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최영장군사당

한국무속신앙사전
[최영 [장군](/topic/장군)](/topic/최영장군)을 신으로 모신 [사당](/topic/사당). 경남 통영시 사량면 금평리 150[번지](/topic/번지)에 있으며, ‘장군당(將軍堂)’으로도 부른다. 1983년 7월 20일에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2호’로 지정되었다.
definition
[최영 [장군](/topic/장군)](/topic/최영장군)을 신으로 모신 [사당](/topic/사당). 경남 통영시 사량면 금평리 150[번지](/topic/번지)에 있으며, ‘장군당(將軍堂)’으로도 부른다. 1983년 7월 20일에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2호’로 지정되었다.
mp3Cnt
0
wkorname
유승훈
정의[최영 [장군](/topic/장군)](/topic/최영장군)을 신으로 모신 [사당](/topic/사당). 경남 통영시 사량면 금평리 150[번지](/topic/번지)에 있으며, ‘장군당(將軍堂)’으로도 부른다. 1983년 7월 20일에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2호’로 지정되었다.
정의[최영 [장군](/topic/장군)](/topic/최영장군)을 신으로 모신 [사당](/topic/사당). 경남 통영시 사량면 금평리 150[번지](/topic/번지)에 있으며, ‘장군당(將軍堂)’으로도 부른다. 1983년 7월 20일에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2호’로 지정되었다.
将崔莹将军供奉为神的祠堂。

崔莹将军是高丽末期的名将和忠臣,曾阻挡倭寇侵略,立下赫赫战功。但是在抗击[李成桂](/topic/李成桂)军队的过程中战败被俘,惨遭斩首。崔莹将军一生致力于为守卫高丽,最终人生冤屈离世,百姓们将他视为伟大的英雄,他也是民间信仰中被神化的对象。

供奉崔莹将军的代表性祠堂有开城德物山,庆尚南道统营市蛇梁面琴坪里以及济州市楸子面大西里等。

德物山“崔莹将军祠堂”曾是韩国中部地区巫师们的最高圣地。朝鲜时代曾设有供奉崔莹将军神灵的专职巫女。国家在此处征收税金,充当国家财政的一部分。直至日本殖民统治时期,德物山顶峰曾有过一个叫做山上洞的巫师村。据说此处有供奉崔莹的将军堂,供奉将军夫人的夫人堂以及倡夫堂等。在这些神堂中,神皆以塑像或画像被供奉。在包括统营在内的南海岸地区,也有许多将崔莹供奉为神的村庄,这与崔莹将军在南海岸地区阻挡倭寇侵略的历史事实有关联。

统营崔莹将军祠堂又称为“将军堂”。崔莹将军祠堂内有崔莹将军的肖像画和牌位。每年阴历正月十四日与腊月十四日会举行祠堂祭。

济州崔莹将军祠堂被推定为建于高丽末期。传说崔莹将军于1374 年( 恭愍王23 年) 为镇压济州岛地区动乱,在乘船前往的途中遭遇风浪,随后躲避于楸子岛。在该地躲避期间,崔莹将军向岛民们教授了使用渔网的捕鱼方法。为了缅怀将军,岛民们建立了祠堂。每年阴历七月十五日与除夕,人们会祈祷渔事渔业丰收,举行祭祀。崔莹将军祠堂可以说是历史人物与实际历史事实结合,升为村庄神的典型例子。
내용최영[장군](/topic/장군)[사당](/topic/사당) 안에는 [최영 장군](/topic/최영장군)의 초상화와 ‘고려공신최영장군영위(高麗功臣崔瑩將軍靈位)’라 적혀 있는 [위패](/topic/위패)가 있다. [영정](/topic/영정)의 오른쪽에는 말 옆에서 [언월도](/topic/언월도)를 들고 서 있는 마부상의 그림이 있다. 왼쪽에는 연꽃 위에서 [합장](/topic/합장)하고 있는 다섯 [선녀](/topic/선녀)를 그린 그림이 걸려 있다.

