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군

한국무속신앙사전
부군
부군당에 모셔진 주신(主神)으로, 무속이나 [마을](/topic/마을) 신앙에서 모셔지는 마을의 수호신.
definition
부군당에 모셔진 주신(主神)으로, 무속이나 [마을](/topic/마을) 신앙에서 모셔지는 마을의 수호신.
mp3Cnt
0
wkorname
김태우
정의부군당에 모셔진 주신(主神)으로, 무속이나 [마을](/topic/마을) 신앙에서 모셔지는 마을의 수호신.
어원부군신이 모셔진 부군당은 붉은당ㆍ부강전(富降殿)ㆍ부군묘(府君廟)ㆍ부근당(付根堂)ㆍ부군사(符君祠) 등으로도 쓰인다. 그 유래에 대해 최남선은 ‘’설을 제기하였다. 그는 『불함문화론(不含文化論)』에서 “조선에서는 ‘(Părk)’을 본원으로 하여 ‘(Părkăn)’이라고도 하였고, 전하여 ‘부군(Pukun)’ 또는 단순히 ‘불(Pur)’이라고도 칭하였다”라고 하여 ‘부군(府君)’이란 표기는 태양신을 의미하는 ‘(Părkăn)’의 음차(音差), 부군당은 이러한 태양신을 숭배했었던 전통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았다. 조지훈은 제당의 명칭을 분류하면서 ‘신(神)’계와 ‘’계를 구분하고 ‘’계에 부군당계를 포함시켰다. 그는 “부근(付根)ㆍ부군(府君 또는 富君)은 팔관(八關)ㆍ불구내ㆍ의 유속”으로 보았다.

한편 김태곤은 그 원음을 ‘불근’, 즉 생산을 상징하는 성(性)신앙의 ‘불(불ㆍ불두덩ㆍ부삿ㆍ부랄)’에서 온 말로 보아 ‘부근(付根)’이 [마을](/topic/마을) 수호신의 뜻을 지닌 ‘부군(府君)’과 성신(性神)의 생산적 상징을 띠는 ‘부강(富降)’으로 발전했을 것이라며 남근 [봉안](/topic/봉안) 풍속과 관련된 명칭으로 보았다. 이 밖에 ‘부군(府君)’은 한대(漢代)에 태수(太守)를 칭한 것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본 이능화의 견해가 있다. 그는 조선 각 군의 부군당에는 대개 임소에서 죽은 수재(守宰)가 모셔져 있으며, 부군당이란 명칭은 이처럼 고을 수령이나 관리를 신으로 모시는 관행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았다.
Bugun es el término que significa “deidad de los funcionarios gubernamentales” y se refiere a un dios tutelar del pueblo, adorado en los santuarios gubernamentales o en los rituales chamánicos que tienen lugar en las áreas de Seúl.

El santuario del dios de los funcionarios gubernamentales llamado bugundang se llama también bulgeundang, bugunmyo, bugunsa o bugangjeon. Las deidades veneradas como Bugun son las figuras históricas como [[Dangun](/topic/Dangun,FundadordeGojoseon)](/topic/Dangun), el fundador del primer reino en la península coreana; [Yi Seong-gye](/topic/YiSeong-gye), el fundador de la dinastía Joseon; el general [Kim Yu-sin](/topic/KimYu-sin) del reino Silla; el general [Nam Yi](/topic/NamYi) de Joseon; el general Choe Yeong del reino Goryeo; el general Im Gyeong-eop de Joseon; y la Doncella Song. Las pinturas chamánicas que se cuelgan en el interior de santuarios proporcionan la representación gráfica de Bugun, en la mayoría de ellas, se describe Bugun como un hombre, pero a veces se representa como una pareja de matrimonio. Si se retrata Bugun como una deidad masculina, su apariencia es de un funcionario de alto rango; cuando se representa Bugun como una deidad femenina, la diosa lleva un cintillo elegante como jokduri o hwagwan, y un traje ceremonial como wonsam o hwalot, que se relacionan con la aristocracia. En el pasado, el bugundang estaba ubicado generalmente cerca de las oficinas gubernamentales, en la capital o en las provincias. Pero hoy en día, Bugun se enclaustra en los santuarios aldeanos que se encuentran en las áreas de Seúl a lo largo del río Han, y se adora como una deidad popular de esta región determinada.
Bugun, or Government Office Deity, is a village tutelary god worshipped at government shrines or in shamanic rituals around the Seoul area.

