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월도

한국무속신앙사전
언월도
무당이 사용하는 칼 중에서 가장 큰 칼. ‘월도(月刀)’라고도 한다. 언월(偃月)이라는 말은 초승달이라는 뜻이며 귀인이 될 여자의 골상(骨相)을 뜻하기도 한다.
definition
무당이 사용하는 칼 중에서 가장 큰 칼. ‘월도(月刀)’라고도 한다. 언월(偃月)이라는 말은 초승달이라는 뜻이며 귀인이 될 여자의 골상(骨相)을 뜻하기도 한다.
mp3Cnt
0
wkorname
변지선
정의무당이 사용하는 칼 중에서 가장 큰 칼. ‘월도(月刀)’라고도 한다. 언월(偃月)이라는 말은 초승달이라는 뜻이며 귀인이 될 여자의 골상(骨相)을 뜻하기도 한다.
내용무속신앙에서는 굿을 하는 과정에 [무악](/topic/무악)기(巫樂器)와 도검류(刀劍類), 무점구(巫占具), 소도구 등의 여러 [가지](/topic/가지) 무구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무구 중 하나가 [삼지창](/topic/삼지창)과 언월도이다. 이들은 도검류(刀劍類)에 속한다. 도검류에는 언월도, 삼지창, 신칼, [작두](/topic/작두)가 있으며 칼과 함께 무당의 무기 역할을 한다. 삼지창은 창과 창 자루로 나누어지며 창은 철로, 자루는 단단한 나무로 만든다. 날이 3개 혹은 4개 달린 창은 원래 [농기구](/topic/농기구)나 수렵 도구에서 발전된 것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여러 갈래로 나눠지는 창은 삼국시대부터 발견된다. 이것은 병구(兵具)에서도 사용되는데 무기로서의 성격뿐만 아니라 무구(巫具)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서울굿에서는 주로 군인 계통의 신인 [장군](/topic/장군), 신장, 군웅을 모실 때 언월도와 삼지창이 사용된다. 무당이 사용하는 신칼 중에서 가장 큰 칼인 언월도는 신의 성격을 나타내거나 신의 영험을 표현한다. 장군, 별성, 신장거리를 묶어서 대안주거리라고도 하며 대안주는 잘 차린 안주 혹은 상차림을 뜻한다. 대안주거리에서는 무당이 빨강, 노랑, 파랑 삼색기를 오른손에 월도를 들고 춤춘다. 이어서 월도나 삼지창에 갈비를 꽂아서 세운다. 여기서의 갈비는 큰 안주에 해당된다. 무당은 앉아서 월도를 세우거나 삼지창에 제물로 올린 갈비를 꽂아서 흔들리지 않게 세운다. 이를 ‘사슬(사실) 세운다’라고 한다. 사슬을 세웠으면 술잔을 사슬에 세 번 돌려서 굿을 의뢰한 사람들에게 주고 부채로 사슬을 쳐서 쓰러뜨린다. 사슬이 잘 세워지면 신이 흡족해하는 것으로 여긴다. 황해도굿의 사냥거리에서는 [경관만신](/topic/경관만신)이 상산막둥이를 데리고 사냥을 하러 나갈 때 이 칼을 가지고 나간다.

언월도는 무당이 신의 성격을 드러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도구이자 신의 영험함과 신의 감응(感應)을 굿판에 모인 사람들에게 보이기 위한 도구이다.
참고문헌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topic/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한국미술문화의 이해 (김원룡 감수, 예경, 1994)
무당 귀물 연구-「[삼국유사](/topic/삼국유사)」의 삼부인과 무당의 거울ㆍ칼ㆍ방울을 중심으로 (양종승, 생활문물연구 2, 국립민속박물관, 2001)
한국의 굿 (하효길 외, 도서출판 民俗苑, 2002)
형태이 칼은 칼 부분과 칼자루 부분으로 나뉜다. 칼 부분은 철(鐵)로 만들고 칼자루 부분은 단단한 나무로 둥그렇고 기다랗게 만든다. 칼날은 위가 넓고 끝이 뾰족하며 뒤로 젖혀져 있고 칼등은 두 갈래로 되어 아랫부분에 구멍을 뚫어서 삭모(削毛)를 달고 밑에는 용의 아가리가 있다. 칼자루에는 붉은 칠을 하였다. 언월도의 자루 윗부분은 나선형으로 제작된다. 방울이 부채와 함께 한 조를 이루는 것처럼 언월도는 [삼지창](/topic/삼지창)과 함께 한 조를 이룬다.
한국무속학회제주도 굿의 ‘공시풀이’ 고찰강소전2007
국립문화재연구소제주 칠머리당영등굿2007
민속원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전라남도·전라북도·제주도국립문화재연구소2008
언월도
64928
언월도
언월도
64668
언월도
언월도
64667
언월도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