최영장군사당에서는 매년 음력 정월 열나흗날과 섣달 열나흗날에 사당제를 지낸다고 한다.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에서는 진촌[마을](/topic/마을)의 동제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동제를 정월 열나흗날 밤 10시부터 지내며, 이를 ‘제만’ 또는 ‘제만모신다’라고 한다. 옛날에는 만호(萬戶)와 면장(面長)들이 [제관](/topic/제관)을 하였다고 전해지지만 근래에는 정결한 사람으로 제관과 유사(有司)를 뽑아 지낸다. 제관으로 선정되면 일주일 전부터 목욕재계하고 근신해야 한다. 제물은 메․떡․돼지고기․채소․건어 등이며, 제관집에서 준비한다. [제일](/topic/제일)이 되면 제관과 유사가 함께 제당에 올라가서 [분향](/topic/분향)재배, [음복](/topic/음복) 등 순으로 제를 지낸다. 이튿날에는 마을 유지들이 유사 집에 모여 제물을 나눠 먹으면서 제사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또한 동네 주민들이 해변에서 [제상](/topic/제상)을 차린 뒤에 바다에 치성을 드린다. 옛날에는 제사가 끝나면 사당 앞[마당](/topic/마당)에서 풍물을 치는 등 재미있게 놀았다고 한다.
참고문헌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경상남도 (문화재관리국, 1972)
남해안의 민속신앙 (하종갑, 우석, 1984)
국역 통영향토지 (통영문화원, 1996)
[문헌설화](/topic/문헌설화)와 구비전승에 나타난 고려의 기억-문화적 기억 속의 [최영 [장군](/topic/장군)](/topic/최영장군) (백은영, 한국중세사연구 23, 2007)
This is a shrine is dedicated to General Choe Yeong (1316-1388), a commander and loyal subject of late Goryeo (918-1392).

General Choe Yeong was revered for military distinction including his defense of the kingdom against Japanese invasion. He was however defeated by mutiny leader [Yi Seong-gye](/topic/YiSeong-gye), who went on to found Joseon (1392-1910) and beheaded. Because he met a tragic death while trying to defend the declining Goryeo, Choe came to be deified and worshipped as a shamanic god.

Shrines dedicated to General Choe Yeong remain today in several locations, including Mt. Deongmul in Gaeseong; in Tongyeong,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on Chuja Island in Jeju.

The General Choe Yeong Shrine on Mt. Deongmul in Gaeseong, Hwanghae Province, was considered the most sacred site among shamans of the central regions. In Joseon, a shaman was assigned to this shrine to exclusively worship the spirit of General Choe Yeong and the state collected taxes from the shrine to finance government projects. On the summit of Mt. Deongmul, there was a village for shamans named Sansangdong, a community that lasted until the Japanese occupation. The village was home to a shrine for General Choe Yeong called Janggundang (General’s Shrine); Buindang, where Choe’s wife was enshrined; and Changbudang, a shrine for the Clown God, where each deity was enshrined in the form of clay figurines or paintings.

The southern coast is also home to a number of shrines for General Choe Yeong, since this was where the commander fought off the invading Japanese. The shrine in Tongyeong is also called Janggundang and enshrined inside are a portrait of the general and a spirit tablet. Rituals are observed on the fourteenth day of the first and last lunar months of the year.

The General Choe Yeong Shrine in Jeju is believed to have been built in late Goryeo. In the 23rd year of King Gongmin’s reign (1374), the general was on a boat headed to Jeju Island where a rebellion had erupted but a sea storm forced him to seek shelter on Chuja Island, where he stayed for a period of time and taught the villagers to use fishing nets. Legends say that the villagers built the shrine in his honor after he left, and rituals have been observed each year on the fifteenth day of the seventh lunar month and on the last day of the lunar calendar to pray for a good harvest and big catch.
Choeyeongjanggunsadang es el término que se refiere a un santuario dedicado al general Choe Yeong como una deidad.

El general Choe Yeong (1316-1388) era un comandante militar y súbdito leal a finales del reino Goryeo (918-1392), venerado por haber defendido el reino contra la invasión japonesa. Sin embargo el general Choe fue derrotado por el líder de la revuelta, [Yi Seong-gye](/topic/YiSeong-gye), que fundó más tarde la dinastía Joseon (1392-1910) y murió decapitado. Como él perdió la vida de manera trágica defendiendo el reino declinante Goryeo, Choe Yeong fue deificado y adorado como un dios chamánico.

Hoy en día, los santuarios dedicados al general Choe Yeong quedan bien conservados en varias ubicaciones, incluyendo el monte de Deongmulsan en Gaeseong; Saryang-myeon de Tongyeong de la provincia de Gyeongsangnam-do; y Chuja-myeon de la isla de Jeju-do.