In Joseon, this deity was enshrined at bugundang, set up near or on the grounds of government offices in the capital or in the provinces. These shrines were also called bulgeundang (red shrine), bugunmyo, bugunsa (shrine for government office deity), or bugeundang (phallic shrine). In present times, Bugun is enshrined at village shrines in the Seoul area along the Han River and worshipped as a folk deity of this specific region.

Historical figures and other characters are worshipped as Bugun, including [[Dangun](/topic/Dangun,FounderofGojoseon)](/topic/Dangun), founder of ancient kingdom Gojoseon; [Yi Seong-gye](/topic/YiSeong-gye), founder of Joseon; General [Kim Yu-sin](/topic/KimYu-sin) of Silla; General [Nam Yi](/topic/NamYi) of Joseon; General Choe Yeong of Goryeo; General Im Gyeong-eop of Joseon; and Maiden Song. Shamanic paintings hung inside shrines provide vivid representations of Bugun, mostly male but also sometimes presented as husband and wife. When portrayed as a male deity, his appearance is that of a high-rank official; when portrayed as a female, the deity wears fancy headpieces like jokduri or hwagwan, and ceremonial attire like wonsam or hwalot, all associated with aristocracy.
내용부군신으로는 단군(檀君), [이성계](/topic/이성계)(李成桂), 김유신(金庾信), 남이(南怡) [장군](/topic/장군), [최영](/topic/최영)(崔瑩) 장군, 임경업(林慶業) 장군, 송씨(宋氏) 처녀 등이 있다. 부군신의 구체적인 모습은 무신도에 잘 나타나 있으며 부군신은 대개가 남성이며 부부가 함께 모셔지기도 한다. 복색을 보면 남신인 경우 [주립](/topic/주립)이나 [복두](/topic/복두)를 쓰고 [철릭](/topic/철릭) 아니면 포를 입고 있는 등 일반 평민이 아닌 고위 관리의 형상을 갖추고 있다. 여신의 경우도 [족두리](/topic/족두리)나 [화관](/topic/화관)([가체](/topic/가체)머리)을 쓰고 [원삼](/topic/원삼)이나 [활옷](/topic/활옷)을 입고 있어 역시 고귀한 신분임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들 복색은 산신이나 대신할머니, 용왕 등이 입고 있는 옷과 달리 제도적인 [공복](/topic/공복)(公服) 성격이 강하다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조선시대에 쓰인 『연암집(燕巖集)』의 안의현현사사곽후기(安義縣縣司祀郭侯記)에서도 “주립(朱笠)에 구슬 갓끈을 달고 호수(虎鬚)를 꽂아 위엄과 사나움이 마치 장수와 같다”라고 하여 지금의 모습과도 흡사하다고 볼 수 있다.

부군신을 위하는 의례 형식에는 무속식(당굿)과 유교식이 있다. 부군당 의례는 대개 음력 10월 초나 정월 초에 행해진다. 제당의 형태는 대부분 [맞배지붕](/topic/맞배지붕)에 [기와](/topic/기와)를 얹고 [단청](/topic/단청) 등으로 장식하고, 기타 부속건물과 [마당](/topic/마당) 등도 있어 다른 지역에 비해 규모가 큰 편이다. 부군당 의례의 전승은 보존회나 향우회ㆍ노인회 등 자치 조직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굿거리는 대개의 경우 [유가돌기](/topic/유가돌기), 주당물림, 부정가망, 불사거리, 산거리, 조상거리, 대안주, 군거리, 군웅거리, 성주, 창부, 뒷전 순으로 행해진다.
지역사례부군당은 주로 서울 한강 유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경기도 김포ㆍ연천 일대와 강화와 임진강 유역에도 분포되어 있다. 부군당이라고 확실하게 명시된 경우와 부군당으로 추정되는 경우까지 합하면 2006년을 기준으로 서울 지역만 35곳이 확인되었으며, 이 가운데 21곳에서 전승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부군당이 대개 관청의 부속 건물로 건립되었으며 서울뿐 아니라 평안도ㆍ황해도ㆍ경상도ㆍ전라도ㆍ강원도에까지 분포되어 있었다. 경기도 연천군 중면 삼곶리와 군남면 선곡리에서는 일제강점기 때까지 부군굿을 행했다고 한다. 부군당과 같은 제당이 있었던 것은 아니나 공터나 신목(神木) 밑에서 음력 10월경에 부군굿을 하였다. 연천군의 장남면 고랑포리에는 제당이 있었다. 이를 부군당이라 불렀으며, 여기서 하던 굿을 ‘고창굿’이라 하였다. 고창굿은 주로 배를 부리던 선주들이 중심이 되었으며, 10여 명의 무당에 의해 거의 한 달간 지속된 대규모 굿이었다고 한다. 광복 후에도 한두 번 굿을 했으나 한국전쟁 후에는 중단되었다고 한다. 강화도 읍내리 부군당에는 모형 남근이 [봉안](/topic/봉안)되어 있어 서울 지역의 신길2동과 같이 부군당 내 모형남근 봉안 풍속이 전승되고 있다.

