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버드나무 [가지](/topic/가지)를 엮어서 만든 납작한 상자로 옷이나 책을 담는데 쓰며 ‘동고리’라고도 한다. 주로 서울 지역의 작은 굿에서 고리짝의 등쪽을 오동나무 채로 긁어 장구대신 사용한다. 타원형 혹은 직사각형의 형태가 있으며, 근래에는 대나무로 만든 [바구니](/topic/바구니)를 사용하기도 한다. |
---|---|
mp3Cnt | 0 |
wkorname | 시지은 |
정의 | 버드나무 [가지](/topic/가지)를 엮어서 만든 납작한 상자로 옷이나 책을 담는데 쓰며 ‘동고리’라고도 한다. 주로 서울 지역의 작은 굿에서 고리짝의 등쪽을 오동나무 채로 긁어 장구대신 사용한다. 타원형 혹은 직사각형의 형태가 있으며, 근래에는 대나무로 만든 [바구니](/topic/바구니)를 사용하기도 한다. | 내용 | 서울 지역의 무속에서 주로 장사(葬事)나 [삼우제](/topic/삼우제), 진오귀 등 앉아서 하는 굿인 진자리와 치성을 드릴 때 사용한다. 한 손으로 고리짝을 엎어서 받치고 한 손으로 고리짝 바닥을 긁으며 무가(巫歌)를 부르는데, 그 까칠까칠한 소리가 넋을 달래거나, 악귀를 퇴치하고 신령을 부른다고 믿는다. 고리짝 대신 키[箕]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무당이 장구를 치지 않고 고리짝을 긁으면서 노래도 하고 춤도 추는데 이것을 ‘고리짝 풍류’라고 부른다. [무악](/topic/무악)(巫樂)에 고리짝을 사용하게 된 것은, 갑오개혁(甲午改革) 무렵에 사람들 모르게 무사(巫事)를 해야 했기 때문이라는 의견도 있지만, 이보다 훨씬 이전의 원시적인 무악(巫樂)을 배제할 수 없다. 고리짝은 주로 서울 지역 무속에서 사용한다. 서울 봉화산 도당의 [신위행](/topic/신위행), [서울새남굿](/topic/서울새남굿)의 [이상순](/topic/이상순), 남이[장군](/topic/장군)당의 [이명옥](/topic/이명옥), [왕십리 아기씨당](/topic/왕십리아기씨당)의 [김옥렴](/topic/김옥렴) 등이 고리짝을 [가지](/topic/가지)고 있으며 작은 굿에 사용하고 있다. 강화도 외포리 곶창굿의 [정정애](/topic/정정애)도 고리짝을 가지고 있는데 주로 진자리에서 사용한다고 한다. | 참고문헌 | [조선무속의 연구](/topic/조선무속의연구) (赤松智城·秋葉隆, 심우성 옮김, 동문선, 1991)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서울시ㆍ경기도ㆍ강원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서울굿의 무구 연구 (최진아, 서울굿의 이해, 한국무속학회, 민속원, 2007) 서울, 경기북부 지역 한양굿 (서마리아, 민속악 논문집 7, 국립민속국악원, 2007) | 형태 | 무속에서 사용하는 고리짝은 보통 높이가 9.5~13㎝, 지름이 30~48㎝ 정도이며, [바구니](/topic/바구니) 모양으로 원형ㆍ타원형ㆍ직사각형이 있다. 고리짝을 긁는 채는 보통 오동나무를 쓰는데 길이가 30~40㎝ 정도이다. |
---|
고리짝 | 64895 고리짝 |
---|---|
고리짝 | 64612 고리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