El santuario del general Choe en el monte de Deongmulsan se consideraba como el sitio más sagrado entre los chamanes provenientes de las regiones centrales del país. En la dinastía Joseon, se asignaba a un chamán para que venerara exclusivamente al general Ghoe Yeong en dicho santuario. Además el gobierno financiaba proyectos estatales con los impuestos cobrados en el santuario. En la cima del monte de Deongmulsan, había una aldea para los chamanes llamada Sansangdong, una comunidad que duró hasta la ocupación japonesa en Corea. En esta aldea, se encontraban el santuario del general Choe Yeong llamado janggundang; el santuario llamado buindang donde la esposa del general estaba enclaustrada; y el santuario del dios de los payasos llamado changbudang. En estos santuarios, se veneraba cada deidad en la forma de pequeña figura de arcilla o pintura. Asimismo, muchos santuarios del general Choe Yeong estaban situados en las regiones de la costa oeste donde el comandante luchó contra la invasión japonesa.

El santuario en Tongyeong tiene otro nombre de Janggundang, y en su interior, están enclaustrados el retrato del general Choe y su tablilla espiritual. En el santuario, tiene lugar un ritual cada 14 de enero y diciembre del calendario lunar.

Se cree que fue construido el santuario dedicado al general Choe Yeong en la isla de Jeju-do a finales del reino Goryeo. En el vigésimo tercer año del reinado de Gongmin (1374), el general embarcó en un barco rumbo a la isla de Jeju-do donde una rebelión había estallado, pero una tormenta en el mar le obligó a buscar refugio en la isla de Chujado en la que el general permaneció por un período de tiempo enseñando a los habitantes de la isla a utilizar redes de pesca. Cuentan las leyendas que los isleños construyeron el santuario para adorar a Choe Yeong después de que el general se había marchado. Desde entonces los rituales se han llevado a cabo cada año, el 15 de septiembre y el último día del calendario lunar para pedirle por una buena cosecha y una pesca abundante.
将崔莹将军供奉为神的祠堂。

崔莹将军是高丽末期的名将和忠臣,曾阻挡倭寇侵略,立下赫赫战功。但是在抗击[李成桂](/topic/李成桂)军队的过程中战败被俘,惨遭斩首。崔莹将军一生致力于为守卫高丽,最终人生冤屈离世,百姓们将他视为伟大的英雄,他也是民间信仰中被神化的对象。

供奉崔莹将军的代表性祠堂有开城德物山,庆尚南道统营市蛇梁面琴坪里以及济州市楸子面大西里等。

德物山“崔莹将军祠堂”曾是韩国中部地区巫师们的最高圣地。朝鲜时代曾设有供奉崔莹将军神灵的专职巫女。国家在此处征收税金,充当国家财政的一部分。直至日本殖民统治时期,德物山顶峰曾有过一个叫做山上洞的巫师村。据说此处有供奉崔莹的将军堂,供奉将军夫人的夫人堂以及倡夫堂等。在这些神堂中,神皆以塑像或画像被供奉。在包括统营在内的南海岸地区,也有许多将崔莹供奉为神的村庄,这与崔莹将军在南海岸地区阻挡倭寇侵略的历史事实有关联。

统营崔莹将军祠堂又称为“将军堂”。崔莹将军祠堂内有崔莹将军的肖像画和牌位。每年阴历正月十四日与腊月十四日会举行祠堂祭。

济州崔莹将军祠堂被推定为建于高丽末期。传说崔莹将军于1374 年( 恭愍王23 年) 为镇压济州岛地区动乱,在乘船前往的途中遭遇风浪,随后躲避于楸子岛。在该地躲避期间,崔莹将军向岛民们教授了使用渔网的捕鱼方法。为了缅怀将军,岛民们建立了祠堂。每年阴历七月十五日与除夕,人们会祈祷渔事渔业丰收,举行祭祀。崔莹将军祠堂可以说是历史人物与实际历史事实结合,升为村庄神的典型例子。
내용최영[장군](/topic/장군)[사당](/topic/사당) 안에는 [최영 장군](/topic/최영장군)의 초상화와 ‘고려공신최영장군영위(高麗功臣崔瑩將軍靈位)’라 적혀 있는 [위패](/topic/위패)가 있다. [영정](/topic/영정)의 오른쪽에는 말 옆에서 [언월도](/topic/언월도)를 들고 서 있는 마부상의 그림이 있다. 왼쪽에는 연꽃 위에서 [합장](/topic/합장)하고 있는 다섯 [선녀](/topic/선녀)를 그린 그림이 걸려 있다.

