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신

한국무속신앙사전
삼신
아기의 출산과 성장 등을 관장하는 신으로, 무속신(巫俗神)이자 [가신](/topic/가신)(家神). 인간은 삼신의 점지로 태어나고, 수명은 [칠성신](/topic/칠성신)(七星神)이 맡는다고 한다. 삼신은 삼신할머니, [삼신단지](/topic/삼신단지), [삼신바[가지](/topic/가지)](/topic/삼신바가지), 삼신할망, 삼신할아버지, 세준할머니, 지앙할매 등으로 불린다. 여기서 지앙은 제왕(帝王)으로, 세준은 세존(世尊)을 각각 이른다. 이는 불교가 가미된 제석신을 의미한다.
definition
아기의 출산과 성장 등을 관장하는 신으로, 무속신(巫俗神)이자 [가신](/topic/가신)(家神). 인간은 삼신의 점지로 태어나고, 수명은 [칠성신](/topic/칠성신)(七星神)이 맡는다고 한다. 삼신은 삼신할머니, [삼신단지](/topic/삼신단지), [삼신바[가지](/topic/가지)](/topic/삼신바가지), 삼신할망, 삼신할아버지, 세준할머니, 지앙할매 등으로 불린다. 여기서 지앙은 제왕(帝王)으로, 세준은 세존(世尊)을 각각 이른다. 이는 불교가 가미된 제석신을 의미한다.
mp3Cnt
2
wkorname
김명자
정의아기의 출산과 성장 등을 관장하는 신으로, 무속신(巫俗神)이자 [가신](/topic/가신)(家神). 인간은 삼신의 점지로 태어나고, 수명은 [칠성신](/topic/칠성신)(七星神)이 맡는다고 한다. 삼신은 삼신할머니, [삼신단지](/topic/삼신단지), [삼신바[가지](/topic/가지)](/topic/삼신바가지), 삼신할망, 삼신할아버지, 세준할머니, 지앙할매 등으로 불린다. 여기서 지앙은 제왕(帝王)으로, 세준은 세존(世尊)을 각각 이른다. 이는 불교가 가미된 제석신을 의미한다.
어원삼신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있다. 우선 산육(産育)을 관장하는 면을 강조하여 산신(産神)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이 경우 산신이 삼신으로 음운 변화했다고 본다.

삼신은 삼신할머니와 삼신할아버지, 또는 삼신할머니 둘을 모시는 경우도 있다. 때로는 삼신 셋을 모시기도 하는데 그래서 삼신(三神)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곧 삼신의 삼을 숫자 삼(三)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특히 삼신(三神)으로 호칭되는 데에는 [단군](/topic/단군)신화에 등장하는 환인ㆍ환웅ㆍ단군의 삼신을 지칭한다는 설이 있지만 구체적인 논거는 없다. 이 밖에 산신신앙(山神信仰)과 관련시켜 산신(山神)으로 불리기도 하며, Kam 및 Sam과 어원을 함께하는 무신(巫神)이란 뜻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그러나 삼신에 대한 해석은 우리말이 삼이며, 여기서 파생된 ‘삼기다’[生]로부터 유래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내용삼신과 관련된 굿거리로는 부여 지역 축원굿에 삼신풀이가 등장하고, 군산 지역 씨끔굿에 삼신굿, 목포 지역 축원굿 가운데 삼신굿, 제주도 큰굿 가운데 삼신할망본풀이가 있다. 삼신굿만 독립적으로 하기도 한다. 해남 지역의 삼신굿이 이 경우에 속한다.

삼신의 유래와 관련된 [무속신화](/topic/무속신화)는 흔히 ‘[당금애기](/topic/당금애기)무가’라고 한다. 강릉 지역과 울진 지역 등 동해안 지역에서 굿할 때 기자(祈子)와 풍요를 위해 무당이 부르는 ‘시준굿(세존굿) 무가’를 말한다. 강릉의 ‘시준굿무가’는 김태곤이 1968년 1월에 사화선(당시 39세)이 구송한 무가를 채록하여 『한국무가집(韓國巫歌集)』 1권에 수록되었다. 울진 지역 역시 1968년 1월에 세습무 변연호(당시 41세)가 구송한 무가인 ‘세존굿무가’를 채록하여 『한국무가집』 1권에 수록하였다.

