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사

한국무속신앙사전
매년 일정한 시기에 [마을](/topic/마을)의 상징인 [농기](/topic/농기)(農旗)를 모시고 지내는 [고사](/topic/고사).
definition
매년 일정한 시기에 [마을](/topic/마을)의 상징인 [농기](/topic/농기)(農旗)를 모시고 지내는 [고사](/topic/고사).
mp3Cnt
0
wkorname
김창호
정의매년 일정한 시기에 [마을](/topic/마을)의 상징인 [농기](/topic/농기)(農旗)를 모시고 지내는 [고사](/topic/고사).
정의매년 일정한 시기에 [마을](/topic/마을)의 상징인 [농기](/topic/농기)(農旗)를 모시고 지내는 [고사](/topic/고사).
내용지역에 따라 [농기](/topic/농기), 용당기, 용덕기, [덕석](/topic/덕석)기, 용술기, [용기](/topic/용기), 대기, [서낭기](/topic/서낭기), 대장기, 농상기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는 농기는 농신(農神) 또는 신농씨(神農氏)와 관련이 있으면서도 [마을](/topic/마을)의 상징이기도 한 깃발이다. 농기의 가장 대표적인 쓰임새는 [두레](/topic/두레)농사에서 돋보인다. 두레를 조직하여 농사를 지을 때 농기에 대한 [고사](/topic/고사)(告祀)를 우선으로 하였다. 논에서일을 할 때도 높은 논둑에 농기를 꽂아 두었으며, 일을 마친 후에도 농기를 선두로 하여 길군악을 연주하며 돌아오곤 하였다. 농기는 마을의 표징이자 중심이며 자긍심의 표식이었다.

농기는 주로 [광목](/topic/광목)에 글자를 묵서(墨書)하거나 그림을 그려 채색하는 방법으로 제작되었다. 글자를 적은 농기의 경우 대표적으로 ‘[농자천하지대본](/topic/농자천하지대본)야(農者天下之大本也)’라고 적은 것에서부터 신농유업(神農遺業), 신농사명(神農司命), 농위천하본(農爲天下本), 능사사명(能社司命)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그림을 그려 만든 농기는 용의 모습을 담거나 용과 함께 여러 상서로운 [동물](/topic/동물)을 형상화하기도 하고 드물게는 신농씨(神農氏)를 그린 경우도 있다. 또는 글과 그림이 없는 농기도 있다. 그림이나 글귀가 있는 경우의 대부분은 농사의 중요성과 이념을 강조하거나 농신과 관련된 것이다. 이는 기고사(旗告祀)를 통해 모셔지는 농기가 농신이라는 신격의 표상이자 공동체적 신앙의 대상이 되고 있음을알게 한다.

기고사는 보통 매년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에 거행된다. 간혹 특별한 연원으로 인하여 연행 날짜가 다른 경우도 있지만 정월대보름인 경우가 일반적이다. 대보름이 가까워 오면 마을에서는 동계(洞契)회의를 열어 기고사 연행 준비를 시작한다. 기고사를 연행할 고사 집을 선정하는 것이 우선이다.

고사 집의 경우 그 마을에서 비교적 부농(富農)에 속하는 집이 선정되는 경우가 많았다. 많은 사람이 모일 수 있는 너른 [마당](/topic/마당), 고사상에 올릴 제물과 모인 사람들을 위한 음식 장만이 가능한 큰 [부엌](/topic/부엌) 등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집이어야 고사를 준비하고 연행하는 데 용이했기 때문이다. 고사에 들어가는 제물과 [음복](/topic/음복) 음식을 마련하는 것도 동계의 자금과 마을 구성원의 추렴으로 해결하지만, 일정 부분은 기고사를 연행하게 된 집에서 도움을 받는 것도 동계 입장에서 이롭기도 할 뿐더러 부농 입장에서도 한 해 농사를 앞두고 품을 얻어야 할 이들을 거두어 먹이는 기회가 될 수 있었다.

고사 집을 선정하는 데 있어서 주의해야 할 사항이나 선정된 고사 집 주인이 지켜야 할 금기 등은 일반적인 마을 제의 [제관](/topic/제관)들의 경우와 대동소이하다. 고사 집이 선정되면 미리 그 집 마당에 농기를 모시고 [금줄](/topic/금줄)을 쳐서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한다.