최영장군사당에서는 매년 음력 정월 열나흗날과 섣달 열나흗날에 사당제를 지낸다고 한다.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에서는 진촌[마을](/topic/마을)의 동제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동제를 정월 열나흗날 밤 10시부터 지내며, 이를 ‘제만’ 또는 ‘제만모신다’라고 한다. 옛날에는 만호(萬戶)와 면장(面長)들이 [제관](/topic/제관)을 하였다고 전해지지만 근래에는 정결한 사람으로 제관과 유사(有司)를 뽑아 지낸다. 제관으로 선정되면 일주일 전부터 목욕재계하고 근신해야 한다. 제물은 메․떡․돼지고기․채소․건어 등이며, 제관집에서 준비한다. [제일](/topic/제일)이 되면 제관과 유사가 함께 제당에 올라가서 [분향](/topic/분향)재배, [음복](/topic/음복) 등 순으로 제를 지낸다. 이튿날에는 마을 유지들이 유사 집에 모여 제물을 나눠 먹으면서 제사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또한 동네 주민들이 해변에서 [제상](/topic/제상)을 차린 뒤에 바다에 치성을 드린다. 옛날에는 제사가 끝나면 사당 앞[마당](/topic/마당)에서 풍물을 치는 등 재미있게 놀았다고 한다.
참고문헌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경상남도 (문화재관리국, 1972)
남해안의 민속신앙 (하종갑, 우석, 1984)
국역 통영향토지 (통영문화원, 1996)
[문헌설화](/topic/문헌설화)와 구비전승에 나타난 고려의 기억-문화적 기억 속의 [최영 [장군](/topic/장군)](/topic/최영장군) (백은영, 한국중세사연구 23, 2007)
This is a shrine is dedicated to General Choe Yeong (1316-1388), a commander and loyal subject of late Goryeo (918-1392).

General Choe Yeong was revered for military distinction including his defense of the kingdom against Japanese invasion. He was however defeated by mutiny leader [Yi Seong-gye](/topic/YiSeong-gye), who went on to found Joseon (1392-1910) and beheaded. Because he met a tragic death while trying to defend the declining Goryeo, Choe came to be deified and worshipped as a shamanic god.

Shrines dedicated to General Choe Yeong remain today in several locations, including Mt. Deongmul in Gaeseong; in Tongyeong,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on Chuja Island in Jeju.

The General Choe Yeong Shrine on Mt. Deongmul in Gaeseong, Hwanghae Province, was considered the most sacred site among shamans of the central regions. In Joseon, a shaman was assigned to this shrine to exclusively worship the spirit of General Choe Yeong and the state collected taxes from the shrine to finance government projects. On the summit of Mt. Deongmul, there was a village for shamans named Sansangdong, a community that lasted until the Japanese occupation. The village was home to a shrine for General Choe Yeong called Janggundang (General’s Shrine); Buindang, where Choe’s wife was enshrined; and Changbudang, a shrine for the Clown God, where each deity was enshrined in the form of clay figurines or paintings.

The southern coast is also home to a number of shrines for General Choe Yeong, since this was where the commander fought off the invading Japanese. The shrine in Tongyeong is also called Janggundang and enshrined inside are a portrait of the general and a spirit tablet. Rituals are observed on the fourteenth day of the first and last lunar months of the year.

The General Choe Yeong Shrine in Jeju is believed to have been built in late Goryeo. In the 23rd year of King Gongmin’s reign (1374), the general was on a boat headed to Jeju Island where a rebellion had erupted but a sea storm forced him to seek shelter on Chuja Island, where he stayed for a period of time and taught the villagers to use fishing nets. Legends say that the villagers built the shrine in his honor after he left, and rituals have been observed each year on the fifteenth day of the seventh lunar month and on the last day of the lunar calendar to pray for a good harvest and big catch.
Choeyeongjanggunsadang es el término que se refiere a un santuario dedicado al general Choe Yeong como una deidad.