강릉 지역의 시준굿, 울진 지역의 세존굿무가에 등장하는 당금애기무가는 내용이 거의 같으나 강릉 지역 세존굿무가에 좀 더 많은 이야기가 첨가되어 있다. 강릉의 경우 ‘당곰애기’라고 한다. 이는 무당의 발음에서 온 차이일 뿐 당금애기와 같은 명칭이다.

강릉 지역의 세존굿무가를 중심으로 삼신의 유래를 소개한다. 이 신화 내용을 통해 삼신은 불(佛)줄을 타고난 존재이기 때문에 의례 때 제물도 육류나 어류를 절대 금하고 오로지 깨끗한 [정화수](/topic/정화수)와 밥을 올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집집마다 삼신이 있어서 아이를 태어나게 해 준다. 아주 먼 옛날 삼신도 없는 때에는 사람이 아직 태어나지 않았다. 원래 삼한 시준[世尊]님네는 하늘 위에 있는 천국에 살았으며, 글 한 자를 잘못 지어서 계축년 칠월 보름날 지상으로 정배되어 개비랑국[迦毗毘國] 정반왕(淨飯王)의 마야부인에게 잉태되어 사월 초파일 옆구리로 탄생했다.

석가여래 시준님은 세상에 태어난 육 년 만에 설산중(雪山中)에 들어가서 나무 열매를 따먹으며 육 년간 공부하여 불도(佛道)를 마련하고, 지장보살님네는 꽃을 마련하고, 삼한 시준님네는 자손을 불어나게 해주는 삼신을 마련한다.

삼한 시준님이 인간의 자손들을 세상에 태어나게 하고 그 자손들에게 명과 복을 주기 위해 세상으로 내려온다. 삼한 시준님은 ‘스님’이 되어 내려온다. 이 스님은 법당을 수리하기 위해 서천서역 당곰애기 집에 재미(齋米) 동냥을 떠난다. 당곰애기 집에 당도하니 [담장](/topic/담장)은 높고 열두 [대문](/topic/대문)에 나는 새와 기어다니는 쥐도 들어갈 수 없게 단단하게 잠겨 있다. 그러나 스님이 개문경(開門經)을 외우니 열두 대문의 굳게 닫힌 문이 모두 열리고, 이를 이상하게 여긴 당곰애기가 종에게 밖을 살펴보라 한다. 앞문의 옥단춘, 뒷문의 명산군이 나가 보니 스님이 동냥을 달라고 [염불](/topic/염불)을 한다. 방 안에서 수를 놓던 당곰애기는 스님이 왔다는 말에 문종이에 침을 발라 손가락으로 뚫어 구멍을 내고 내다보다가 스님과 눈이 마주쳤다. “여보시오 아가씨요, 소승이 아가씨께 문안 왔습니다. 재미 동냥 왔습니다. 어서 [시주](/topic/시주)를 주옵소서.” 당곰애기는 공비단에 수를 놓다가 던져놓고 스님을 보려고 나가는데 몸치장을 한다. “여보시오 스님요, 아버지는 천하공사 가구, 어머니는 지하공사 가구, 아홉형제 오라버니는 말공사 글공사 천기 [바둑](/topic/바둑) 공부를 가구, 구 년 치수를 가서 없습니다. 그래 [곳간](/topic/곳간)마다 잠긴 문을 어느 누구가 열어준단 말이오.” 스님이 짚었던 철장으로 천하를 겨누고 왼발로 땅을 세 번 구르니 열두 대문 곳간 문이 왈그락 열린다. 그래서 당곰애기가 “여보 스님요, 아버지 자시던 백미쌀을 서 말 서 되 서 홉을 떠다가 시주를 할까요?” 하니 “그 쌀은 땀내 나서 못 받겠소”라며 거절한다. 어머님 자시던 백미쌀은 인내 나구 부정해서 못 받겠으니 아가씨 자시던 백미로 소승에게 시주를 하라고 한다. 그래서 자신이 먹던 쌀독 안에 있던 맨 밑의 밑쌀로 서 말 서 되 서 홉을 떠서 동냥자루 안에 부어 시주한다. 그런데 스님은 당곰애기 몰래 [장도](/topic/장도)칼로 동냥자루 밑을 슬그머니 터놓았기 때문에 쌀이 계속 새어 나와 온 [마당](/topic/마당)에 흩어진다. 당곰애기는 동냥을 하러 다닐 때는 성한 자루를 [가지](/topic/가지)고 다니라며 나무라는 투로 말한다. 그러나 스님은 오히려 뒷동산에 올라가서 대봉싸리 열네 날을 꺾어다가 주워 담아 달라고 한다.

