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오장

한국무속신앙사전
동해안굿의 세존굿에서 중춤을 반주하는 [장단](/topic/장단).
definition
동해안굿의 세존굿에서 중춤을 반주하는 [장단](/topic/장단).
mp3Cnt
0
wkorname
윤동환
정의동해안굿의 세존굿에서 중춤을 반주하는 [장단](/topic/장단).
내용삼오장은 무당에 따라 삼오동이라고도 불린다. 삼오장은 3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악사](/topic/악사)에 따라 4장까지 구성되어 있다고도 한다. 삼오장 1장에서만 장구잽이가 “중아 중아 나리어 온다. 백팔염주 손에 들고 온다” 등의 [사설](/topic/사설)을 [장단](/topic/장단)에 맞춰 [구연](/topic/구연)하고, 2장 이하는 타악기 합주로만 연주한다. 각 장의 구분은 징의 타점과 빠르기에 따라 구분된다.

삼오장 1장은 총 2소박(♩)×40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징은 1, 6, 11, 21박에 친다. 또한 반주하는 악사가 “중아 중아 나리어 온다~”하며 26번째 박부터 2소박(♩)×5×3박까지 무가를 부르고, 나머지 2소박(♩)×5×5박은 타악으로 반주만 한다. 즉 간주는 2소박(♩)×5×5박으로 연주하고, 무가는 2소박(♩)×5×3박으로 부른다. 삼오장 1장에서 리듬의 반복 주기는 ♩×5박으로, 따라서 한 장단은 ♩×5칸으로 볼 수 있다.

![무속신앙 삼오장 표1](/upload/img/20170106/20170106160545_t_.jpg)

![무속신앙 삼오장 1](/upload/img/20170106/20170106160442_t_.jpg)

![무속신앙 삼오장 2](/upload/img/20170106/20170106160454_t_.jpg)

삼오장 1장에서 제1마루의 출현음은 모두 mi, la, do', re'이다. mi를 떨고 la로 종지하는 [메나리토리](/topic/메나리토리)이다. 제2마루와 제3마루의 출현음 및 토리도 동일하다. 제1마루와 제2마루의 선율형은 동일하게 mi-la-do'-la-mi-la로 나타나고, 제3마루만 mi-la-do'-la로 나타난다.삼오장 2장은 무가 없이 타악기의 연주로만 이루어진다. 2장은 1장보다 더욱 빠르게 연주되어 3+2(♩.+♩)소박을 단위로 리듬이 나타난다. 2장은 총 ♪×40박으로 이루어지는 셈이다. 삼오장 2장은 (♩.+♩)×2칸이 모여 1장단을 이루고, (♩.+♩+♩.+♩)×4장단이 모여 소마루를 이룬다. 징은 소마루를 단위로 제1, 2, 3, 5칸에 친다.

![무속신앙 삼오장 표2](/upload/img/20170106/20170106160557_t_.jpg)

![무속신앙 삼오장 3](/upload/img/20170106/20170106160510_t_.jpg)

삼오장 3장은 2장의 불규칙 리듬(3+2)에서 규칙적인 리듬(3)으로 바뀐다. 1장단은 ♩.×4박이다. 징은 두 장단을 주기로 하여, 제1장단의 제1, 2, 3박과 제2장단의 제1박에 4회를 침으로써 두 장단이 소마루를 이룬다.

![무속신앙 삼오장 표3](/upload/img/20170106/20170106160607_t_.jpg)

![무속신앙 삼오장 4](/upload/img/20170106/20170106160522_t_.jpg)

삼오장 4장은 현재 잘 쓰이지 않는다. 삼오장 4장은 ♩×4박으로 타악기 합주로만 연주되고, 징은 제1박에만 한 번 친다. 현재는 삼오장 3장까지만 연주하고 4장은 주로 생략한다고 한다.

![무속신앙 삼오장 5](/upload/img/20170106/20170106160534_t_.jpg)

반주를 하는 양중들이 삼오장을 연주할 때 무녀는 중의 흉내를 내며 춤추고, 각 가정과 동네의 복을 기원한다.
지역사례삼오장은 동해안 중부 지역(경상북도)과 동해안 남부 지역(부산·울산) [별신굿](/topic/별신굿)에서 모두 사용하는 [장단](/topic/장단)이다. 삼오장을 줄여서 간단히 칠 때는 배[기장](/topic/기장)을 치기도 한다.
참고문헌경남·경북 동해안 [무악](/topic/무악) 비교 연구 (장휘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열화당평안도 다리굿황루시 외1985
열화당황해도 지노귀굿김인회 외199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석사학위논문진도 씻김굿의 물질문화 연구최진아1999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동해안 오귀굿 구조의 현장론적 연구김형근2005
한국무속학회서울굿의 다양성과 구조김헌선2006
국립문화재연구소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전라남도·전라북도·제주도2008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남해안굿 갈래 연구김형근2009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