기고사의 고사상에 오르는 제물은 지역적으로 차이는 있겠지만 보통 삼색실과, [삼색나물](/topic/삼색나물), 돼지머리, 떡(시루) 등이 쓰인다. 고사의 연행은 유식(儒式) 제의 절차를 따르는 경우가많다. 미리 선정한 [초헌](/topic/초헌)관의 [헌작](/topic/헌작)(獻爵)이 있은 뒤 [독축](/topic/독축)이 이어지고 [아헌](/topic/아헌)례와 [종헌](/topic/종헌)례, 소지(燒紙)와 음복 순으로 고사를 마친다. 경우에 따라 [단작](/topic/단작)(單爵)과 삼작(三爵)의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제차가 단순화되어 독축 없이 헌작과 재배만으로 끝내는 경우도 있다. 고사가 끝나면 소지를 올린다. 이때 [축문](/topic/축문)을 소지하는 경우도 있고 따로 소지종이를 준비하기도 한다. 모든 절차가 끝나면 마을 사람들이 어울려 제물을 나누어 음복하고 준비된 음식을 즐기며 한바탕 잔치를 벌인다.

마을에 따라 유교식 제사 방법을 따르지 않고 풍장굿 형태로 기고사를 연행하는 곳도 있다. 농기 앞에 제물을 진설하고 술을 올린 다음 풍장패의 한바탕 연주 뒤에 [상쇠](/topic/상쇠)의 고사덕담이 이어진다. [덕담](/topic/덕담)은 한 해 동안 마을의 무탈(無頉)과 [생업](/topic/생업)의 번성을 비는 내용이다. 덕담이 이어지는 동안 마을 사람들이 잔을 올리고 절을 하며 고사에 참여한다.

기고사가 끝나면 농기는 바로 내리지 않고 고사 집에 그대로 세워 둔다. 간혹 날씨가 궂어 기가 상할 우려가 있으면 곧바로 내려서 정리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이월 초하루](/topic/이월초하루)까지 고사를 지낸 집 마당에 세워 둔다.
참고문헌한국의 [두레](/topic/두레) (국립민속박물관, 1994)
한국세시풍속[사전](/topic/사전)-정월 (국립민속박물관, 2004)
민속박물관 사람들의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현장조사6년 DVD (국립민속박물관, 2008)
[농민](/topic/농민)의 자부심,[농기](/topic/농기) (농협중앙회, [농업](/topic/농업)박물관, 2009)
在每年一定的时期,向村庄的象征“农旗”进行的[告祀](/topic/告祀)。

农旗与“农神”或“神农氏”(中国古代传说中的帝王)有关,同时也是象征村庄的旗帜。

很多时候农旗上都有字或字句,大都是强调农业的重要性和农业理念,或者与农神有关。这表明,通过旗告祀来供奉的农旗是农神的标志,同时是共同体信仰的对象。旗告祀一般在每年的正月十五进行。

临近[正月十五](/topic/正月十五),村里就会召开洞契(类似于村民委员会—译注)会议来准备旗告祀。当选定进行旗告祀的人家,就把农旗预先供在这家院子里,拉上[禁绳](/topic/禁绳),禁止外面人出入。使用的祭品,各地方都不同,一般有三色果实,三色素菜,猪头,甑糕等。

告祀大都是遵循儒教式祭祀程序,但也有一些村庄不遵循儒教式祭祀方法,而是采用风物戏(农乐)形式。旗告祀结束后,如果天气不好,担心农旗受损,就会把旗子收起来,除了这种情况外,大都会把旗子在院子里供到[二月初一](/topic/二月初一)。
Gigosa es un ritual que se efectúa anualmente para adorar el ícono del pueblo, nonggi que significa una bandera que simboliza la labranza.

La nonggi tiene una relación con el dios de la agricultura, Nongsin o el Emperador legendario de China, Shennong-shi.

En la mayoría de los casos, la nonggi tiene unos caracteres o frases escritos. En general la bandera está relacionada con el dios de la agricultura o hace hincapié en la importancia de la agricultura. Esto demuestra que la nonggi es un símbolo del dios de la agricultura y un objeto de la adoración colectiva.