쌀을 주워 담다 보니 날이 저물어 당곰애기는 어서 속히 절로 가서 부처님께 공양을 하라 하니 스님은 의뭉스럽게도 “아가씨요, 날이 저무는데 집을 두고 어디로 가란 말이오. 유수같이 흐르는 세월인데 하룻밤만 유해 갑시다”라고 사정한다. 당곰애기는 거절하다가 할 수 없이 스님에게 아버지 방에 가서 자라 하니 싫다 한다. 어머니 방에서 자라 해도 싫다 하고 오라버니들 자는 방에 자라 하니 그 방은 누추하고 땀내, 인내 나서 못 자겠다고 하며 아가씨 자는 방에서 자겠다고 한다. 결국 당곰애기 방에서 [병풍](/topic/병풍)을 치고 자게 된다. 그러나 몸과 마음이 후끈 달아오른 스님은 당곰애기가 깊은 잠에 든 것을 알게 되자 그의 이불속으로 들어간다. 뒤늦게 깨어난 당곰애기가 심하게 호통을 치고 혼을 내지만 스님은 물러나지 않고 오히려 아가씨는 분명 중의 가정에서 태어났을 터이니 사주책을 보라고 한다. 사주책을 보니 자신은 중의 가정에서 태어난 몸이었다. 마침내 둘은 연분을 맺게 되는데 그날 밤 당곰애기가 꿈을 꾸니 스님은 그 꿈이 아들 삼형제를 잉태할 [태몽](/topic/태몽)이라고 한다.

스님은 당곰애기에게 박씨 세 개를 주며 깊이 간직하였다가 스님이 간 지 석 달 만에 태기가 있어 아들을 낳으면 이 박씨를 심어 덩굴이 뻗는 대로 그 덩굴만 따라가면 소승을 만날 수 있을 거라고 한다. 당곰애기는 이런 일이 있은 후 한 달, 두 달, 석 달이 지나니 입덧이 나고 아홉 달이 되니 아랫배는 산처럼 높아 몸을 추스를 수 없다. 이때 천하공사 [가신](/topic/가신) 아버지, 지하공사 가신 어머니, 말공부 글공부 갔던 아홉 형제 오라버니가 돌아와 당곰애기가 아픈 것을 알게 된다. 어머니가 점을 쳐보니 당곰애기는 삼신이 굽어봐서 아들 삼형제를 점지하였다는 것이다. 아버지와 오라버니까지 이를 알게 되자 양반네 집에서 망신스러운 일이 났다며 당곰애기를 죽이려고 한다. 어머니가 가까스로 그들을 말려 결국 당금애기는 돌함 속에 갇힌다. 그리고 아홉 형제 오라버니들이 돌함을 산에다 두고 내려가는데 청천 하늘에서 난데없이 천둥 벼락을 치며 흙비, 돌비가 쏟아지면서 아홉 형제 오라버니들의 발이 땅에 딱 달라붙어 오도가도 못 하고 서 있다. 어머니는 마지막으로 자식의 얼굴을 보고자 울며불며 뒷동산으로 올라가서 “아가, 아가, 내 딸이야” 세 번을 거듭 부르니 돌함 속에서 모기만큼 가냘픈 소리가 나더니 돌합문이 덜컥 열린다. 그 속에서는 당곰애기가 아들 삼형제를 낳았는데 하늘에서 청학 세 마리가 내려와 삼형제를 날개로 덮어 품어서 추운 줄도 모르고 더운 줄도 모르게 키운다. 그리고 하늘에서 오색구름이 퍼져 내려 어린 삼형제의 머리맡에 사방으로 둘러쌌다. 어머니는 외손자 삼형제를 안고 집으로 데려와 후원 [별당](/topic/별당) 안에 넣어두고 구메밥(옥의 구멍으로 죄수에게 넣어주는 밥)을 먹여 키우는데 아이들은 무럭무럭 자랐다.

