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세바지장단

한국무속신앙사전
황해도굿과 서울ㆍ경기 북부 지역 굿에서 무당이 신을 청하는 청배무가인 를 부를 때 연주하는 [장단](/topic/장단). 만수바지라고도 하는 만세바지는 ‘만세(혹은 만수)’와 ‘바지’의 합성어다. 보통 황해도굿에서는 만세바지, 서울굿에서는 만수바지라고 많이 부른다. ‘만세(萬歲)’ 혹은 ‘만수(萬壽)’는 인간의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의미이고, ‘바지’는 ‘받는다’라는 의미로서 [악사](/topic/악사)가 무당 노래의 뒷부분을 받는 ‘[바라지](/topic/바라지)’를 의미한다. 만세바지나 만수바지는 주로 황해도, 서울, 경기도 등지의 강신무당이 신을 청하는 청배무가로 부른다.
definition
황해도굿과 서울ㆍ경기 북부 지역 굿에서 무당이 신을 청하는 청배무가인 를 부를 때 연주하는 [장단](/topic/장단). 만수바지라고도 하는 만세바지는 ‘만세(혹은 만수)’와 ‘바지’의 합성어다. 보통 황해도굿에서는 만세바지, 서울굿에서는 만수바지라고 많이 부른다. ‘만세(萬歲)’ 혹은 ‘만수(萬壽)’는 인간의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의미이고, ‘바지’는 ‘받는다’라는 의미로서 [악사](/topic/악사)가 무당 노래의 뒷부분을 받는 ‘[바라지](/topic/바라지)’를 의미한다. 만세바지나 만수바지는 주로 황해도, 서울, 경기도 등지의 강신무당이 신을 청하는 청배무가로 부른다.
mp3Cnt
0
wkorname
이용식
정의황해도굿과 서울ㆍ경기 북부 지역 굿에서 무당이 신을 청하는 청배무가인 를 부를 때 연주하는 [장단](/topic/장단). 만수바지라고도 하는 만세바지는 ‘만세(혹은 만수)’와 ‘바지’의 합성어다. 보통 황해도굿에서는 만세바지, 서울굿에서는 만수바지라고 많이 부른다. ‘만세(萬歲)’ 혹은 ‘만수(萬壽)’는 인간의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의미이고, ‘바지’는 ‘받는다’라는 의미로서 [악사](/topic/악사)가 무당 노래의 뒷부분을 받는 ‘[바라지](/topic/바라지)’를 의미한다. 만세바지나 만수바지는 주로 황해도, 서울, 경기도 등지의 강신무당이 신을 청하는 청배무가로 부른다.
내용황해도굿에서 만세바지의 장단은 산유장단 혹은 모뇨리장단이라고도 한다. 산유장단의 정확한 어원과 유래는 알 수 없다. 모뇨리장단은 이 장단으로 노래하는 무가가 “모여랴오 모여랴오”라고 시작하는 노랫말에서 비롯됐다.

황해도굿의 만세바지장단은 2소박과 3소박이 2+3+2+3으로 합쳐진 혼소박 4박(10/8박자) 장단에 얹어 부른다. 만신이 장구잽이를 향해 서서 한 장단을 부르면 장구잽이가 한 장단을 받아 부르는 ‘메기고 받는’ 형식이다. 그러나 만신의 [메기는 소리](/topic/메기는소리)는 내용에 따라 노랫말이 길어져서 두 장단 이상으로 부르기도 한다.

황해도굿에서는 만세바지장단의 변형 장단이 나타난다. 무당이 청배무가로 부르는 무가는 세 종류가 있다. 따라서 이를 부르는 장단도 세 종류가 있다. 이는 보통 빠르기의 혼소박 4박(10/8박자) 장단인 만세바지장단, 조금 느린 3소박 4박(12/8박자) 장단인 긴만세바지장단, 조금 빠른 2소박 4박(4/4박자) 장단인 자진만세바지장단이 있다. 이렇게 템포가 다른 세 [가지](/topic/가지) 장단(긴-보통-자진)을 전통음악에서는 세틀[三機]형식이라고 한다. 이는 고려시대부터 보이는 매우 오래된 음악 형식이다.

![무속신앙 만세바지장단 1](/upload/img/20170112/20170112101312_t_.jpg)

서울굿의 만수바지장단도 예전에는 혼소박 4박 장단에 얹어 불렀다가 최근에 3소박 4박(12/8박자) 장단에 얹어 부른다. 서울굿의 만수바지장단은 자진굿거리이다. 자진굿거리는 굿거리를 빨리 치는 것이다. 만신이 장구잽이를 향해 서서 반 장단을 부르면 장구잽이가 반 장단을 받는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되었다. 서울굿에서 무가를 부를 때 문서가 많거나 선배 무당이 장구를 잡으면 거리를 주관하는 무당이 장구 잡은 무당에게 를 시작하도록 예의를 갖추는 법도가 있다고 한다.

![무속신앙 만세바지장단 2](/upload/img/20170112/20170112101259_t_.jpg)

경기도 남부 지역에서는 제석거리 등을 거행하면서 를 부른다. 경기도 남부의 는 [가래](/topic/가래)조장단에 얹어 부른다. 이는 3+2+3의 혼소박 3박(8/8박자) 장단으로 되어 있다. 무당의 메기는 소리와 [악사](/topic/악사)의 받는 소리가 4장단씩 교대된다. 가래조장단은 [경기도도당굿](/topic/경기도도당굿)에서 주로 쓰인다. 군웅굿에서 악사가 앉은청배를 할 때 주로 연주한다. 그러나 요즘 앉은청배를 할 때 가래조장단은 어렵기 때문에 거의 연주하지 않고 도살풀이장단으로 연주하는 경우가 많다. 는 본래 전통적인 경기도 남부 지역의 무가가 아니라 서울의 가 유입되어 정착된 것이다.

![무속신앙 만세바지장단 3](/upload/img/20170112/20170112101246_t_.jpg)
참고문헌전통음악의 박ㆍ분박의 변화에 대한 고찰 (이보형, 한국음악산고 3, 한양대학교, 1992)
황해도 굿의 음악인류학 (이용식, 집문당, 2005)
서울굿의 [장단](/topic/장단)사용과 장단구조의 연계성 (김혜정, 한국무속학 12, 한국무속학회, 2006)
경기 무가의 음악적 특징 (박정경, 경기굿, 경기도국악당, 2008)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