El gigosa se lleva a cabo usualmente el 15 de enero del calendario lunar, como parte de las festividades de Jeongwoldaeboreum. Al llegar a la fecha de la realización, los aldeanos se reúnen para preparar el gigosa. Una vez seleccionado un hogar donde tendrá lugar el ritual, los aldeanos colocan la nonggi en el patio y extienden un geumjul sobre la puerta de entrada con miras a prohibir la entrada a dicha casa. Los alimentos sacrificial varían según las regiones, aunque en muchos casos, se incluyen en la lista de la comida sacrificial las frutas de tres colores llamadas samsaeksilgwa, vegetales cocidos que se denominan samsaeknamul, pastel de arroz con capas conocido como sirutteok y cabeza de cerdo cocida.

Los procedimientos del ritual suelen desarrollarse como una ceremonia confuciana. Aun así, en algunos pueblos, el ritual tiene una forma similar a la actuación musical de un grupo de campesinos, pungjakgut. Después de la finalización del ritual, la nonggi se mantiene en posición alta en el patio del hogar en el que se haya efectuado el ritual hasta el primer día del segundo mes del calendario lunar, a menos que no puedan izarla por mal tiempo.
Gigosa is an annual rite held to worship nonggi, or farming flag, which serves as the icon of a village. Farming flags are closely related to Nongsin, or the Farming God, as well as Shennong-shi, or Divine Farmer, a legendary ruler of China.

Most farming flags contain letters or passages, many of which are related to the Farming God or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arming or agricultural philosophy. This demonstrates that the farming flag is a symbol of the Farming God and also an object of communal worship.

Gigosa is usually observed as part of Jeongwoldaeboreum (Great Full Moon) festivities in the first lunar month. As the year’s first full moon approaches, the village cooperative (donggye) holds a meeting to prepare for the rite. After a household is selected to host the rite, the farming flag is placed in the yard of the house and a taboo rope (geumjul) is hung over the gate to prohibit outsiders from entering. Sacrificial foods vary by region, but in most cases include fruits in three colors (samsaeksilgwa), cooked vegetables in three colors (samsaeknamul), rice cakes steamed in layers (sirutteok) and a boiled pig’s head.

The ritual’s procedure generally follows that of a Confucian memorial service (jesa), but in some villages, the rite takes the form of a farmers’ music performance (pungjanggut). After the ritual is done, the farming flag is kept raised in the yard of the ritual host’s home until the first day of the second lunar month, unless inclement weather forces it to be lowered and put away.
내용지역에 따라 [농기](/topic/농기), 용당기, 용덕기, [덕석](/topic/덕석)기, 용술기, [용기](/topic/용기), 대기, [서낭기](/topic/서낭기), 대장기, 농상기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는 농기는 농신(農神) 또는 신농씨(神農氏)와 관련이 있으면서도 [마을](/topic/마을)의 상징이기도 한 깃발이다. 농기의 가장 대표적인 쓰임새는 [두레](/topic/두레)농사에서 돋보인다. 두레를 조직하여 농사를 지을 때 농기에 대한 [고사](/topic/고사)(告祀)를 우선으로 하였다. 논에서일을 할 때도 높은 논둑에 농기를 꽂아 두었으며, 일을 마친 후에도 농기를 선두로 하여 길군악을 연주하며 돌아오곤 하였다. 농기는 마을의 표징이자 중심이며 자긍심의 표식이었다.

농기는 주로 [광목](/topic/광목)에 글자를 묵서(墨書)하거나 그림을 그려 채색하는 방법으로 제작되었다. 글자를 적은 농기의 경우 대표적으로 ‘[농자천하지대본](/topic/농자천하지대본)야(農者天下之大本也)’라고 적은 것에서부터 신농유업(神農遺業), 신농사명(神農司命), 농위천하본(農爲天下本), 능사사명(能社司命)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그림을 그려 만든 농기는 용의 모습을 담거나 용과 함께 여러 상서로운 [동물](/topic/동물)을 형상화하기도 하고 드물게는 신농씨(神農氏)를 그린 경우도 있다. 또는 글과 그림이 없는 농기도 있다. 그림이나 글귀가 있는 경우의 대부분은 농사의 중요성과 이념을 강조하거나 농신과 관련된 것이다. 이는 기고사(旗告祀)를 통해 모셔지는 농기가 농신이라는 신격의 표상이자 공동체적 신앙의 대상이 되고 있음을알게 한다.