어느덧 일곱 살이 되자 삼형제는 서당에 다니게 되었는데 남달리 총명하여 글공부에 능하였다. 그래서 함께 공부하는 서당군들은 이들 형제를 질투했고, 심지어 아비 없는 아이라며 두어 번이나 죽이려고 했다. 결국 삼형제는 선생님 앞에 가서 무릎을 꿇고 글을 그만두고 아버지를 찾으러 가겠다고 하며 작별한 후 집에 와서는 어머니에게 아버지를 찾아 달라고 애걸한다. 그러자 당곰애기는 “느그 삼형제 태일 적에 뒷동산에 올라가서 대나무 밑에 잠시 잠깐 소피(소변)를 보았더니 느그 삼형제가 태어났나 부다. 대나무 곁에 가서 아버지 하고 한번 불러봐라.” 그래서 대나무 곁에 가서 아버지가 여기 계시거들랑 어서 바삐 나와 달라고 목메어 부른다. 그러자 그중 큰 대나무가 “야들아, 어찌 내가 너희 아버지가 되느냐? 느그 아버지 이승에 오래오래 사시다가 후생 황천길로 돌아가시면 이 대나무를 베어다가 [상장](/topic/상장)막대 짚으라 했지 내가 어찌 느그 아버지냐 아버지 될 이유가 하나도 없다”고 한다. 삼형제가 그냥 돌아가기가 섭섭해서 망설이고 있는데 대나무가 저 건너 밤나무 곁에 가서 아버지를 불러 보라고 한다. 거기 가서 부르니 제일 큰 밤나무가 “내가 어찌 느그 아버지냐? 부모가 이생(이승)에 오래오래 사시다가 돌아가시면 이 밤나무를 베어다가 신주를 만들어 모시고 위하는 것이지 내가 어찌 느그 아버지냐?” 부모가 돌아가시면 상장막대 짚는 것과 밤나무로 [위패](/topic/위패)를 만드는 것이 다 그때 이 법으로 마련된 것이다.

삼형제는 곧바로 집으로 돌아와서 큰아들은 시퍼런 칼을 들고, 둘째는 [솔가지](/topic/솔가지)에 불을 켜들고, 셋째는 담보따리를 지고 “어머니요. 만약에 우리 아버지를 안 찾아주시면 우리 삼형제는 우리가 나오던 안태 고향으로 어머니 배를 이 칼로 쭉 잡아 째고 도로 들어가겠습니다”하고 협박한다. 삼형제가 사뭇 협박조로 나오니 당곰애기는 몹시 당황하는데 언뜻 머릿속에 떠오르는 것이 스님이 떠나면서 준 박씨 세 개가 생각난다. 당곰애기가 박씨 세 개를 찾아서 삼형제에게 주니 맏아들이 무슨 생각을 했는지 받아서 울타리에 심는다. 하룻밤을 자고 나니 어제 심은 박이 덩굴을 뻗어 끝없이 뻗어갔다. 당곰애기는 스님이 박씨를 주고 떠나면서 박씨를 심어 덩굴이 뻗거든 그 덩굴만 따라오면 자기를 만날 수 있다고 한 말을 삼형제에게 전해 주었다.