![무속신앙 부군](/upload/img/20170106/20170106155207_t_.jpg)
부군당 분포와 문화권
A 평안도 영유현
B 황해도 신천군(좌)·서흥부(우)
C 한강유역
D 강원도 원주목
E 경상도 안의현
F 전라도 영암군
의의부군신은 과거에는 서울이나 지방 관청의 부속건물에 모셔졌으나 현재에는 주로 서울 한강 유역의 [마을](/topic/마을) 제당에 모셔지고 있어서 서울 지역의 특징적인 민간신앙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약 500년 이상 지속되어 온 민간신앙이지만 옛 문헌에 나타난 형태와 크게 달라지지 않았으며, 한강을 중심으로 한 해상유통과도 깊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바 역사적·문화적·학술적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것이다.
이견 및 기타함경북도 지방의 촌락사회에서 관행되었다고 전해지는 봉사적 협동노동의 형태를 ‘부근(附近)’이라고도 하는데, 민간신앙 대상으로서의 부군과는 별개이다.
참고문헌누석단ㆍ신수ㆍ당집 신앙연구-서낭고 (조지훈, 문리논집 7, 고려대학교 문리과대학, 1963)
한국민간신앙연구 (김태곤, 집문당, 1983)
한국농경세시의 연구 (김택규, 영남대학교출판부, 1985)
[조선무속고](/topic/조선무속고) (이능화, 동문선, 1995)
서울 한강 유역 부군당 의례 연구 (김태우,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유래부군에 관한 비교적 이른 시기의 것으로 조선 『중종실록(中宗實錄)』 중종(中宗) 6년 3월 29일 기묘(己卯)에 “양현고 안에 부근당(付根堂)이 있다. 부근(付根)은 관부에서 기축하기 위해 설치한 것으로, 나라의 풍속이다(養賢庫內有付根堂[付根者 官府設祠祈祝 國俗也])”라는 기사에서도 알 수 있듯이 부군의 역사는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부군 신앙의 구체적인 유래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동국여지비고(東國輿地備攷)』 권 2 한성부(漢城府) 사묘(祠廟)에 “부군사(符君祠)는 각사(各司) 아전의 청방 곁에 있으며, 해마다 10월 1일에 제사지낸다. 세상에서 혹 말하기를 고려의 시중 최영(崔瑩, 1316~1388)이 관직에 있을 때 재물에 깨끗하고 징수를 하지 않고 이름을 떨쳤으므로 아전과 백성들이 사모하여 그 신을 모셔 존숭한다고 한다. 각 고을에도 모두 있다”라고 하여 부군 신앙이 [최영 [장군](/topic/장군)](/topic/최영장군)에 대한 신앙에서 비롯되었다는 설도 있다. 또한 『[오주연문장전산고](/topic/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천지편(天地篇) 천지잡류(天地雜類) 귀신설(鬼神說) 화동음사변증설(華東陰祀辨證說)에서 “부근은 송씨저(송각시)가 실려 있어 사방 벽에 목경물을 많이 만들어 달고 지나치게 음설하였다(付根 乃宋氏姐所接 四壁多作木莖物以掛之 甚淫褻不經)”라고 하여 부군 신앙이 남근 [봉안](/topic/봉안) 풍속에서 유래하였다는 설도 있다.
이태원 부군당굿
69070
이태원 부군당굿
큰한강 부군당굿
71330
큰한강 부군당굿
큰한강 부군당굿
71329
큰한강 부군당굿
큰한강 부군당굿
71328
큰한강 부군당굿
큰한강 부군당굿
71327
큰한강 부군당굿
큰한강 부군당굿
71311
큰한강 부군당굿
큰한강 부군당굿
71310
큰한강 부군당굿
큰한강 부군당굿
71309
큰한강 부군당굿
큰한강 부군당굿
71308
큰한강 부군당굿
큰한강 부군당굿
71307
큰한강 부군당굿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