기고사는 보통 매년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에 거행된다. 간혹 특별한 연원으로 인하여 연행 날짜가 다른 경우도 있지만 정월대보름인 경우가 일반적이다. 대보름이 가까워 오면 마을에서는 동계(洞契)회의를 열어 기고사 연행 준비를 시작한다. 기고사를 연행할 고사 집을 선정하는 것이 우선이다.

고사 집의 경우 그 마을에서 비교적 부농(富農)에 속하는 집이 선정되는 경우가 많았다. 많은 사람이 모일 수 있는 너른 [마당](/topic/마당), 고사상에 올릴 제물과 모인 사람들을 위한 음식 장만이 가능한 큰 [부엌](/topic/부엌) 등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집이어야 고사를 준비하고 연행하는 데 용이했기 때문이다. 고사에 들어가는 제물과 [음복](/topic/음복) 음식을 마련하는 것도 동계의 자금과 마을 구성원의 추렴으로 해결하지만, 일정 부분은 기고사를 연행하게 된 집에서 도움을 받는 것도 동계 입장에서 이롭기도 할 뿐더러 부농 입장에서도 한 해 농사를 앞두고 품을 얻어야 할 이들을 거두어 먹이는 기회가 될 수 있었다.

고사 집을 선정하는 데 있어서 주의해야 할 사항이나 선정된 고사 집 주인이 지켜야 할 금기 등은 일반적인 마을 제의 [제관](/topic/제관)들의 경우와 대동소이하다. 고사 집이 선정되면 미리 그 집 마당에 농기를 모시고 [금줄](/topic/금줄)을 쳐서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한다.

기고사의 고사상에 오르는 제물은 지역적으로 차이는 있겠지만 보통 삼색실과, [삼색나물](/topic/삼색나물), 돼지머리, 떡(시루) 등이 쓰인다. 고사의 연행은 유식(儒式) 제의 절차를 따르는 경우가많다. 미리 선정한 [초헌](/topic/초헌)관의 [헌작](/topic/헌작)(獻爵)이 있은 뒤 [독축](/topic/독축)이 이어지고 [아헌](/topic/아헌)례와 [종헌](/topic/종헌)례, 소지(燒紙)와 음복 순으로 고사를 마친다. 경우에 따라 [단작](/topic/단작)(單爵)과 삼작(三爵)의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제차가 단순화되어 독축 없이 헌작과 재배만으로 끝내는 경우도 있다. 고사가 끝나면 소지를 올린다. 이때 [축문](/topic/축문)을 소지하는 경우도 있고 따로 소지종이를 준비하기도 한다. 모든 절차가 끝나면 마을 사람들이 어울려 제물을 나누어 음복하고 준비된 음식을 즐기며 한바탕 잔치를 벌인다.

마을에 따라 유교식 제사 방법을 따르지 않고 풍장굿 형태로 기고사를 연행하는 곳도 있다. 농기 앞에 제물을 진설하고 술을 올린 다음 풍장패의 한바탕 연주 뒤에 [상쇠](/topic/상쇠)의 고사덕담이 이어진다. [덕담](/topic/덕담)은 한 해 동안 마을의 무탈(無頉)과 [생업](/topic/생업)의 번성을 비는 내용이다. 덕담이 이어지는 동안 마을 사람들이 잔을 올리고 절을 하며 고사에 참여한다.

기고사가 끝나면 농기는 바로 내리지 않고 고사 집에 그대로 세워 둔다. 간혹 날씨가 궂어 기가 상할 우려가 있으면 곧바로 내려서 정리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이월 초하루](/topic/이월초하루)까지 고사를 지낸 집 마당에 세워 둔다.
참고문헌한국의 [두레](/topic/두레) (국립민속박물관, 1994)
한국세시풍속[사전](/topic/사전)-정월 (국립민속박물관, 2004)
민속박물관 사람들의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현장조사6년 DVD (국립민속박물관, 2008)
[농민](/topic/농민)의 자부심,[농기](/topic/농기) (농협중앙회, [농업](/topic/농업)박물관, 2009)
在每年一定的时期,向村庄的象征“农旗”进行的[告祀](/topic/告祀)。