삼형제는 어머니를 가마에 태우고 아버지를 찾아간다. 이곳 저곳 험한 곳을 지나 금강산에 들어가서 일만이천봉, 팔만 구암자를 찾아가서 가마채를 놓고 잠시 쉬는데 어린 [상좌](/topic/상좌)가 샘으로 물을 뜨러 왔다가 황급히 절로 들어가 스님에게 전한다. “스님 안에 계십니까? 스님 가셨던 자취 있어서 보니 뼈 이은 동자에 삼형제가 왔는데 말도 스님 같고, 입은 입성도 스님 같고, 얼굴 모습이 스님 같습니다. 어서 치장을 하고 바삐 나가 보십시오.” 이 말을 들은 스님이 놀랍고도 요란하게 치장하고 산길을 걸어가 당곰애기에게 가서 “당곰아가씨 오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하고 인사를 깎듯이 드리니 삼형제가 모두 “아버지” 하고 나선다. 그러나 스님은 냉담하게 “야들아, 내가 어찌 느그 아버지냐? 만약에 느그들이 내 자식이 분명하면 삼형제가 종이[버선](/topic/버선)을 신고 저 건너 냇물에 건너 왔다갔다 해도 종이 버선에 물 한 방울 묻지 않아야 내 자식이다” 하고 시험을 한다.

삼형제는 스님의 요구대로 해냈다. 그래도 스님은 또 다른 시험을 한다. 계속해서 어려운 과제를 주어도 삼형제가 모두 해내고야 마니 스님은 동이를 가지고 와서 삼형제가 손가락을 끊어 피를 내면 자식인지 알 수 있다고 한다. 그러자 삼형제는 즉시 동이를 갖다 놓고 칼로 손가락을 베어 피를 낸다. 그랬더니 삼형제의 손가락에서 떨어지는 피가 안개구름같이 뭉실뭉실 피어 한 군데로 똘똘 뭉친다. 그러자 스님이 자기 손가락을 베어 피를 내니 뚝뚝 떨어지는 피가 안개구름같이 피어 삼형제의 피에서 피어난 안개구름 같은 것과 함께 동이 안에서 한 군데로 똘똘 뭉친다. 그제야 스님은 자기 자식이 분명하다며 삼형제를 반긴다. 삼형제도 아버지에게 안기면서 이름을 지어 달라고 한다. “오냐, 이름을 지어보자. 맏아들 이름은 가서 대산(태산)이라 하고 둘째아들은 한강, 셋째아들은 평택이라 짓자. 평생을 가도 대산이 무너지고 한강이 마르며 평택이 꺼질쏘냐.”

삼형제가 이름을 지었으니 아버지에게 먹고 입을 것을 마련해 달라고 하니 아버지는 맏아들은 금강산 신령님이 되고, 둘째아들은 태백산 문수님(문수보살), 셋째아들은 대관령 나라 당산 서낭님으로 마련한다고 했다. 그러자 삼형제는 어머니도 먹고 입고 살게 마련해 달라고 하는데 스님은 “느그 어머니는 [[부뚜](/topic/부뚜)막](/topic/부뚜막)에 강구(바퀴벌레)되어 밥알 떨어진 거나 먹고 살라”고 한다. 삼형제가 그러지 말라고 하자 이번에는 진드기나 되라고 한다. 스님의 말이 떨어지자 어머니는 진드기가 되어 방 안으로 들어온다. 이를 본 삼형제는 당황하여 스님에게 간청한다. “아버지 우리들 삼형제를 보더라도 이렇게 할 수가 있습니까. 그러지 마시오.” “아들아, 그런 것이 아니다. 너그들 삼형제 태일 적에 서천서역국으로 당곰애기 집에 가니 어디 잘 곳을 마련해 주는 것이 아니라 [헛간](/topic/헛간)에 자거라, [봉당](/topic/봉당)에 자거라, 뜨락에 자거라, 마당에 자거라, 변소에 자거라 하며 하도 박대하여 그 죗값으로 그랬다.” “아버지 그래도 저희 삼형제를 본들 그럴 수가 있습니까?” “오냐, 그러면 느그 어미 뭐 될 거 있다. 각성바지, 가가호호 집집마다 아들 낳고 딸 낳게 해주는 삼신할머니로 마련하자.”

그렇게 해서 당곰애기는 삼신이 되었으며, 이 삼신이 사람을 세상에 태어나도록 점지해 주고 어린아이들이 병 없이 잘 자라게 돌보아 준다.
Samsin is the goddess of childbearing, a shamanic deity and household god that oversees the birth and growth of children.