El general Choe Yeong (1316-1388) era un comandante militar y súbdito leal a finales del reino Goryeo (918-1392), venerado por haber defendido el reino contra la invasión japonesa. Sin embargo el general Choe fue derrotado por el líder de la revuelta, [Yi Seong-gye](/topic/YiSeong-gye), que fundó más tarde la dinastía Joseon (1392-1910) y murió decapitado. Como él perdió la vida de manera trágica defendiendo el reino declinante Goryeo, Choe Yeong fue deificado y adorado como un dios chamánico.

Hoy en día, los santuarios dedicados al general Choe Yeong quedan bien conservados en varias ubicaciones, incluyendo el monte de Deongmulsan en Gaeseong; Saryang-myeon de Tongyeong de la provincia de Gyeongsangnam-do; y Chuja-myeon de la isla de Jeju-do.

El santuario del general Choe en el monte de Deongmulsan se consideraba como el sitio más sagrado entre los chamanes provenientes de las regiones centrales del país. En la dinastía Joseon, se asignaba a un chamán para que venerara exclusivamente al general Ghoe Yeong en dicho santuario. Además el gobierno financiaba proyectos estatales con los impuestos cobrados en el santuario. En la cima del monte de Deongmulsan, había una aldea para los chamanes llamada Sansangdong, una comunidad que duró hasta la ocupación japonesa en Corea. En esta aldea, se encontraban el santuario del general Choe Yeong llamado janggundang; el santuario llamado buindang donde la esposa del general estaba enclaustrada; y el santuario del dios de los payasos llamado changbudang. En estos santuarios, se veneraba cada deidad en la forma de pequeña figura de arcilla o pintura. Asimismo, muchos santuarios del general Choe Yeong estaban situados en las regiones de la costa oeste donde el comandante luchó contra la invasión japonesa.

El santuario en Tongyeong tiene otro nombre de Janggundang, y en su interior, están enclaustrados el retrato del general Choe y su tablilla espiritual. En el santuario, tiene lugar un ritual cada 14 de enero y diciembre del calendario lunar.

Se cree que fue construido el santuario dedicado al general Choe Yeong en la isla de Jeju-do a finales del reino Goryeo. En el vigésimo tercer año del reinado de Gongmin (1374), el general embarcó en un barco rumbo a la isla de Jeju-do donde una rebelión había estallado, pero una tormenta en el mar le obligó a buscar refugio en la isla de Chujado en la que el general permaneció por un período de tiempo enseñando a los habitantes de la isla a utilizar redes de pesca. Cuentan las leyendas que los isleños construyeron el santuario para adorar a Choe Yeong después de que el general se había marchado. Desde entonces los rituales se han llevado a cabo cada año, el 15 de septiembre y el último día del calendario lunar para pedirle por una buena cosecha y una pesca abundante.
역사[최영 [장군](/topic/장군)](/topic/최영장군)은 고려 말의 대표적인 명장이자 충신으로, 홍건적과 왜구를 물리치는 등 혁혁한 전공(戰功)을 세웠다. 하지만 [이성계](/topic/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으로 요동정벌이 좌절되었고, 이성계의 군대와 싸우다가 잡혀서 유배를 당하였으며, 결국 개경에서 참수(斬首)되었다. 고려를 끝까지 지키다가 억울한 죽임을 당한 최영 장군은 민중에게 위대한 영웅으로 인식되었고, 민간신앙에서 신격화의 대상이 되었다. 최영 장군은 덕물산을 비롯한 우리나라의 중부지방에서 신령으로 모셔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남해군 평산, 통영시 사량도와 산양 등 남해안 지역에서도 제당의 신으로 숭배되고 있다.

남해안의 민간신앙에서 최영 장군을 높이 숭상하는 까닭은 최영 장군이 왜구를 물리친 역사적 사실과 관련되어 있다. 최영 장군은 양광전라도왜구체복사(楊廣全羅道倭寇體覆使)로서 왜구를 격파하였으며, 남해군 평산포 수군 진영을 순시한 뒤 미조항에 들러 수군을 격려하였다고 전해진다. 환갑이 넘은 나이로 왜구를 토벌한 공로가 인정되어 해도도통사(海道都統使)에 오르기도 하였다.