农旗与“农神”或“神农氏”(中国古代传说中的帝王)有关,同时也是象征村庄的旗帜。

很多时候农旗上都有字或字句,大都是强调农业的重要性和农业理念,或者与农神有关。这表明,通过旗告祀来供奉的农旗是农神的标志,同时是共同体信仰的对象。旗告祀一般在每年的正月十五进行。

临近[正月十五](/topic/正月十五),村里就会召开洞契(类似于村民委员会—译注)会议来准备旗告祀。当选定进行旗告祀的人家,就把农旗预先供在这家院子里,拉上[禁绳](/topic/禁绳),禁止外面人出入。使用的祭品,各地方都不同,一般有三色果实,三色素菜,猪头,甑糕等。

告祀大都是遵循儒教式祭祀程序,但也有一些村庄不遵循儒教式祭祀方法,而是采用风物戏(农乐)形式。旗告祀结束后,如果天气不好,担心农旗受损,就会把旗子收起来,除了这种情况外,大都会把旗子在院子里供到[二月初一](/topic/二月初一)。
Gigosa es un ritual que se efectúa anualmente para adorar el ícono del pueblo, nonggi que significa una bandera que simboliza la labranza.

La nonggi tiene una relación con el dios de la agricultura, Nongsin o el Emperador legendario de China, Shennong-shi.

En la mayoría de los casos, la nonggi tiene unos caracteres o frases escritos. En general la bandera está relacionada con el dios de la agricultura o hace hincapié en la importancia de la agricultura. Esto demuestra que la nonggi es un símbolo del dios de la agricultura y un objeto de la adoración colectiva.

El gigosa se lleva a cabo usualmente el 15 de enero del calendario lunar, como parte de las festividades de Jeongwoldaeboreum. Al llegar a la fecha de la realización, los aldeanos se reúnen para preparar el gigosa. Una vez seleccionado un hogar donde tendrá lugar el ritual, los aldeanos colocan la nonggi en el patio y extienden un geumjul sobre la puerta de entrada con miras a prohibir la entrada a dicha casa. Los alimentos sacrificial varían según las regiones, aunque en muchos casos, se incluyen en la lista de la comida sacrificial las frutas de tres colores llamadas samsaeksilgwa, vegetales cocidos que se denominan samsaeknamul, pastel de arroz con capas conocido como sirutteok y cabeza de cerdo cocida.

Los procedimientos del ritual suelen desarrollarse como una ceremonia confuciana. Aun así, en algunos pueblos, el ritual tiene una forma similar a la actuación musical de un grupo de campesinos, pungjakgut. Después de la finalización del ritual, la nonggi se mantiene en posición alta en el patio del hogar en el que se haya efectuado el ritual hasta el primer día del segundo mes del calendario lunar, a menos que no puedan izarla por mal tiempo.
Gigosa is an annual rite held to worship nonggi, or farming flag, which serves as the icon of a village. Farming flags are closely related to Nongsin, or the Farming God, as well as Shennong-shi, or Divine Farmer, a legendary ruler of China.

Most farming flags contain letters or passages, many of which are related to the Farming God or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arming or agricultural philosophy. This demonstrates that the farming flag is a symbol of the Farming God and also an object of communal worship.

Gigosa is usually observed as part of Jeongwoldaeboreum (Great Full Moon) festivities in the first lunar month. As the year’s first full moon approaches, the village cooperative (donggye) holds a meeting to prepare for the rite. After a household is selected to host the rite, the farming flag is placed in the yard of the house and a taboo rope (geumjul) is hung over the gate to prohibit outsiders from entering. Sacrificial foods vary by region, but in most cases include fruits in three colors (samsaeksilgwa), cooked vegetables in three colors (samsaeknamul), rice cakes steamed in layers (sirutteok) and a boiled pig’s head.

The ritual’s procedure generally follows that of a Confucian memorial service (jesa), but in some villages, the rite takes the form of a farmers’ music performance (pungjanggut). After the ritual is done, the farming flag is kept raised in the yard of the ritual host’s home until the first day of the second lunar month, unless inclement weather forces it to be lowered and put away.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