It is believed that humans are born with the blessing of Samsin, and their lifespan is determined by [[Chilseong](/topic/SevenStars)](/topic/Chilseong) (Seven Stars). Samsin is also called Grandmother Samsin, Grandfather Samsin, Grandmother Sejun or Grandmother Jiang, Jiang and Sejun referring to Jewang and [[Sejon](/topic/AncestralHouseholdDeity)](/topic/Sejon), respectively, both deities originated from Buddhism and related to the god of childbirth [[Jeseok](/topic/GodofChildbirth)](/topic/Jeseok). The origin of Samsin is narrated in the shamanic myth “[[Danggeumaegi](/topic/MythofMaidenDanggeum)](/topic/Danggeumaegi)muga (Song of Maiden Danggeum), ” also called, “[[Jeseokbonpuri](/topic/SongoftheOriginofJeseok)](/topic/Jeseokbonpuri) (Song of the Origin of Jeseok)” or “Song of Sijun (Sejon) Ritual, ” in east coast regions including Gangneung and Uljin.

As a household god, Samsin oversees childbirth, the lifespan of a child and also the health of the entire family, taking on varying roles in the home. Samsin is generally perceived as a goddess and some homes worship one of their deceased female ancestors as Samsin. Worship rituals are held on seasonal holidays including [[Seol](/topic/LunarNewYear)](/topic/Seol) (Lunar New Year), harvest holiday [[Chuseok](/topic/HarvestFestival)](/topic/Chuseok), Jeongwoldaeboreum (Great Full Moon) and [[Dongji](/topic/WinterSolstice)](/topic/Dongji) (Winter Solstice), or when replacing the grains contained in sacred entities. Rituals are also held on occasions related to childbirth, child illness, or other troubles in the family.

On the day a child is born, a ritual table is prepared for Samsin, comprising sea mustard (miyeok), sea mustard soup, steamed rice and fresh water from the well (jeonghwasu). A Samsin table for a child’s 100th day or first birthday includes skeins of thread (siltarae) and red peppers (gochu). For everyday worship, only a bowl of fresh well water is offered. Additional dishes are offered for seasonal rituals: rice cake soup on Lunar New Year; five-grain rice on Great Full Moon; red bean porridge (patjuk) on Winter Solstice.

Samsin is worshipped in varying forms of sacred entities, including samsindanji (earthenware jar), samsinbagaji (gourd bowl), samsingori (wicker basket), or sometimes not in the form of a specific entity. Sacred entities contain newly harvested grains, mulberry paper or skeins of thread and are sealed before being placed in the inner chamber (anbang) for the woman of the house, on top of the wardrobe or on a separate shelf.
掌管孩子的出生和成长等的神,既是巫俗神,也是家神。

据传,人类是由三神的恩赐而出生的,寿命则由七星神掌管。“三神”又称三神婆婆,三神爷爷,Sejun婆婆,Jiang 婆婆等。此处,Jiang 和Sejun 分别指帝王和[世尊](/topic/世尊)。这意味着受到佛教影响的[帝释](/topic/帝释)神。与三神起源相关的[巫俗神话](/topic/巫俗神话)通常被称为“[棠锦千金](/topic/棠锦千金)(音)巫歌”,江陵地区和蔚珍地区等东海岸地区也将其叫做“世尊[巫祭](/topic/巫祭)巫歌”。

作为家神,三神是保佑生命诞生,孩子寿命和家人健康的神,在家庭中具有多样的性质。三[神主](/topic/神主)要为女神形象,根据不同家庭,也将家中已去世的女性[祖先](/topic/祖先)作为三神供奉。与三神相关的祭仪以定期,不定期举行,主要与孩子出生相关而举行。此外,还在[春节](/topic/春节),中秋,元宵节,[冬至](/topic/冬至)等节日举行祭仪,或在给神体更换新粮时进行简单的祈祷。若孩子生病或家中遭罹心里不安等情况出现需借助三神的力量时,则不受上述这些特定日子的影响,主祭者可随时向三神祈祷。

孩子出生的那天在三神供桌上敬献[海带](/topic/海带),海带汤,米饭,[井华水](/topic/井华水)。在百天或周岁等孩子的纪念日,则一同献上[线团](/topic/线团),[辣椒](/topic/辣椒)等。随时向三神祈祷时主要摆放井华水。春节,元宵节和冬至时还摆放年糕汤,[五谷饭](/topic/五谷饭)和[红豆粥](/topic/红豆粥)。

