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 세습무 무복

한국무속신앙사전
동해안 세습무 무복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세습무가 굿을 할 때 입는 옷.
definition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세습무가 굿을 할 때 입는 옷.
mp3Cnt
0
wkorname
소황옥
정의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세습무가 굿을 할 때 입는 옷.
내용[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은 [남해안별신굿](/topic/남해안별신굿)에 비하여 축제적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역동적이라 할 수 있다. 별신굿에서 추는 무무(巫舞)로는 [푸너리춤](/topic/푸너리춤), [거무춤](/topic/거무춤), [밟이춤](/topic/밟이춤), 포(脯)춤, 중춤, [바라춤](/topic/바라춤), [거령산](/topic/거령산)춤 등으로 문당굿에서 무당과 양중들의 군무(群舞)로 추는 춤인 밟이춤과 거령산춤은 경남 동해안의 별신굿에만 있으며 [치마](/topic/치마)[저고리](/topic/저고리)의 기본 복식에 [전복](/topic/전복)을 입는다. 춤의 종류에 따라 치마저고리를 바꾸어 입을 뿐 [무복](/topic/무복)의 종류는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않다. 다만 포는 2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하나는 세존굿에서의 중춤에서 입고 있는 포로서 흰색 [고깔](/topic/고깔)과 함께 연두색 길에 색동을 넣은 넓은 소매의 포에 흰색 [한삼](/topic/한삼)이 달려 있다. 또 하나는 밟이춤을 추고 있는 [김용택](/topic/김용택)이 갓과 함께 착용하고 있는 포이다 이것은 [바지](/topic/바지)저고리 위에 한삼이 달린 색동소매의 저고리와 분홍치마를 연이어 붙인 [철릭](/topic/철릭) 형태의 의례적 용도로 입는 무복포라 할 수 있다. 한국복식의 의례복식의 고증적 측면에서 보면 조선시대의 철릭이나 [활옷](/topic/활옷)의 형태와는 차이가 많음을 알 수 있다.

동해안별신굿의 무복은 한마디로 조촐하다고 할 수 있다. 무당들은 굿을 하는 동안에 굿의 종류나 춤의 종류에 따라 간단한 무복을 착용한다. 치마저고리만을 무복으로 착용하거나 그 위에 남색의 전복을 덧입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별한 굿거리나 춤에 따라 표의(表衣)로서 포를 착용하거나 머리에 고깔 또는 화려하게 장식한 [화관](/topic/화관)를 쓰는 것으로 일관하고 있어 무복으로서의 특별한 양상은 찾아볼 수없다. 다만 단순함 속에서도 [두루마기](/topic/두루마기), [몽두리](/topic/몽두리), [쾌자](/topic/쾌자), 활옷, [원삼](/topic/원삼), 철릭 등 크로스오버(cross over)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의례용 겉옷에서 보이고 있는 복식 대부분은 색동소매와 한삼이라 할 수 있다. 동해안세습무 무복의 형태적 특성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조선시대의 기록에 보이는 여령 정재복식의 황초삼의 어깨 부분의 색동 장식과 오색 한삼을 무속의 오방색 상징과 융합시키고 여기에 정재복에서 중요한 복식 구성으로서의 화관을 춤을 출 때의 무복으로 연관시킨다면 동해안별신굿에서 통상적으로 보이는 동해안 지역 무복 형태를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부산시 동래구 박영달 일가의 동해안별신굿(1977.6)에서는 색동소매의 [동다리](/topic/동다리)가 보이지만(그림1) 부산시 해운대에서 행해진 부산 미포 별신굿(1976.12)에서는 [전립](/topic/전립)에 한삼이 달린 단색의 몽두리 형태의 포를 입은 [김석출](/topic/김석출) 화랭이가 장구를 메고 신칼을 든 무녀와 마주 서서 노래 부르며 춤을 추고 있다. 또한 경북 영일군 구룡포읍에서 행해진 동해안세습무(1971.12)의 [김유선](/topic/김유선) 무녀는 종이로 만든 고깔을 쓰고 소매와 길의 색상이 다른 동다리 형태의 포에 흰색 한삼을 달아 입고 있는 것을 보면 앞에서 언급한 색동소매의 의미를 시대적인 무복 패션의 변용으로 볼 수도 있다.

동해안별신굿의 머리장식으로는 흰색 띠, 달비, 화관, [비녀](/topic/비녀), 꽂이, 갓, 고깔 등을 볼 수 있다. 머리띠는 얇은 흰 천을 가늘게 감아 머리에 띠를 두르고 여분으로 꽃을 만들어 장식한다. 달비는 길이가 일정치 않으며 머리카락을 두 갈래로 묶어 연결한 것으로 여자의 긴 생머리카락이며 어른 손 한 웅큼 정도의 굵기로 만든다. 굿을 할 때 머리를 감싸며 머리를 단정하게 만들어 주고, 가발처럼 쓴 후 굿 동작에서 자유롭게하기 위해 단단하게 고정한다.(그림3) 굿거리 이후 땀범벅이 된 달비는 [세탁](/topic/세탁)하지 않고 뜨거운 방바닥에 놓아 습기를 말려 다시 사용한다고 한다. 달비는 굿판에서 구경하는 할머니들이 잘라준 머리채도 있고, 세습무에서 무녀들에게 중요한 상징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절대 태우지 않고 소중히 관리하는 중요한 [장신구](/topic/장신구)이다. [명주](/topic/명주)수건은 무녀들이 [가체](/topic/가체)한 머리 전체를 가릴 때 사용하며, 머리 전체를 감싸는 형태이다. 화관은 문굿에서 밝이춤을 출 때 머리에 쓰며, 화려하고 아름답게 장식한다.(그림4, 5) 붉은 [댕기](/topic/댕기)는 [갑사](/topic/갑사)로 만들며 홍색이고 흰 머리띠와 함께 달비를 고정하고 머리모양을 장식하는 역할을 한다. 갓은 [성주굿](/topic/성주굿)이나 심청굿 권위가 높은 굿거리에서 주로 사용한다. 고깔은 명주천이나 종이로 접어 쓰기도 한다. 세존굿에서 추는 중춤, 중도둑잡이굿, 양중이 [염불](/topic/염불)을 구송할 때 등에 주로 흰 천이나 흰 종이를 사용한다.
참고문헌[남해안별신굿](/topic/남해안별신굿)(KBS 코리아, 2003년 4월 15일 방영)
팔도굿 (황루시, 대원사, 1992)
큰무당 우옥주 유품 (국립민속박물관, 1995)
한국의 굿 (하효길 외, 도서출판 民俗苑, 2002)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 (박경신·장휘주, 화산문화, 2002)
사진으로 보는 민속의 어제와 오늘 1 (국립민속박물관, 2003)
민속과 종교 (비교민속학회, 2003)
한국복식의 역사 (백영자·최해율, 경춘사, 2004)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조선후기연향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민속원, 2005)
조선시대 몽두의에 관한 연구 (박성실, 한국복식학회 55, 2005)
한국의 무신도 (홍태한·박우택, 민속원, 2008)
동해안 세습무 무복
64870
동해안 세습무 무복
동해안 세습무 무복
64869
동해안 세습무 무복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