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웅상

한국무속신앙사전
군웅신을 대접하기 위해 [제물](/topic/제물)을 차린 상.
definition
군웅신을 대접하기 위해 [제물](/topic/제물)을 차린 상.
mp3Cnt
0
wkorname
김형근
정의군웅신을 대접하기 위해 [제물](/topic/제물)을 차린 상.
내용군웅(軍雄)은 전국적으로 두루 존재하는 군사•병사•전쟁•장수 등의 신격이지만, 그 성격이 그리 단순하지 않아 정확하게 분별되지 않는다. 또한 지역적 차이에 따라 해석이 달라진다. 독립적으로 군웅신만을 위해 제물을 차려 대접하는 군웅상은 서울과 경기 지역의 [마을](/topic/마을)굿에서 찾아볼 수 있다.

군웅상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경기도 도당굿을 꼽을 수 있다. 경기도 도당굿은 경기 남부와 서부인 수원, 화성, 오산, 안산, 부천, 인천 등지를 중심으로 활동한 속칭 화랭이패(산이패)라는 세습무계에 의해 연행되던 마을굿이다. 이 도당굿의 특징은 군웅굿(거리)을 크고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이다. 현재도 전승되고 있는 부천 [장말도당굿](/topic/장말도당굿)의 예를 들면 14개 굿거리 가운데 군웅굿은 11번째로 연행된다. 도당굿의 연행 순서는 1) 당주굿 2) 부정굿 3) 도당모시기 4) 돌돌이 5) 장문잡기 6) [시루말](/topic/시루말) 7) [꽃반세우기](/topic/꽃반세우기) 8) 제석굿 9) 터버림 10) 손굿 11) 군웅굿 12) 중굿 13) 도당모시기 14) 뒷전이다.

경기도 도당굿의 군웅굿에 쓰이는 군웅상은 다리를 높이 세운 제사상이다. 그 위에 군웅을 위한 떡, 이른바 군웅시루떡과 쇠머리•술잔 등을 올린다. [제상](/topic/제상) 밑에는 활, 화살, 생닭 등이 놓인다. 경기도 도당굿의 군웅굿에서 무녀와 화랭이가 함께 굿을 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무녀와 화랭이는 군웅상을 중간에 놓고 마주보며 제상을 도는 춤, 이른바 맞군웅춤 또는 쌍군웅춤을 춘다. 또한 무녀의 무가뿐 아니라 화랭이의 라는 무가도 부르는 등 아주 규모있게 군웅굿(거리)을 한다. 군웅굿 말미에는 군웅상 밑에 둔 활과 화살을 들고 사방 방수밟이를 하고 난 후에 활을 쏘아 잡귀와 액 등을 물리는 행위를 한다.

경기 서남부뿐 아니라 서울과 경기 마을굿에서는 굿의 말미에 군웅거리를 두고, 군웅화살을 쏘는 행위들이 보편적으로 등장한다. 이때 기본적으로 작은 규모의 군웅상을 차려 놓고 굿을 하는 곳을 중심으로 바깥의 사방을 다니며 활을 쏜다. 서울 용산구 용문동의 마을굿인 남이[장군](/topic/장군)[사당](/topic/사당)굿(용문동부군당굿)의 군웅거리에서도 뒷전 바로 앞에 행해지며, 화살을 쏜다. 이때의 군웅상에는 과일, 팥떡, 막걸리, 사탕, 과자를 올린다. 강화도 외포리 곶창굿에서도 뒷전 이전에 군웅굿이 연행된다. 이때 상 위에 올리는 제물은 팥떡, 삼색과일, 밤, 물, 술, 나물 등이다. 상 외에 활, 화살, 닭, 닭사실대, 오방기, 동글래떡 등을 준비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일반적인 서울굿, 즉 마을굿이 아닐 때 군웅은 산거리에서 부속적으로 놀려지거나 [성주굿](/topic/성주굿)과 붙여서 연행된다. 진오귀굿에서는 시왕군웅이라는 명칭으로 연행되지만 독립된 제물을 받는 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황해도굿에서는 군웅풀이와 군웅타살굿이 있어서 이때 군웅을 대접한다. 과거에는 독자적인 군웅상의 존재를 발견할 수 있지만, 오늘날에는 독립된 상을 차리지는 않는 듯 보인다. 동해안 지역에서는 군웅굿을 군웅장수굿 또는 [놋동이](/topic/놋동이)굿이라고 부른다. 여러 장수를 청배하는 무가를 부른 뒤에 무거운 놋동이를 입에다 무는 것이 핵심적인 연행이다. 그러나 이때도 독립된 제물 상을 차리는 것은 아니고, 여러 신이 두루 대접받는 굿상을 공유한다. 통영과 거제를 중심으로 한 [남해안별신굿](/topic/남해안별신굿)에서도 뒷전 바로 전에 군웅굿이 연행되지만 역시 독립된 상이 존재하지 않는다. 제주도굿에서 군웅은 조상과 관련되면서도 장군의 성격을 띠는 복합된 신격으로 관념하여 석살림굿 가운데 군웅덕담•군웅본판의 형태로 연행되고, [조상상](/topic/조상상) 옆으로 작은 군웅상을 마련한다.
참고문헌한국의 굿 1-인천지역편 (이선주, 민속원, 1996)
한국의 굿 2-서울, 인천, 경기편 (이선주, 민속원, 1996)
경기도 도당굿 (김헌선,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무·굿과 음식 2 (김헌선 외,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무당내력](/topic/무당내력) (서울대학교 규장각, 민속원, 2005)
서울 [이태원](/topic/이태원) 부군당굿 (양종승, 민속원, 2007)
군웅의 의미와 지역별 망자천도굿의 구조 비교-서울굿의 양상과 의미 (홍태한, 민속원, 2007)
0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