최영장군사당이 있는 곳은 과거 진(鎭)이 있었다고 하여 ‘진촌(鎭村)’으로 불렸다. 1934년에 간행된 『통영군지』에서는 “사량도는 군의 서쪽 수로(水路) 50리에 있다. 옛날에는 수군만호진(水軍萬戶鎭)이 있었다”라고 하였다. 사량도는 통영시와 남해군의 중간에 있는 섬으로, 남해로 들어오는 왜구를 방어할 수 있는 요충지로서 수군의 진이 설치된 곳이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으로 인하여 왜구를 격파한 최영장군을 숭배하는 [사당](/topic/사당)을 만들고, 왜구로부터 [마을](/topic/마을)을 보호하는 인물신으로 모신 것이다.
역사[최영 [장군](/topic/장군)](/topic/최영장군)은 고려 말의 대표적인 명장이자 충신으로, 홍건적과 왜구를 물리치는 등 혁혁한 전공(戰功)을 세웠다. 하지만 [이성계](/topic/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으로 요동정벌이 좌절되었고, 이성계의 군대와 싸우다가 잡혀서 유배를 당하였으며, 결국 개경에서 참수(斬首)되었다. 고려를 끝까지 지키다가 억울한 죽임을 당한 최영 장군은 민중에게 위대한 영웅으로 인식되었고, 민간신앙에서 신격화의 대상이 되었다. 최영 장군은 덕물산을 비롯한 우리나라의 중부지방에서 신령으로 모셔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남해군 평산, 통영시 사량도와 산양 등 남해안 지역에서도 제당의 신으로 숭배되고 있다.

남해안의 민간신앙에서 최영 장군을 높이 숭상하는 까닭은 최영 장군이 왜구를 물리친 역사적 사실과 관련되어 있다. 최영 장군은 양광전라도왜구체복사(楊廣全羅道倭寇體覆使)로서 왜구를 격파하였으며, 남해군 평산포 수군 진영을 순시한 뒤 미조항에 들러 수군을 격려하였다고 전해진다. 환갑이 넘은 나이로 왜구를 토벌한 공로가 인정되어 해도도통사(海道都統使)에 오르기도 하였다.

최영장군사당이 있는 곳은 과거 진(鎭)이 있었다고 하여 ‘진촌(鎭村)’으로 불렸다. 1934년에 간행된 『통영군지』에서는 “사량도는 군의 서쪽 수로(水路) 50리에 있다. 옛날에는 수군만호진(水軍萬戶鎭)이 있었다”라고 하였다. 사량도는 통영시와 남해군의 중간에 있는 섬으로, 남해로 들어오는 왜구를 방어할 수 있는 요충지로서 수군의 진이 설치된 곳이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으로 인하여 왜구를 격파한 최영장군을 숭배하는 [사당](/topic/사당)을 만들고, 왜구로부터 [마을](/topic/마을)을 보호하는 인물신으로 모신 것이다.
형태[사당](/topic/사당)은 단칸의 건물로서 목조와 시멘트를 사용하여 만들었으며, [지붕](/topic/지붕)은 [기와](/topic/기와)를 얹었다. 사당 건물은 6.6㎡ 남짓하며, 전체 넓이는 약 26.5㎡이다. [상량문](/topic/상량문)에 따르면 1952년쯤에 지어진 건물로서 문화재로 지정된 이후인 1984년에 보수작업을 거쳤다. 사당 주위에는 담벽을 쳤으며, 오른쪽에는 수령 200년이 넘는 팽나무가 우뚝 서 있다. 이 팽나무는 [최영](/topic/최영)[장군](/topic/장군)사당과 함께 제당을 구성하고 있는 신목(神木)이다. 이곳에서는 불임 여성들이 와서 [비손](/topic/비손) 하거나 어부들이 고기잡이 나갈 때 그 부인들이 와서 빌었다고 한다.
형태[사당](/topic/사당)은 단칸의 건물로서 목조와 시멘트를 사용하여 만들었으며, [지붕](/topic/지붕)은 [기와](/topic/기와)를 얹었다. 사당 건물은 6.6㎡ 남짓하며, 전체 넓이는 약 26.5㎡이다. [상량문](/topic/상량문)에 따르면 1952년쯤에 지어진 건물로서 문화재로 지정된 이후인 1984년에 보수작업을 거쳤다. 사당 주위에는 담벽을 쳤으며, 오른쪽에는 수령 200년이 넘는 팽나무가 우뚝 서 있다. 이 팽나무는 [최영](/topic/최영)[장군](/topic/장군)사당과 함께 제당을 구성하고 있는 신목(神木)이다. 이곳에서는 불임 여성들이 와서 [비손](/topic/비손) 하거나 어부들이 고기잡이 나갈 때 그 부인들이 와서 빌었다고 한다.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