三神的神体根据不同地区有三神坛,三神瓢,三神环等多种形态。根据情况,也会无神体而供奉。供奉神体时,通常在神体中供奉新[谷物](/topic/谷物),韩纸,线团等后,在里屋一侧制作搁板供奉或放在里屋衣柜上供奉。
지역사례삼신과 관련된 굿거리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삼신 관련 굿은 아기를 점지하기 바라는 [기자의례](/topic/기자의례)(祈子儀禮)이다. 삼신굿이나 삼신풀이 이외에도 세존굿, 시준굿, 불도할망 등의 명칭으로도 삼신 관련 굿이 있다.

특히 제주도 큰굿 가운데 행해지는 [불도맞이](/topic/불도맞이)에는 가 [구연](/topic/구연)된다. 불도는 ‘불도할망’ 곧 삼신의 불교적 영향의 명칭이고, 맞이란 ‘영접’의 뜻이다. 삼신할머니를 제주도 말로 표현하면 삼싱할망이다. 이를 맹진국할망이라고도 한다. 는 곧 어린아이의 산육을 맡아 보살핀다는 이자 다. 에는 과 이 있다. 전자는 이승의 아기, 후자는 저승의 아기를 각각 차지하여 관장한다고 한다. 삼싱할망은 본디 동해용왕 따님으로 태어난 저싱할망과 꽃가꾸기 내기에 이겨서 이승을 차지하게 되었다고 한다. 삼싱할망은 아기를 점지하고 살려내는 할머니 신이며, 저싱할망은 아기를 저승으로 데려가는 데에 주력하는 ‘궂은 할머니신’이다.

삼신제석도 있다. 출산과 관련되는 무속신으로, 일명 삼불제석이라고 한다. 제석은 본래 힌두교 계통의 신령으로, 불교에 들어와 불법수호신이 되었다. 이 신은 하늘신과 동일시되어 가장 권능이 강하며, 생명과 행운을 지켜 주는 신으로 간주된다. 무신도에는 세 스님의 모습으로 등장하며 삼불제석이라는 용어를 주로 쓴다.

삼신굿은 기자의례로 행해진다. 삼신의 유래가 서사적으로 기술되어 있는 [무속신화](/topic/무속신화)는 바로 ‘[당금애기](/topic/당금애기)무가’이다. 광주(光州) 지역 ‘제석굿무가’에 등장하는 금각씨, 제주도 무가 ‘[초공본풀이](/topic/초공본풀이)’에 등장하는 자지명(紫芝明)아가씨의 경우 스님과 연을 맺어 삼형제를 낳았지만 당금애기처럼 삼신으로 좌정하지는 않는다.
참고문헌한국무가집 1 (김태곤, 집문당, 1971)
한국무교의 역사와 구조 (유동식, 연세대학교 출판부, 1975)
한국무속연구 (김태곤, 집문당, 1981)
삼신할머니의 기원과 성격 (최광식, 여성문제연구 11, 효성여자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1982)
한국의 [무속신화](/topic/무속신화) (김태곤, 집문당, 1985)
제주도 무속연구 (현용준, 집문당, 1986)
제주도 무속과 서사무가 (장주근, 역락, 2001)
제주도무속학[사전](/topic/사전) (진성기, 제주민속연구소, 2004)
Samsin hace referencia a la diosa del parto o una deidad tutelar del hogar que se encarga del nacimiento y crecimiento de los niños.

Se cree que los seres humanos nacen bajo la bendición de Samsin, y la cantidad de años que podrán vivir ellos se determinan por la divinidad de las siete estrellas llamada [[Chilseong](/topic/SieteEstrellas)](/topic/Chilseong). Samsin se llama también como Abuela Samsin, Abuelo Samsin, Abuela Sejun o Abuela Jiang. Jiang y Sejun son los términos que se refieren a Jewang y [[Sejon](/topic/DeidadAncestraldelHogar)](/topic/Sejon) respectivamente, que son las deidades originadas del budismo y relacionadas con el dios del parto, [[Jeseok](/topic/DiosdelParto)](/topic/Jeseok). El origen de Samsin se narra en el mito chamánico “[Danggeumaegi](/sp/topic/detail/5338)muga ”. Este mito es conocido como “Canto del ritual Sijun (Sejon)”, que se recita en las regiones de la costa este incluyendo la ciudad de Gangneung y la de Uljin.

