
가곡면 안택고사(삼신은 삼신바가지 앞에서 지내며, 이 날은 도장문을 열어 놓고 세준을 같이 지냈다)
13232
가곡면 안택고사(삼신은 삼신바가지 앞에서 지내며, 이 날은 도장문을 열어 놓고 세준을 같이 지냈다)
가곡면 안택고사(산 앞에서 소지를 올린다)
13231
가곡면 안택고사(산 앞에서 소지를 올린다)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