Como una diosa del hogar, Samsin supervisa el nacimiento y la cantidad de años que podrá vivir el niño, así como la salud de todos los miembros de la familia, asumiendo varios roles en el hogar. Samsin se percibe generalmente como una diosa, así que algunas familias adoran a uno de sus ancestros femeninos como Samsin. El ritual de adoración a Samsin se realiza en los días feriados incluyendo el año nuevo lunar llamado [[Seol](/topic/primerdíadelAñoNuevoLunar)](/topic/Seol), día de Acción de Gracias llamado [[Chuseok](/topic/fiestadelacosecha)](/topic/Chuseok), el día de Jeongwoldaeboreum que es el 15 de mayo del calendario lunar y el día del solsticio de invierno llamado [[Dongji](/topic/solsticiodeinvierno)](/topic/Dongji). El ritual se practica también al cambiar los granos que están guardados en la entidad sagrada por unos nuevos. Además el ritual tiene lugar en varias ocasiones relacionadas con el parto, enfermedades infantiles u otros problemas que enfrenta la familia.

El día que nace un niño, se prepara una mesa ritual para Samsin con algas marinas, sopa de algas, arroz cocido al vapor y agua fresca del pozo llamada jeonghwasu. En la mesa preparada para Samsin para celebrar los 100 días o un año a partir de la fecha de nacimiento se incluyen una madeja de hilos llamada siltarae y pimientos rojos. Para efectuar el ritual diariamente, se ofrece solamente un cuenco de agua fresca del pozo. Otros alimentos adicionales se ofrecen al llevar a cabo un ritual regular: [sopa de pastel de arroz](/topic/sopadepasteldearroz) en el día de Seol; cinco cereales cocidos a vapor en el día de Jeongwoldaeboreum; gacha de frijoles rojos llamada patjuk en el día de Dongji.

Samsin es adorada en varias formas de entidades sagradas, incluyendo jarra de barro llamada samsindanji; cuenco de calabaza, conocida como samsinbagaji; cesta aventadora que se llama samsingori; a veces no se venera en forma de entidad específica. No obstante, hay casos en los que se venera a la deidad del parto sin ninguna entidad sagrada. Dichas entidades sagradas contienen principalmente granos recién cultivados, papeles de morera o madejas de hilos y son cerradas antes de colocarse encima del armario o en el anaquel de la habitación interior de la casa.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한국의 민속지화에 관한 연구강신영1984
대구대학교산업기술연구소한국지화에 관한 연구 Ⅱ- 김석출씨의 기법을 중심으로김태연1985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한국전통지화에 관한 연구박기복1986
집문당한국무가집 4김태곤 편1992
한국무속학회무화연구 (1)김태연2001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지화 연구김명희2002
한국무속학회서울굿 신화 연구양종승·최진아2002
한국무속학회동해안별신굿 지화 연구 Ⅰ심상교2003
삼신 금줄
13464
삼신 금줄
이매화씨 가옥 삼신
13481
이매화씨 가옥 삼신
이매화씨 가옥 삼신
13480
이매화씨 가옥 삼신
전부옥씨 가옥 삼신
13479
전부옥씨 가옥 삼신
전부옥씨 가옥 삼신
13478
전부옥씨 가옥 삼신
윤순금씨 가옥 삼신
13477
윤순금씨 가옥 삼신
윤순금씨 가옥 삼신
13476
윤순금씨 가옥 삼신
최순해씨 가옥 삼신
13475
최순해씨 가옥 삼신
권순희씨 가옥 삼신
13474
권순희씨 가옥 삼신
권중선씨 가옥 삼신
13473
권중선씨 가옥 삼신
한국민속신앙사전삼신께 비는 소리
한국민속신앙사전삼신 명실 태우는 소리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